Q & A
글 수 25,388
현재 순정차량에 다운스프링, 빌스타인댐퍼,
순정적경보다 40mm정도 직경이작은 네오바타이어장착중입니다..
순정보다 계산상 직경이 18mm정도 작았던..
xq타이어 장착시보다 폭도 넓고 그립도 좋고 사이드윌이 단단해서 와인딩시 한계는 높지만..
이상하게도 전체적으로는 언더가 증가한 느낌입니다.
특히 사이드윌의 영향을 덜받는 R이 큰 고속코너의 경우..
xq때와 같은속도로 코너를 돌경우 언더가 느껴집니다...
직경이 감소했기때문에 속도계오차 고려하면 오히려 더 낮은 속도에서
느껴지는 거지요..
같은코너링속도면..
후륜구동인(트럭이긴 하지만)얼라이먼트도
틀어진 저의 퍼스트카 봉고3 1톤트럭이 휠씬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돌아갑니다..
내리막 코너에서 하중이동 살짝시키면 뒤가 슬며시 흐르기는것이 재밌는 차량입니다..-_-;
언더가 생기근 원인을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니..
얼마전 타이어사이즈 관련하여 고수님들께 질문결과..
지나치게 하드한(?)타이어와 순정사이즈를 무시한 타이어직경감소가 일단
첫번째 원인으로 추즉됩니다..
일전에 윤명근님이 브릿지스톤 G3사용기에서 직경감소관련해서 언더가 증가하셨다고 언급하셨던내용인데 제경우도 같은 현상이 나오네요..^^;
TG 전륜이 SLA형 위시본형식으로 아는데..
이경우는 하중이동에따른 롤에 의해서 캠버값이 변하고
제경우 직경이 작은 타이어를 사용해서..
직경이 큰 타이어에 비해 캠버값에 따른 변화폭이 적을껏으로 생각됩니다.
일전에 이동섭님이 말씀해주신 롤에따른 캠버값변화와 고성능타이어의 변형에따른 접지압력 분포등과 더불어 이런현상을 만들어낸것은 아닌지 추측해봅니다...ㅠㅠ
조금 다른이야기지만..
예전 용인 투어링A의 투스카니차량의 경우 규정때문에 순정보다 40mm가까이 작은 직경의 580mm짜리 15인치 슬릭타이어를 사용하는데..
롤이 거의 없다시피한 아주하드한서스펜션과 눈으로 보기에도 빡세게
보이는 -캠버주고와 토우등을 조절해서 직경변화에 따른 부작용을
해결하는지 궁금하네요..^^;
용인 FF경기용차량의 경우 오버스티어를 유도하기 위해서인지..
전륜은 보기에도 빡센 -캠버에 후륜은 거의 일자를유지하던데요..
투스카니는 맥퍼슨형식이라서 캠버변화가 거의없다고 하는데..
이런점도 영향을 미칠까요?
이번 투어링 A의 경우는 규정이 바뀌어서 양산형 사이즈를 유지할수있게되어서..
17인치 슬릭타이어 사용이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만..
두번째 언더의 원인으로는
유심히 차량을 관찰한 결과.. 다운스프링으로 내려간차고때문인지
후륜의 경우 눈으로 보기에도 마이너스 캠버로 보이네요.
공기압 30~31정도에서도..
약간의 흙이있는 곳을 지나간후 타이어를 보면 전륜은 완전히 묻는반면
후륜은..타이어 바깥쪽 숄더(?)부분에는 흙이 거의 묻지 않을정도 입니다..^^;
차고를 내렸고 다운스프링이 휘발유차량 기준일텐데..
lpg차량이라 후륜에 큼지막한 가스통이^^;
캠버변화에 영향을 더 주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드네요..
네오바에 비해 사이드윌이 부드러운 xq시절에는 전체적 접지가 되어서 못느꼇던 부분이네요...
일단 당장해결책은 얼라이먼트 조정밖에 없는듯한데..
TG의 경우 전후 모두 캠버조정이 불가능할까요?
tg의 경우..
전륜 더블위시본
후륜 멀티링크라고 나와있네요...
후륜의 경우 스프링과 댐퍼 분리형입니다.
그림상 세미 트레일링암식과 살짝 비슷하게 보이네요..^^;;
전륜은 sla형 위시본형식이라 캠버조절이 안된다고하는데..
후륜의 경우도 그냥 눈으로 보기에는 캠버조절이 안될것처럼 보이네요..^^;;
현재로선 타이어 장착하고서 3500km 주행한상태라서 다음 타이어 교환시까지는
마땅한 방법이 없는데 캠버조절 또한 불가하다면..
토우값 조절을 통해서 코너링 특성이 변할수도 있는지요?
아니면 전후륜의 공기압을 조정하는것 외에는..
이대로 타는수밖에 없을까요..
운전실력으로 커버하기에는 워낙 축복 받은 운동신경이라서요..^^;
차량특성상 다음 타이어교체시에는 순정직경으로 돌아가서..
네오바보다 좀더 야들야들(?)한 사이드윌을 가진넘으로교환하면..
언더가 좀 줄어들수 있을까요??ㅠㅠ
순정적경보다 40mm정도 직경이작은 네오바타이어장착중입니다..
순정보다 계산상 직경이 18mm정도 작았던..
xq타이어 장착시보다 폭도 넓고 그립도 좋고 사이드윌이 단단해서 와인딩시 한계는 높지만..
이상하게도 전체적으로는 언더가 증가한 느낌입니다.
특히 사이드윌의 영향을 덜받는 R이 큰 고속코너의 경우..
xq때와 같은속도로 코너를 돌경우 언더가 느껴집니다...
직경이 감소했기때문에 속도계오차 고려하면 오히려 더 낮은 속도에서
느껴지는 거지요..
같은코너링속도면..
후륜구동인(트럭이긴 하지만)얼라이먼트도
틀어진 저의 퍼스트카 봉고3 1톤트럭이 휠씬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돌아갑니다..
내리막 코너에서 하중이동 살짝시키면 뒤가 슬며시 흐르기는것이 재밌는 차량입니다..-_-;
언더가 생기근 원인을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니..
얼마전 타이어사이즈 관련하여 고수님들께 질문결과..
지나치게 하드한(?)타이어와 순정사이즈를 무시한 타이어직경감소가 일단
첫번째 원인으로 추즉됩니다..
일전에 윤명근님이 브릿지스톤 G3사용기에서 직경감소관련해서 언더가 증가하셨다고 언급하셨던내용인데 제경우도 같은 현상이 나오네요..^^;
TG 전륜이 SLA형 위시본형식으로 아는데..
이경우는 하중이동에따른 롤에 의해서 캠버값이 변하고
제경우 직경이 작은 타이어를 사용해서..
직경이 큰 타이어에 비해 캠버값에 따른 변화폭이 적을껏으로 생각됩니다.
일전에 이동섭님이 말씀해주신 롤에따른 캠버값변화와 고성능타이어의 변형에따른 접지압력 분포등과 더불어 이런현상을 만들어낸것은 아닌지 추측해봅니다...ㅠㅠ
조금 다른이야기지만..
예전 용인 투어링A의 투스카니차량의 경우 규정때문에 순정보다 40mm가까이 작은 직경의 580mm짜리 15인치 슬릭타이어를 사용하는데..
롤이 거의 없다시피한 아주하드한서스펜션과 눈으로 보기에도 빡세게
보이는 -캠버주고와 토우등을 조절해서 직경변화에 따른 부작용을
해결하는지 궁금하네요..^^;
용인 FF경기용차량의 경우 오버스티어를 유도하기 위해서인지..
전륜은 보기에도 빡센 -캠버에 후륜은 거의 일자를유지하던데요..
투스카니는 맥퍼슨형식이라서 캠버변화가 거의없다고 하는데..
이런점도 영향을 미칠까요?
이번 투어링 A의 경우는 규정이 바뀌어서 양산형 사이즈를 유지할수있게되어서..
17인치 슬릭타이어 사용이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만..
두번째 언더의 원인으로는
유심히 차량을 관찰한 결과.. 다운스프링으로 내려간차고때문인지
후륜의 경우 눈으로 보기에도 마이너스 캠버로 보이네요.
공기압 30~31정도에서도..
약간의 흙이있는 곳을 지나간후 타이어를 보면 전륜은 완전히 묻는반면
후륜은..타이어 바깥쪽 숄더(?)부분에는 흙이 거의 묻지 않을정도 입니다..^^;
차고를 내렸고 다운스프링이 휘발유차량 기준일텐데..
lpg차량이라 후륜에 큼지막한 가스통이^^;
캠버변화에 영향을 더 주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드네요..
네오바에 비해 사이드윌이 부드러운 xq시절에는 전체적 접지가 되어서 못느꼇던 부분이네요...
일단 당장해결책은 얼라이먼트 조정밖에 없는듯한데..
TG의 경우 전후 모두 캠버조정이 불가능할까요?
tg의 경우..
전륜 더블위시본
후륜 멀티링크라고 나와있네요...
후륜의 경우 스프링과 댐퍼 분리형입니다.
그림상 세미 트레일링암식과 살짝 비슷하게 보이네요..^^;;
전륜은 sla형 위시본형식이라 캠버조절이 안된다고하는데..
후륜의 경우도 그냥 눈으로 보기에는 캠버조절이 안될것처럼 보이네요..^^;;
현재로선 타이어 장착하고서 3500km 주행한상태라서 다음 타이어 교환시까지는
마땅한 방법이 없는데 캠버조절 또한 불가하다면..
토우값 조절을 통해서 코너링 특성이 변할수도 있는지요?
아니면 전후륜의 공기압을 조정하는것 외에는..
이대로 타는수밖에 없을까요..
운전실력으로 커버하기에는 워낙 축복 받은 운동신경이라서요..^^;
차량특성상 다음 타이어교체시에는 순정직경으로 돌아가서..
네오바보다 좀더 야들야들(?)한 사이드윌을 가진넘으로교환하면..
언더가 좀 줄어들수 있을까요??ㅠㅠ
2007.04.14 02:23:14 (*.148.33.122)

스프링이 어떻게 바뀐 건지요? 순정스펙과 튜닝스펙이 궁금하네요. 앞/뒤의 타이어를 함께 둘 다 같은 사이즈로 교체를 했는데 핸들링 성향이 바뀌는 경우는 없을걸요..
2007.04.14 13:38:35 (*.91.102.212)

스프링은 테인 제품입니다..스펙은 알수가없어요..전 5k 후 4~5k정도였던걸로 기억이나는데.. 정확한지는 모르겠습니다.-_-; 스테빌라이저는 아이바크에서 TG용이 출시되서 엄청난 지름신의 강림을 받는 중입니다..아이바크니 믿을만 할거같아서....ㅠㅠ;;
2007.04.14 20:34:24 (*.127.196.182)
언더를 잡는 방법중...
좋은 방법은 앞쪽의 그립을 높여서 잡는 방법이고...(전체적인 그립이 높아지고...)
안좋은 방법은 뒤쪽의 그립을 낮춰서 잡는 방법입니다 (전체적인 그립이 약해집니다)
문제는 현상태로 할수있는것이 별로 없다는것인데...
앞뒤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보통 언더는 앞쪽 공기압을 높이고 뒤쪽을 낮춰서 잡는데...
저로서는 네오바 타이어의 특성을 알수없기때문에... (저편평비 그립 타이어라... 반대로 세팅해야 될지도 모릅니다)
일단은 앞쪽 공기압을 높이고 뒤쪽을 낮춘뒤에 돌아보시고... 더 언더가 심하다 싶으시면 반대로 세팅해 보십시요
그리고 만약 아이박 스테빌라이저가 강화형이라면(물론 강화형이겠죠...) 이걸 앞쪽에 쓰시면 언더가 더 심해집니다(좌우 하중이동량이 커져서 좌우그립의 토탈 한계가 더 떨어집니다) 만약 쓰신다면 뒤쪽만 쓰셔서 뒤쪽 한계를 떨어뜨려서 언더를 잡으셔야 합니다(위에 말씀드렸듯이 별로 안좋은 방법이죠...)
차고를 높이고 낮추는 것은 고려해야할 변수가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아이박이나 테인에서 과연? 그랜저를 가져다가 실험해 보고 만들까 싶습니다
중요한것은 앞쪽 그립을 높이는방법입니다 ^^ 그것은 일단 타이어의 특성을 맞춰주셔야 회복되실듯 합니다만... 순정타이어를 가지고 계시다면 일단 바꾸시고 주행해 보십시요
좋은 방법은 앞쪽의 그립을 높여서 잡는 방법이고...(전체적인 그립이 높아지고...)
안좋은 방법은 뒤쪽의 그립을 낮춰서 잡는 방법입니다 (전체적인 그립이 약해집니다)
문제는 현상태로 할수있는것이 별로 없다는것인데...
앞뒤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보통 언더는 앞쪽 공기압을 높이고 뒤쪽을 낮춰서 잡는데...
저로서는 네오바 타이어의 특성을 알수없기때문에... (저편평비 그립 타이어라... 반대로 세팅해야 될지도 모릅니다)
일단은 앞쪽 공기압을 높이고 뒤쪽을 낮춘뒤에 돌아보시고... 더 언더가 심하다 싶으시면 반대로 세팅해 보십시요
그리고 만약 아이박 스테빌라이저가 강화형이라면(물론 강화형이겠죠...) 이걸 앞쪽에 쓰시면 언더가 더 심해집니다(좌우 하중이동량이 커져서 좌우그립의 토탈 한계가 더 떨어집니다) 만약 쓰신다면 뒤쪽만 쓰셔서 뒤쪽 한계를 떨어뜨려서 언더를 잡으셔야 합니다(위에 말씀드렸듯이 별로 안좋은 방법이죠...)
차고를 높이고 낮추는 것은 고려해야할 변수가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아이박이나 테인에서 과연? 그랜저를 가져다가 실험해 보고 만들까 싶습니다
중요한것은 앞쪽 그립을 높이는방법입니다 ^^ 그것은 일단 타이어의 특성을 맞춰주셔야 회복되실듯 합니다만... 순정타이어를 가지고 계시다면 일단 바꾸시고 주행해 보십시요
2007.04.14 21:53:16 (*.91.102.212)

아이박 스테빌라이저는 앞뒤 셋트로 파는데 뒤만 하기도 뭐하고 좋은 방법이 아니라면..
안하는게 돈도 굳고 좋은 방법이겠네요..^^;
공기압은 항상 앞쪽을 낮게넣고 뒤를 많이 넣는게 언더를 줄인다고 알고있어서
앞쪽은 30~31정도 유지하고 뒤쪽은 조금씩 높여보고있는데....
반대로도 넣어서보면서 한번 실험해 봐야겠습니다..^^;;
앞쪽 그립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안하는게 돈도 굳고 좋은 방법이겠네요..^^;
공기압은 항상 앞쪽을 낮게넣고 뒤를 많이 넣는게 언더를 줄인다고 알고있어서
앞쪽은 30~31정도 유지하고 뒤쪽은 조금씩 높여보고있는데....
반대로도 넣어서보면서 한번 실험해 봐야겠습니다..^^;;
앞쪽 그립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007.04.14 22:04:18 (*.251.219.22)

테크니컬한 리플은 아닙니다만..
앨범란에 어마어마한 튜닝리스트와 함께 멋진 사진을 올려주신 분(!)의 RSX type-s를 보니, 뒤쪽으로.. 반짝이는 철봉으로 위아래옆에밑에보이는데안보이는데(?) 중무장을 시키셨더군여. 핸들링에 남다른 애착을 보이시는 분의 FF를 위한 작품이니.. 거기에 답이 있지 않을까여?
앨범란에 어마어마한 튜닝리스트와 함께 멋진 사진을 올려주신 분(!)의 RSX type-s를 보니, 뒤쪽으로.. 반짝이는 철봉으로 위아래옆에밑에보이는데안보이는데(?) 중무장을 시키셨더군여. 핸들링에 남다른 애착을 보이시는 분의 FF를 위한 작품이니.. 거기에 답이 있지 않을까여?
2007.04.15 00:37:09 (*.173.165.72)

미천하게 나마 몇가지 적어봅니다.
1. T-A카들은 LSD가 들어가 있습니다.
단순히 A=B다식의 셋팅이 있진 않다고 합니다.
드라이버별로 선호하는 주행법에 따라 셋팅이 달라집니다.
2. lpg차는 일반 개솔린에 비해 연료탱크 무게가 좀더 나갑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운동성이 나오더군요.
하지만 여러번의 스포츠주행을 통해 느껴지는건
같은 코스라해도 위화감 없는 주행이 나오기도 하고
너무 딱딱 끊는 주행이 되기도 하더군요.
제 생각엔 좀더 예민한 브레이킹과 코너공략시
라인에 대해 고민을 해보심이 어떨지 싶습니다.
저역시도 극언더에 시달리다 여러분들에게 조언도
들어보고 했지만 나중에 보니 주행습관이 좀 잘못됬더군요
도움이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
1. T-A카들은 LSD가 들어가 있습니다.
단순히 A=B다식의 셋팅이 있진 않다고 합니다.
드라이버별로 선호하는 주행법에 따라 셋팅이 달라집니다.
2. lpg차는 일반 개솔린에 비해 연료탱크 무게가 좀더 나갑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운동성이 나오더군요.
하지만 여러번의 스포츠주행을 통해 느껴지는건
같은 코스라해도 위화감 없는 주행이 나오기도 하고
너무 딱딱 끊는 주행이 되기도 하더군요.
제 생각엔 좀더 예민한 브레이킹과 코너공략시
라인에 대해 고민을 해보심이 어떨지 싶습니다.
저역시도 극언더에 시달리다 여러분들에게 조언도
들어보고 했지만 나중에 보니 주행습관이 좀 잘못됬더군요
도움이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
2007.04.15 23:46:37 (*.130.122.248)

이동섭님, 강화스태빌라이저가 절대하중이동량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단위시간당 하중이동량을 키우는 것 아닙니까? 스태빌라이저 외에 동일한 스펙의 차량을 정상원선회시킬 때의 하중분포는 기본적으로는 달라질 이유가 없을 것 같은데요. (자세하게 캠버 커브 변화로 인한 타이어 對地캠버 변화/접지면적 변화 등을 고려하면 골치아프겠습니다만......)
2007.04.16 20:40:35 (*.127.196.182)
정한조님 좋은 지적입니다 천천히 속도를 조금씩 높이는 정상원선회시의 절대하중이동량은 강화스태빌라이저가 있던 없던 변하는것이 아닙니다(이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가 없는 쪽이 롤이 더 심해지면서 무게중심의 이동이 더 심해지고 모멘트 평형식에서 하중이동량이 약간 더 커지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 주행과 같은 직진 일정속도에서의 조타각 증가는 관성항을 무시할수가 없습니다 임팩트의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말씀하신대로 단위시간당 하중이동량의 관점에서 순간적으로 더많은 하중이동이 발생한다는것을 이야기 한것입니다 에너지의 개념으로 지긋이 누르느냐 쾅하고 치느냐의 관점이고... 테스트 트랙에서의 적분상 결국 같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실제상황에서는 순간 하중이동량의 개념으로 보는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하중이동량이 커진다고 쓴것입니다 실제상황(직진주행후 스티어링)에서는 강화스태빌라이저를 사용한 차량의 반응이 직접적이고 빠르게 옴에 따라 트랙을 벗어나는 지점도 빨라지게 됩니다 결국 언더가 빠르게 오게 되고 드라이버는 언더가 심해졌다고 느끼게 되죠 (아마 알고 계실듯한데요... )
2007.04.19 16:31:04 (*.60.106.6)

제가 보기엔 차의 스펙을 모두 무시하시고 운전법을 바꾸심이 좋을듯한데요..
진입전 하중이동이나 브레이킹 핸들링을 좀 고쳐보시길..
진입전 하중이동이나 브레이킹 핸들링을 좀 고쳐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