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신차 아우디A84.2를 참존에서 2달전에 출고했습니다.
딜러복이 없던지... 출고한 차가 제가 구경간 전시장에 전시된 차를 출고시켜주더군요. 첨에는 몰랐다가 나중에 알게됬어요. 신차인데 주행거리가 40정도 된거 같구, 미리 네비게이션이랑 디엠비도 달려있고 무엇보다 MMI에 사용자 세팅에 엄한 사람이 입력되어있어 주행한 차를 준거 아닌가 흥분하니 200만원을 주고 사정하더군요. 기분이 무척 나빴지만 본이 곤란해서 경고받는다고 사정해 그냥 타게 되었습니다(이미 번호판이고 등록 다해왔더군요)근데 첨 주행후 300킬로주행하니 노란색 경고등(엔진오일Min으로 되었는)이 들어와 항의를 했지요. 삐소리와 함께 주행중 들어와 엄청 항의하니 렉카를 끌고와 점검해준다고 들어갔습니다. 결과는 이상무... 엔진오일 보충하고 괜찮을거라고 차가 그럴수 있다는 다소 이해안되는 말만하다가... 약 200-300킬로 주행마다 들어오더군요. 나중엔 저도 무감각해지게 되어 결국 일주일 차 맡기고 대차한뒤, 엔진오일센서 교환후 이상없다고 주행해보니 에러 안나온다는 말에 다시 주행중 또 불이 들어오더군요.
여러번 에러등이 들어와 관찰해보니 고속도로등의 100킬로 이상 고속주행을 2-3시간 정도 하면 들어오는거 같습니다. 그러다가 알게된 사실은 시동이 걸린상태에서나 끈상태에서 에러등들어오고 바로 엔진오일찍으면 기압이 같아져서인지 경고등이 꺼지더군요. 엔진오일 찍지 않은 상태에서라면 엔진시동을 끄고 한참두거나 아니면 저속주행 혹은 정차 아이들을 오래도록 하면 경고등이 사라집니다.
엔진이 열을 받거나 회전이 많아지면 들어오게 되는것 같은데. 센터에서 경고등들어오고 나서 물려봐야정상으로 나오네요.
이런 증상을 경험하신분들 혹은 이런 증상을 고친 분들이 있으신지 궁금하고 조언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전시된 차량은 혹 주행하다 불량난차를 전시하는것은 아닌지요. 아니면 주행하던 시승차를 전시차량으로 두다가 팔아먹은건지도 의심됩니다.
부탁드립니다.
딜러복이 없던지... 출고한 차가 제가 구경간 전시장에 전시된 차를 출고시켜주더군요. 첨에는 몰랐다가 나중에 알게됬어요. 신차인데 주행거리가 40정도 된거 같구, 미리 네비게이션이랑 디엠비도 달려있고 무엇보다 MMI에 사용자 세팅에 엄한 사람이 입력되어있어 주행한 차를 준거 아닌가 흥분하니 200만원을 주고 사정하더군요. 기분이 무척 나빴지만 본이 곤란해서 경고받는다고 사정해 그냥 타게 되었습니다(이미 번호판이고 등록 다해왔더군요)근데 첨 주행후 300킬로주행하니 노란색 경고등(엔진오일Min으로 되었는)이 들어와 항의를 했지요. 삐소리와 함께 주행중 들어와 엄청 항의하니 렉카를 끌고와 점검해준다고 들어갔습니다. 결과는 이상무... 엔진오일 보충하고 괜찮을거라고 차가 그럴수 있다는 다소 이해안되는 말만하다가... 약 200-300킬로 주행마다 들어오더군요. 나중엔 저도 무감각해지게 되어 결국 일주일 차 맡기고 대차한뒤, 엔진오일센서 교환후 이상없다고 주행해보니 에러 안나온다는 말에 다시 주행중 또 불이 들어오더군요.
여러번 에러등이 들어와 관찰해보니 고속도로등의 100킬로 이상 고속주행을 2-3시간 정도 하면 들어오는거 같습니다. 그러다가 알게된 사실은 시동이 걸린상태에서나 끈상태에서 에러등들어오고 바로 엔진오일찍으면 기압이 같아져서인지 경고등이 꺼지더군요. 엔진오일 찍지 않은 상태에서라면 엔진시동을 끄고 한참두거나 아니면 저속주행 혹은 정차 아이들을 오래도록 하면 경고등이 사라집니다.
엔진이 열을 받거나 회전이 많아지면 들어오게 되는것 같은데. 센터에서 경고등들어오고 나서 물려봐야정상으로 나오네요.
이런 증상을 경험하신분들 혹은 이런 증상을 고친 분들이 있으신지 궁금하고 조언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전시된 차량은 혹 주행하다 불량난차를 전시하는것은 아닌지요. 아니면 주행하던 시승차를 전시차량으로 두다가 팔아먹은건지도 의심됩니다.
부탁드립니다.
2007.06.07 22:03:16 (*.215.1.122)

공장에서 나오면서부터(이때 랜덤하게 차를 골라서 주행테스트를 간단하게 하기도 합니다..공장 부지내의 테스트코스에서.. ) 배에 싣고 다시 배에서 내리고 pdi 센터안에서 조금 왓다갓다하며 작업하다가(오래 한자리 세워두면 타이어가 짱구나기에 계속 주기적으로 시동도 걸어주고 위치이동도 시키고 합니다...몇백대에서 몇천대의 차량을 스케쥴표에 마추어 전문적으로 그 작업만 하는 팀이 있을정도니까요..) 트레일러에 싣고 또 전시장에서 내리고... 그외 작업들이나 전시하면서 움직이고.. 이런 거리가 있기 때문에 주행한 차로 보긴 힘듭니다. 메이커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보통 50km 이하의 주행거리는 위와같은 이유로 신차로 보는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다른사람의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있다는 부분은 해당 딜러에서만이 파악할수있을듯.. (사실 MMI가 뭔지 모름 ㅠ.ㅠ)
다만 다른사람의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있다는 부분은 해당 딜러에서만이 파악할수있을듯.. (사실 MMI가 뭔지 모름 ㅠ.ㅠ)
2007.06.08 09:32:45 (*.148.159.138)

MMI는 Man-Machine Interface죠...
BMW의 i-Drive와 같이 일종의 통합 컨트롤러라고 보시면 됩니다...
액정에 표시되는 여러 정보 및 각종 장치 조절을 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공조, Audio 등)
제 생각에도 정밀 진단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병원과 정비소의 공통점이 생각나네요...
"아픈 증상(이상 증상)이 있을때 오셔야 정확히 진단해드릴 수 있습니다..."
ㅡ.ㅡ;;
BMW의 i-Drive와 같이 일종의 통합 컨트롤러라고 보시면 됩니다...
액정에 표시되는 여러 정보 및 각종 장치 조절을 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공조, Audio 등)
제 생각에도 정밀 진단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병원과 정비소의 공통점이 생각나네요...
"아픈 증상(이상 증상)이 있을때 오셔야 정확히 진단해드릴 수 있습니다..."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