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4만km 주행한 상태이고
쇼바와 스프링 작업한지 2만km 정도 지났습니다..
최근들어서..
뒷쪽 쇼바 윗부분(쇼바마운트인가요?)에서 가끔 방지턱이나..
노면이 기울어진 곳을 천천히 지나가보면 찌그덕찌그덕 소리가 납니다..
아무래도 순정이 아닌상태라서.. 무리가 가고있는것 같은데..
어떤 부분의 교환이 필요할까요...?
그외에 로워링하면 무리가가는곳들이 어떤 부분들이 있나요?
지금 서스펜션 느낌이 많이 헐거워(?)진 느낌입니다..^^;
현재 빌스타인이 수명이 다하거든...
생각보다 많이 내려가있는 차고와.. 우리나라의 도로상태때문에
하체도 여러번 부딪히고 너무 불편해서 순정쇼바와 스프링으로 교환할예정입니다..
교환시 바꿔주면 좋은 품목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예를들어서 부싱류라던지..^^
순정서스펜션으로 교환시 그린서비스 같은 현대 지정점에서 작업가능할까요?
차량 하체작업을 3곳에서 해봤는데..처음 작업한곳 외에 2곳은 TG를 해본적이 없어서..
어떻게 푸는지 조차 모르는걸 보고 당황했습니다..-_-;
지방 중소도시에 살다보니.. 작업잘하는곳 찾기가 정말 힘드네요..ㅠㅠ
쇼바와 스프링 작업한지 2만km 정도 지났습니다..
최근들어서..
뒷쪽 쇼바 윗부분(쇼바마운트인가요?)에서 가끔 방지턱이나..
노면이 기울어진 곳을 천천히 지나가보면 찌그덕찌그덕 소리가 납니다..
아무래도 순정이 아닌상태라서.. 무리가 가고있는것 같은데..
어떤 부분의 교환이 필요할까요...?
그외에 로워링하면 무리가가는곳들이 어떤 부분들이 있나요?
지금 서스펜션 느낌이 많이 헐거워(?)진 느낌입니다..^^;
현재 빌스타인이 수명이 다하거든...
생각보다 많이 내려가있는 차고와.. 우리나라의 도로상태때문에
하체도 여러번 부딪히고 너무 불편해서 순정쇼바와 스프링으로 교환할예정입니다..
교환시 바꿔주면 좋은 품목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예를들어서 부싱류라던지..^^
순정서스펜션으로 교환시 그린서비스 같은 현대 지정점에서 작업가능할까요?
차량 하체작업을 3곳에서 해봤는데..처음 작업한곳 외에 2곳은 TG를 해본적이 없어서..
어떻게 푸는지 조차 모르는걸 보고 당황했습니다..-_-;
지방 중소도시에 살다보니.. 작업잘하는곳 찾기가 정말 힘드네요..ㅠㅠ
2007.04.25 02:09:54 (*.246.212.25)

저같은경우 찌그덕 소리는 스테빌라이져에서 났습니다. 우레탄부싱 사용중인데 구리스가 거의 없어졌더군요. 순정은 모르겠으나 우레탄경우 제조회사에서 주는 구리스(흰색-리튬구리스로 추정)를 우레탄부싱의 안쪽-스테빌라이져와만나는부분-에 도포해주라고 하더군요. 구리스 재 도포후에는 소리가 없어졌습니다.
2007.04.25 08:50:31 (*.192.187.141)

각종 내장재, 플라스틱류.. 사실 로워링을 하면서 충격흡수가 대폭 줄어들기에 거의 모든 부분이 안좋아지는듯...
제 경우엔 와이퍼암 쪽의 유리와 맞닿는 플라스틱판? 이 틀어졌는지 계속 떠는 소리가 나네요 교체하면 좋아진다고하는데 얼마나 갈지..
제 경우엔 와이퍼암 쪽의 유리와 맞닿는 플라스틱판? 이 틀어졌는지 계속 떠는 소리가 나네요 교체하면 좋아진다고하는데 얼마나 갈지..
2007.04.25 08:53:04 (*.192.187.141)

그나마 요즘 나오는 국산차들은 차체강성이 많이 좋아졌지만 구형차량들의 경우엔 차체자체가 틀어져 있는 경우도 있더군요.
2007.04.25 12:59:52 (*.94.41.89)

서스펜션의 하드한 셋팅아래 상단 마운트가 체결되는 새시부분이
조금씩 버섯처럼 솟아 오르는 경우(머쉬룸현상)도 있는것 같습니다
조금씩 버섯처럼 솟아 오르는 경우(머쉬룸현상)도 있는것 같습니다
2007.04.26 01:49:43 (*.109.97.16)

가장 큰 무리는 하우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도로여건에 하드타입이면 차대약한차는 하우스가 봉곳이 올라와 버리더군요;;;;
하체부위에 전부 무리가 갑니다만 연식이 좋으시니 부싱이 대부분의 충격을 흡수해줬을것으로 보입니다. 추후 부싱만 좀 더 빨리 가시면 될 거 같고 TG의 경우 휠하우스도 튼튼하니 큰 무리는 안 갔을듯 싶네요^^
하체부위에 전부 무리가 갑니다만 연식이 좋으시니 부싱이 대부분의 충격을 흡수해줬을것으로 보입니다. 추후 부싱만 좀 더 빨리 가시면 될 거 같고 TG의 경우 휠하우스도 튼튼하니 큰 무리는 안 갔을듯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