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제 X3 3.0디젤에 다운스프링을 하려고 생각중입니다..
현재의 서스 특성은 맘에 들지만..편안한 승하차, 롤링의 감소를 위해
다운스프링을 하려고 합니다..현재 스포츠서스가 옵션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스프링만 바꾼다고 순정의 밸런스에 심한 악영향은 없겠죠?
H&R과 아이박꺼중에 하려고 하는데..
두 제품간에 차이점이 어떤게 있을까요?
예를들면 어디꺼가 더 내려간다, 어디꺼가 더 하드하다..등 이요..
그런데 아이박 홈페이지에는 H&R은 아이박의 아류라고 하고 절대 아이박의
기술은 따라올 수 없다고 하는데..아이박으로 해야 되나요?^^;
제 X3 3.0디젤에 다운스프링을 하려고 생각중입니다..
현재의 서스 특성은 맘에 들지만..편안한 승하차, 롤링의 감소를 위해
다운스프링을 하려고 합니다..현재 스포츠서스가 옵션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스프링만 바꾼다고 순정의 밸런스에 심한 악영향은 없겠죠?
H&R과 아이박꺼중에 하려고 하는데..
두 제품간에 차이점이 어떤게 있을까요?
예를들면 어디꺼가 더 내려간다, 어디꺼가 더 하드하다..등 이요..
그런데 아이박 홈페이지에는 H&R은 아이박의 아류라고 하고 절대 아이박의
기술은 따라올 수 없다고 하는데..아이박으로 해야 되나요?^^;
2007.04.17 22:15:12 (*.144.136.90)

답변감사합니다~^^ 시승을 해볼수 있으면 좋겠지만..X3가 워낙 희귀차종이고
손을대시는 분들이 거의 안계셔서..시승은 커녕 가장 크다는 BMW동호회에서도
답변조차 얻기 어렵습니다~ ㅠㅠ
손을대시는 분들이 거의 안계셔서..시승은 커녕 가장 크다는 BMW동호회에서도
답변조차 얻기 어렵습니다~ ㅠㅠ
2007.04.17 23:50:40 (*.114.62.66)

차종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고 제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이박보다 H&R이 약간 더 하드한 편입니다.
때문에 스포티한 주행에는 H&R을 선호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일단 순정 쇽 업소버와의 매칭부분은 순정 스프링보다 강한 스프링이 들어가면 순정 쇽업소버는 100%기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물론 차에 이상이 느껴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만 제경험으로 비추어볼 때 고속에서 스프링의 여진이 쇽업소버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에 바운스 후 여진이 오래가는 느낌을 여러차종에서 경험했고, 이는 스프링의 높아진 탄성을 쇽업소버가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 아이박이 로워링 스프링의 경우 프로그레시브 영역이 강조되기 때문에 시가자에서 좀 더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을 것 같고, H&R은 이보다 약간 더 단단한 느낌을 줄 것 같습니다.
중복투자를 막기 위해서는 쇽 업소버도 함께 교체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때문에 스포티한 주행에는 H&R을 선호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일단 순정 쇽 업소버와의 매칭부분은 순정 스프링보다 강한 스프링이 들어가면 순정 쇽업소버는 100%기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물론 차에 이상이 느껴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만 제경험으로 비추어볼 때 고속에서 스프링의 여진이 쇽업소버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에 바운스 후 여진이 오래가는 느낌을 여러차종에서 경험했고, 이는 스프링의 높아진 탄성을 쇽업소버가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 아이박이 로워링 스프링의 경우 프로그레시브 영역이 강조되기 때문에 시가자에서 좀 더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을 것 같고, H&R은 이보다 약간 더 단단한 느낌을 줄 것 같습니다.
중복투자를 막기 위해서는 쇽 업소버도 함께 교체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07.04.18 00:55:37 (*.224.57.147)

쇼바와 스프링을 함께 해주시는 것이 좋을듯합니다. x3에 어떤 매칭이 어울리는 지는 알수없지만 차량특성이 어떤지 알면 쇼바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H&R 이 아이바크에 비해 좀더 하드한편입니다. 스포티한 주행에는 H&R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이바크도 그리 나쁘진않습니다.
전 카니발2 오너입니다. 차체가 크고 전륜에 부담이 유난히 많은 차입니다.
제 차에 세팅은 전륜 가야바+아이바크스프링 후륜 가브리엘 + 아이바크 스프링입니다.
하체 부싱류도 우레탄 강도는 하드한것으로 토션바 전후륜 쇼바부싱 모든 부싱류를 갈아놓은 상태입니다. 튜닝쇼바에 강성도 잡아주고 하체도 좀더 타이트하게 만들어줍니다.
물론 승차감도 그렇게 나빠지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더 롤링이 줄었고
타이어 접지력도 좋아졌으며 차체가 낮아진 만큼 브레이킹도 좋아졌습니다.
차고는 4센티 정도 낮아졌습니다. 카니발로도 이런 라인에 주행이 가능하구나 하고
새록새록 느끼는 중이죠. 장안동에 빌스타인 총판하는 업체가 있습니다.
그곳에서는 x3세팅에 조언을 해줄수도 있을듯합니다.
차량에 대해 정확하게 알질 못해서 더많은 답변은 드리기 힘들듯합니다만
마스터님에 쇽업소버도 함께 교체하시는것이 좋을것 같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전 카니발2 오너입니다. 차체가 크고 전륜에 부담이 유난히 많은 차입니다.
제 차에 세팅은 전륜 가야바+아이바크스프링 후륜 가브리엘 + 아이바크 스프링입니다.
하체 부싱류도 우레탄 강도는 하드한것으로 토션바 전후륜 쇼바부싱 모든 부싱류를 갈아놓은 상태입니다. 튜닝쇼바에 강성도 잡아주고 하체도 좀더 타이트하게 만들어줍니다.
물론 승차감도 그렇게 나빠지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더 롤링이 줄었고
타이어 접지력도 좋아졌으며 차체가 낮아진 만큼 브레이킹도 좋아졌습니다.
차고는 4센티 정도 낮아졌습니다. 카니발로도 이런 라인에 주행이 가능하구나 하고
새록새록 느끼는 중이죠. 장안동에 빌스타인 총판하는 업체가 있습니다.
그곳에서는 x3세팅에 조언을 해줄수도 있을듯합니다.
차량에 대해 정확하게 알질 못해서 더많은 답변은 드리기 힘들듯합니다만
마스터님에 쇽업소버도 함께 교체하시는것이 좋을것 같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2007.04.18 01:39:23 (*.144.136.90)

답변감사합니다~^^ 현재 제차에는 스포츠서스가 옵션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현재의 서스는 무지하게 하드한 편입니다..탑기어에서
스포츠서스가 안들어간 X3도 "테러블 라이드 퀄리티" 라고 하던데..
저는 더 딱딱한 스포츠서스입니다.
처음 타보시는분들은 다 당황하시더라구요..MK5 GTI나 E60 M5의
경우 제차 타다가 타보면 정말 편안하게 느껴지더라구요.. Z4 2.5는
제차랑 비슷한거 같구요. 오히려 뒷쪽은 제차가 Z4 보다 더 딱딱하게
느껴집니다..인도쪽으로 차가 들어갈수 있게 만들어논 턱도 좀 높다
싶으면 비스듬히 들어갈때 4바퀴가 땅에 다 닿지 않아서
접지력을 잃을 정도로 딱딱합니다..ㅡㅡㅋ
그래서 순정쇼바가 꽤 괜찮기 때문에 순정쇼바는 그대로 쓰려고
했는데.. 쇼바까지 바꾸면 총알의 압박이..ㄷㄷㄷ 만 있다면
KW v2가 X3용이 있던데.. 그거 하고 싶습니다~ㅠㅠ
있습니다. 현재의 서스는 무지하게 하드한 편입니다..탑기어에서
스포츠서스가 안들어간 X3도 "테러블 라이드 퀄리티" 라고 하던데..
저는 더 딱딱한 스포츠서스입니다.
처음 타보시는분들은 다 당황하시더라구요..MK5 GTI나 E60 M5의
경우 제차 타다가 타보면 정말 편안하게 느껴지더라구요.. Z4 2.5는
제차랑 비슷한거 같구요. 오히려 뒷쪽은 제차가 Z4 보다 더 딱딱하게
느껴집니다..인도쪽으로 차가 들어갈수 있게 만들어논 턱도 좀 높다
싶으면 비스듬히 들어갈때 4바퀴가 땅에 다 닿지 않아서
접지력을 잃을 정도로 딱딱합니다..ㅡㅡㅋ
그래서 순정쇼바가 꽤 괜찮기 때문에 순정쇼바는 그대로 쓰려고
했는데.. 쇼바까지 바꾸면 총알의 압박이..ㄷㄷㄷ 만 있다면
KW v2가 X3용이 있던데.. 그거 하고 싶습니다~ㅠㅠ
2007.04.18 23:08:23 (*.212.222.118)

제가 자세히는 모르겠는데, 프로그레시브 레이트 라는것이 오로지
아이박 이라는 메이커만이 가지고있는 기술적 장점이 아닌 대부분의
제작업체들의 스프링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특성 아닌가요?
확실히 이론적 뒷바침은 모르고 그렇게만 넘겨 들은지라......
일부 샵에서의 설명으론 H&R 이나 아이박이나 OEM 생산으로
결국은 같은곳에서 생산되어 나왔다는 이야기도 있고..
이거 원 어떤것이 사실에 근거한 것인지 헛갈리네요..ㅎㅎ
그런데 X3의 승차감이 그렇게 하드 했다니..ㅎㅎ 신기하네요.
아이박 이라는 메이커만이 가지고있는 기술적 장점이 아닌 대부분의
제작업체들의 스프링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특성 아닌가요?
확실히 이론적 뒷바침은 모르고 그렇게만 넘겨 들은지라......
일부 샵에서의 설명으론 H&R 이나 아이박이나 OEM 생산으로
결국은 같은곳에서 생산되어 나왔다는 이야기도 있고..
이거 원 어떤것이 사실에 근거한 것인지 헛갈리네요..ㅎㅎ
그런데 X3의 승차감이 그렇게 하드 했다니..ㅎㅎ 신기하네요.
2007.04.19 01:23:23 (*.144.136.90)

X3가 승차감이 생각보다 딱딱해요~^^
제 나름대로 제차의 순정쇼바 감쇄력 믿고 스프링만 하려는데..
그래도 쇼바까지 안하면 밸런스에 문제가 생길가요?
지금의 딱딱한 스프링도 고속에서 바운싱후에 여진은
거의 없습니다..아~ H&R이냐? 아이박이냐? ㅠㅠ
제 나름대로 제차의 순정쇼바 감쇄력 믿고 스프링만 하려는데..
그래도 쇼바까지 안하면 밸런스에 문제가 생길가요?
지금의 딱딱한 스프링도 고속에서 바운싱후에 여진은
거의 없습니다..아~ H&R이냐? 아이박이냐? ㅠㅠ
차고나 소프트/하드 특성은, 막연한 비교보다는 직접 비교시승을 해 보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같은 회사 제품이라도 차종에 따라서 약간씩은 다른 느낌이 오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