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친구와 함께 몇가지 정비를 할려고 준비 중입니다.
정비소에 맞기자니 부품값을 제외하고도 약 700불이 가뿐하게 넘더군요. 부품값 포함하면
수천불에 육박하는 정비라 한구같으면 그냥 맞길텐데 스스로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사브 정비 메뉴얼을 암만 찾아도 재고가 없다고 하여 맨땅에 삽질을 시작해야 할것 같습니다.
염치없게 또 테스트드라이브 QnA란에 기대게 되네요..
오일 교환 및 드라이븐 밸트(겉벨트), 배전기 씰, 에어콘 컴프레서와 드라이어 입니다.
차종은 사브 900s 2.3 NA엔진, 예전 배전기 방식입니다.
증상
1. 에어콘이 고rpm에서만 약하게 동작하고 배전기 쪽에서 오일이 누유되고 있습니다.
2. 에어콘 로우밸브-90psi근접 하이밸브 20psi근처 였습니다.
3. 에어콘 컴프레서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질문
좀 길것 같은데 제가 생각하고 있는 정비 수순에 문제점이 있다면
집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1. 배전기를 분해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단순 O링 교환이라서 크게 걱정하진 않고 있는데..
정확히 빼서 O링만 교체하고 바로 그대로 재장착하면 될런지요?
분리 :
-1. 배터리 분리
-2. 플러그와 배전기 사이 코드를 뽑는다.
-3. 너트를 풀고 배전기 분리.
재장착 :
-1. 기어와 배전기의 표식을 일치시키고
-2. 배전기 플랜지와 너트구멍을 일치시키고 장착.
-3. 코드 꼽고 배터리 결합
그런데 여기에서 다시 배전기를 장착할 때, 1번 피스톤을 상사점에 맞추라고 하는데, 하지 않아도 될런지 궁금합니다. (상사점 볼러면 플러그를 뽑아서 봐야할까요?)
2. 에어콘 컴프레서 교환에 관하여
오일은 이미 컴프레서 안에 들어있다고 합니다. 냉매 통로는 고무마개로 봉해진 채 배달되어 왔습니다. 가스 충전은 기계가 있는 정비소에 들러서 부탁할 요량입니다.
-1. 그냥 로우밸브를 눌러 가스를 몽땅 배출시켜도 괜찮을까요?
-2. 드라이븐 밸트 교환시 주의해야 할점은 뭘까요?
(텐셔너 풀고, 밸트 풀고 정비후 다시 밸트 걸고 텐셔너 잠그고 공회전 뒤 확실히 잠그는게 맞나요?)
-3. 컴프레서와 드라이어 교환 후 그냥 기계에 로우-하이 밸브 꼽으면 알아서 진공 만들고 가스주입이 되나요? 그렇게 보충하는 것은 봤는데 새로 교환장착은 잘 모르겠네요.
즐거운 하루 되시길^^;;
친구와 함께 몇가지 정비를 할려고 준비 중입니다.
정비소에 맞기자니 부품값을 제외하고도 약 700불이 가뿐하게 넘더군요. 부품값 포함하면
수천불에 육박하는 정비라 한구같으면 그냥 맞길텐데 스스로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사브 정비 메뉴얼을 암만 찾아도 재고가 없다고 하여 맨땅에 삽질을 시작해야 할것 같습니다.
염치없게 또 테스트드라이브 QnA란에 기대게 되네요..
오일 교환 및 드라이븐 밸트(겉벨트), 배전기 씰, 에어콘 컴프레서와 드라이어 입니다.
차종은 사브 900s 2.3 NA엔진, 예전 배전기 방식입니다.
증상
1. 에어콘이 고rpm에서만 약하게 동작하고 배전기 쪽에서 오일이 누유되고 있습니다.
2. 에어콘 로우밸브-90psi근접 하이밸브 20psi근처 였습니다.
3. 에어콘 컴프레서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질문
좀 길것 같은데 제가 생각하고 있는 정비 수순에 문제점이 있다면
집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1. 배전기를 분해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단순 O링 교환이라서 크게 걱정하진 않고 있는데..
정확히 빼서 O링만 교체하고 바로 그대로 재장착하면 될런지요?
분리 :
-1. 배터리 분리
-2. 플러그와 배전기 사이 코드를 뽑는다.
-3. 너트를 풀고 배전기 분리.
재장착 :
-1. 기어와 배전기의 표식을 일치시키고
-2. 배전기 플랜지와 너트구멍을 일치시키고 장착.
-3. 코드 꼽고 배터리 결합
그런데 여기에서 다시 배전기를 장착할 때, 1번 피스톤을 상사점에 맞추라고 하는데, 하지 않아도 될런지 궁금합니다. (상사점 볼러면 플러그를 뽑아서 봐야할까요?)
2. 에어콘 컴프레서 교환에 관하여
오일은 이미 컴프레서 안에 들어있다고 합니다. 냉매 통로는 고무마개로 봉해진 채 배달되어 왔습니다. 가스 충전은 기계가 있는 정비소에 들러서 부탁할 요량입니다.
-1. 그냥 로우밸브를 눌러 가스를 몽땅 배출시켜도 괜찮을까요?
-2. 드라이븐 밸트 교환시 주의해야 할점은 뭘까요?
(텐셔너 풀고, 밸트 풀고 정비후 다시 밸트 걸고 텐셔너 잠그고 공회전 뒤 확실히 잠그는게 맞나요?)
-3. 컴프레서와 드라이어 교환 후 그냥 기계에 로우-하이 밸브 꼽으면 알아서 진공 만들고 가스주입이 되나요? 그렇게 보충하는 것은 봤는데 새로 교환장착은 잘 모르겠네요.
즐거운 하루 되시길^^;;
먼저 직접 DIY 하시는쪽을 택하셨는데요 그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질문하신 배전기 문제는 한 가지 첨언을 드리면 뽑으실때 마커팬으로
마킹을 하시면 나중에 꽂으실때 확실히 편합니다.순서가 바뀔 염려가 없으니
그리고 1번 피스톤 상사점 찾는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바로 정타이밍일때가 4기통 엔진에서 1번과 4번이 상사점인 순간이니
혹시 타이밍 보실줄 안다면 정타임에 놓으시면 됩니다.
여의치 않으시면 완전한 정타임을 찾기는 조금 힘들지만 섬세한 조작을
하시면 가능한 방법으로는 1번 플러그를 빼신후 길다른 드라이버를
넣습니다. 그런후 조심스레 크랑크풀리를 돌리시면(돌리시려면 플러그
모두 빼시는게 좋습니다 잘 안돌아요 압축땜에) 드라이버가
움직일겁니다. 그때 위로 솟구쳐서 어느순간 정지해 있다가 내려가는 순간이
생깁니다. 그 내려가는 순간과 움직이지 않는 구간을 다시 한번
반복합니다. 약 360도를 기준으로 3~4도 정도 무위각이 있을겁니다.
그 무위각의 중간지점이 상사점입니다.
그런 연후에 배전기를 바꾸시면 됩니다. 잘못되면 점화타이밍이
틀어져서 엔진이 절어버립니다 ^^;;
에어컨컴프의 교환시에는 밸브를 눌러서 배출 하기는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그런 경우 컴프레셔에 보시면 두 군데로 하이 로우 노즐이
있고 거기에 12미리 내지는 13미리로 고정이 되어 있을겁니다.
그걸 풀러서 밸브를 빼시면 가스는 방출이 됩니다. 단 구냉매는 이방법을
쓰지 마시기 바랍니다. 대기오염의 주범입니다.
그리고 주입시는 어차피 기계로 진공을 잡아야합니다.
에어컨 가스는 압력으로 밀어 넣은게 아니라 라인및 개스가 들어있는
컴프등에 진공을 형성한 후 개스가 빨려 들어가는 타입이므로
개스 주입시는 진공을 잡기위한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며 에어컨 냉매오일도
필요합니다. 이는 브레이크 오일과 흡사해서 대기중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분이므로 한 번 사용하신 오일은 아무리 밀봉을 잘 하셔도 장시간
비치하면 쓸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개스주입은 업체로 가셔서 하시는게
미모저모 유리할겁니다. 이왕이면 개스를 주입할 곳에 가셔서 개스를 장비로
먼저 수거해 달라고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럼 성공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