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초 롱 인테이크 파이프입니다..
안개등 바로 뒤편에 있는데.....
길이만 본다면 약 1M 는 되겠군요...
필터는 시모타 버섯돌이 빨간색을 쓰고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회원분들께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현재 76파이 롱 인테이크이며..
이전에 70파이 숏 인테이크 에 2000cc 대용량 건식 필터를 썻습니다..
롱으로 올린뒤 초반은 좋아졌는데.. 후반은 잘 모르겠더군요.....
그리고 NA 하이캠이나..터보나.. 숩차저의 경우 대부분 롱에서 숏으로 바뀌고 ..
단열 작업을 하시던데...........
매니 빼고 풀로 흡배기에 ECU 맵핑이 되어 있는 저의 상태라면..
76파이 숏인테이크로 단열 작업을 해야할지..
또는 그대로 롱으로 계속 써야할지... 롱에서 HKS 필터로 바꾸어볼지.. 아리송...합니다..
의견공유 부탁합니다..
2007.05.30 15:45:03 (*.178.101.34)

음... 그냥 재미죠..^^;;; 오토라도 한들.. 수동처럼 타는 습관때문에.. 미션오일이 버텨나지 못할정도입니다 ㅡㅡ..............
현재 트윈 인테이크도 작업 해보고쟈 합니다.. 궁금하네요.. 효과라기보단..ㅋ
현재 트윈 인테이크도 작업 해보고쟈 합니다.. 궁금하네요.. 효과라기보단..ㅋ
2007.05.30 15:51:59 (*.80.20.155)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인테이크 길이나 파이수를 가지고 재미삼아 쎄팅 하시는건
아주 유익하고 즐거운 일중에 하나일겁니다.
특별히 돈이 드는것도 아니고 간단하게 혼자서 diy 하실수도
있고 다만 측정방법에 있어서 정확도는 떨어질지 모르지만
자신의 차는 자신이 가장 잘 알고 느낌을 안다는 전제하에
놀이(?) 하시는 방법을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인테이크 관의 3대요소라 할 수 있는것이 관이 굵기와 길이 꺽임정도
입니다. 이중에서 오너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게 길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사실 흡기관내에서의 정압파와 부압파는
인테이크 총 길이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각각의 쎄팅에 맞는
길이를 찾는건 어찌보면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잇죠
다만 다이노사에서의 수치가 바뀌지는 많지만 토크 영역은 바뀝니다.
바로 이부분이 오너들이 재미있게 노실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요
먼저 길이를 4~5쎈타 단위로 변경을 해보세요 그러다 보면
가장 자신의 엔진에 잘 맞는 길이가 나올겁니다.
그때가 거의 정압파라고 보시면 맞을겁니다. 물론 거기엔
에어필터의 공기의 유동성도 중요하겠지만 엔진이 망가지거나
하는 문제가 아니니 만큼 잘못돼봐야 차가 좀 안나가는다는
그것 외에는 없으니 재미있게 쎄팅을 바꾸면서 한 동안 유희를
즐기실 수 있을겁니다. 나중에 리포트 해주세용 ^^;;
인테이크 길이나 파이수를 가지고 재미삼아 쎄팅 하시는건
아주 유익하고 즐거운 일중에 하나일겁니다.
특별히 돈이 드는것도 아니고 간단하게 혼자서 diy 하실수도
있고 다만 측정방법에 있어서 정확도는 떨어질지 모르지만
자신의 차는 자신이 가장 잘 알고 느낌을 안다는 전제하에
놀이(?) 하시는 방법을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인테이크 관의 3대요소라 할 수 있는것이 관이 굵기와 길이 꺽임정도
입니다. 이중에서 오너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게 길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사실 흡기관내에서의 정압파와 부압파는
인테이크 총 길이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각각의 쎄팅에 맞는
길이를 찾는건 어찌보면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잇죠
다만 다이노사에서의 수치가 바뀌지는 많지만 토크 영역은 바뀝니다.
바로 이부분이 오너들이 재미있게 노실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요
먼저 길이를 4~5쎈타 단위로 변경을 해보세요 그러다 보면
가장 자신의 엔진에 잘 맞는 길이가 나올겁니다.
그때가 거의 정압파라고 보시면 맞을겁니다. 물론 거기엔
에어필터의 공기의 유동성도 중요하겠지만 엔진이 망가지거나
하는 문제가 아니니 만큼 잘못돼봐야 차가 좀 안나가는다는
그것 외에는 없으니 재미있게 쎄팅을 바꾸면서 한 동안 유희를
즐기실 수 있을겁니다. 나중에 리포트 해주세용 ^^;;
2007.05.30 15:52:52 (*.87.60.90)
그냥 재미시라면...^^;;;
숏으로 바꾼다는 의미는 고알피엠에서 흡기효율을 좀 더 좋게 해서 고속토크를 높여보겠다는 생각입니다. 76파이 정도면 그다지 느낌이 안오실 거구요. 80파이던가? 정도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신 초반 가속에선 약간 굼뜨는 느낌이 납니다. 롱인테이크도 파이수와 길이에 따라 조금씩 토크영역이 달라지는데, 순정길이 + 180~200mm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말들 합니다. 참고하세요.
숏으로 바꾼다는 의미는 고알피엠에서 흡기효율을 좀 더 좋게 해서 고속토크를 높여보겠다는 생각입니다. 76파이 정도면 그다지 느낌이 안오실 거구요. 80파이던가? 정도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신 초반 가속에선 약간 굼뜨는 느낌이 납니다. 롱인테이크도 파이수와 길이에 따라 조금씩 토크영역이 달라지는데, 순정길이 + 180~200mm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말들 합니다. 참고하세요.
2007.05.30 15:55:22 (*.15.44.182)

양상규님 의견 보고 꼬리 내립니다 ^^
즐거운 튠하세요;
아.. 근데 이번에 안건데 ZF미션 너무 부럽습니다 ㅠ.ㅠ
알피엠이 몇이건 지정한 단으로 기어가 바뀐다면서요?
현대미션은 그런게 안되네요 ㅠ.ㅠ
서킷서 코너탈출시 그게 어찌나 아쉽던지;
즐거운 튠하세요;
아.. 근데 이번에 안건데 ZF미션 너무 부럽습니다 ㅠ.ㅠ
알피엠이 몇이건 지정한 단으로 기어가 바뀐다면서요?
현대미션은 그런게 안되네요 ㅠ.ㅠ
서킷서 코너탈출시 그게 어찌나 아쉽던지;
2007.05.30 16:10:22 (*.178.101.34)

지정한 단으로 바뀌는것이 일정 rpm 이 올라가도 자동 변속되지 않는것을 말슴하시는건지..^^;;
아이신 미션도 같은 타입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대 미션의경우 자동변속으로 넘어가는걸로 ㅡㅡ;;;;;;;;
흡기 작업이 그냥 막 하는것이 아니라...
일단 저는 트윈 인테이크로 한번 해볼까..싶기도 합니다..^^;
아이신 미션도 같은 타입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대 미션의경우 자동변속으로 넘어가는걸로 ㅡㅡ;;;;;;;;
흡기 작업이 그냥 막 하는것이 아니라...
일단 저는 트윈 인테이크로 한번 해볼까..싶기도 합니다..^^;
2007.05.30 18:22:11 (*.94.1.37)
예전에 탑스탑공장에서 인테이크 만들어 달라고 조르다가 거기 계신분의 아이디어로 인테이크 길이 조절을 하면서 테스트 했었답니다... 꺾는부분끝에 러버(맞나여? 용어가 가물거리네요..ㅜㅜ)를 연결하고 각 길이별로 길다란 관을 여러개 3Cm 정도 간격으로 된것을 주시더군요... 수원에서 조치원간 고속도로를 주구장창 왔다갔다하면서 인테이크 길이변화, 단열박스 여부, 고릴라 에어램 같은것 사용.. 등등 인테이크와 단열 혹은 단열박스의 여부로도 차량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경험하고 나름대로 최적의 설정을 했는데...
ㅎㅎ 그래도 지금 보면 그때가 참 재밌더군요..^^
ㅎㅎ 그래도 지금 보면 그때가 참 재밌더군요..^^
2007.05.31 02:56:50 (*.44.160.94)

그렇군요.. 차량마다 적당한 인테이크 길이가 있는거 같습니다..
순정 인테이크 라인보다는 길게 잡고... 20cm 정도 늘여서 해볼까 ..하는데..
궁금하네요..^^: 트윈 스로틀..... 한번 해볼까요..?
순정 인테이크 라인보다는 길게 잡고... 20cm 정도 늘여서 해볼까 ..하는데..
궁금하네요..^^: 트윈 스로틀..... 한번 해볼까요..?
2007.05.31 07:29:10 (*.192.244.14)

제가 타는 투스카니 2.0 흡기하이캠차량(ECU+TCU 통합)은 변속이 안되고 레드존을 넘어버리던걸요 ^^;; 4단에서 넘겨본적은 없고 2, 3단에서 넘겨본적은 있습니다. ^^;;;
한국 돌아가면 오토미션 강화 및 쿨러 장착하고 다닐려구요 ;)
한국 돌아가면 오토미션 강화 및 쿨러 장착하고 다닐려구요 ;)
과급튠하실것 아니라면 오토차량엔 그런것들이 크게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적당한 선에서 만족하심이 어떨지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