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오라 제 모빌의 이상증상의 원인을 도대체 모르겠습니다.
혹시라도 아시는분 있으시면 고견바랍니다. ^^*
차명: 티뷰론터뷸런스 2001년식 타입 R 오토
현재 95000km 주행중...8만킬로에 타임벨트작업, 플러그+배선 교체
작년 7월경 중고미션으로 교체
휠타야+ 서스를 제외한 올 순정상태유지
9만킬로 넘어가면서부터 가끔씩 이상증상이 나타납니다.
1차이상증상: 주차시 후진(R) 기어넣고 후진할려고 브레이크페달을 놓으면
시동꺼짐 증상이 있었습니다. 근처 카센터에 스캔을 해보니
맵센서 이상으로 진단~! 제가 부품사다가 교체했습니다.
이후 후진시 시동꺼짐 증상 없어짐..
2차증상: 맵센서 교체후 시동꺼짐증상이 없어졌다가 얼마후, 신호대기시나
주행후 정차시 시동꺼짐증상. 스캔찍어봐도 정상으로 나옴
아는분의 조언으로 스로틀바디청소실시..
그래도 가끔씩 시동꺼짐 증상 발생
추가이상증상: 어젯밤 내리막 주행중 악셀오프시키고 탄력주행중인데
알피엠이 2500~2800정도사이로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주행중이었으므로 (미션은 D) 차가 살짝 울컥울컥 합니다.
도대체 제 터비...왜 이러는겁니까??
혹시 이런 증상 겪어보신 회원님들 계신지요...ㅠㅠ
혹시라도 아시는분 있으시면 고견바랍니다. ^^*
차명: 티뷰론터뷸런스 2001년식 타입 R 오토
현재 95000km 주행중...8만킬로에 타임벨트작업, 플러그+배선 교체
작년 7월경 중고미션으로 교체
휠타야+ 서스를 제외한 올 순정상태유지
9만킬로 넘어가면서부터 가끔씩 이상증상이 나타납니다.
1차이상증상: 주차시 후진(R) 기어넣고 후진할려고 브레이크페달을 놓으면
시동꺼짐 증상이 있었습니다. 근처 카센터에 스캔을 해보니
맵센서 이상으로 진단~! 제가 부품사다가 교체했습니다.
이후 후진시 시동꺼짐 증상 없어짐..
2차증상: 맵센서 교체후 시동꺼짐증상이 없어졌다가 얼마후, 신호대기시나
주행후 정차시 시동꺼짐증상. 스캔찍어봐도 정상으로 나옴
아는분의 조언으로 스로틀바디청소실시..
그래도 가끔씩 시동꺼짐 증상 발생
추가이상증상: 어젯밤 내리막 주행중 악셀오프시키고 탄력주행중인데
알피엠이 2500~2800정도사이로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주행중이었으므로 (미션은 D) 차가 살짝 울컥울컥 합니다.
도대체 제 터비...왜 이러는겁니까??
혹시 이런 증상 겪어보신 회원님들 계신지요...ㅠㅠ
2007.07.06 11:21:37 (*.235.9.181)

스로틀바디와 관련된 유사 증상이라면 양심있는 카센터에서는 먼저 청소를 권합니다. 그냥 인테이크 파이프 뽑고 세정제 뿌리고 드라이버에 천 감아서 닦는거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라고 하더군요. 주행 조건에 따라서는 제대로 분해해서 청소하거나 교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고 들었습니다. 전 미케닉이 아니니 참고만 하세요.
2007.07.06 11:36:15 (*.227.22.57)

시동꺼짐은 펄스제너레이터 신호선의 문제지 싶습니다?
혹여 초기 시동시 보단 차가 어느정도 주행후 즉 열이 제대로 올랐을때 그런다면
그 신호선때문이라고 하더라구요
배선이 배기매니 옆을 지나가는데 오래동안 열에 노출되어 있다보니
커넥터부위가 열 경화로 변형이 있어난다는군요.
그쪽도 체크해 보세요.
혹여 초기 시동시 보단 차가 어느정도 주행후 즉 열이 제대로 올랐을때 그런다면
그 신호선때문이라고 하더라구요
배선이 배기매니 옆을 지나가는데 오래동안 열에 노출되어 있다보니
커넥터부위가 열 경화로 변형이 있어난다는군요.
그쪽도 체크해 보세요.
2007.07.06 13:33:13 (*.221.65.244)
터뷸런스는 크랭크각센서 불량으로 시동꺼짐현상이 빈번한것같습니다. 동호회에서도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아예 다들 '당연하게' 여기고 있더군요;
2007.07.06 13:33:59 (*.39.111.184)

음 tps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피코의 tps는 불량율로 유명하죠
문제는 스캔도 정상으로 봐주는데 지 혼자 고장일으켜서
간헐적 증세를 보입니다. ^^;;
문제는 스캔도 정상으로 봐주는데 지 혼자 고장일으켜서
간헐적 증세를 보입니다. ^^;;
2007.07.06 13:36:10 (*.95.153.127)

제 차하고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군요.....
그동안 순서대로 해본 짓을 들자면,
1. 스로틀 바디 청소
2. 점화 플러그및 와이어 교체
3. 아이들링 콘트롤센서 교체
4. 연료 필터 및 펌프 교체
5. 타이밍 체크
스캐너에선 아이들링 쪽이라고 뜨긴했습니다만 별짓을 다하고도
못 잡던걸 얼마전에 ECU까지 교환하고 나니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네요.
제 경우엔 엔진이 꺼지는 주기가 점점 잦아지던데 달리다가 서버리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문제가 빨리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그동안 순서대로 해본 짓을 들자면,
1. 스로틀 바디 청소
2. 점화 플러그및 와이어 교체
3. 아이들링 콘트롤센서 교체
4. 연료 필터 및 펌프 교체
5. 타이밍 체크
스캐너에선 아이들링 쪽이라고 뜨긴했습니다만 별짓을 다하고도
못 잡던걸 얼마전에 ECU까지 교환하고 나니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네요.
제 경우엔 엔진이 꺼지는 주기가 점점 잦아지던데 달리다가 서버리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문제가 빨리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2007.07.07 00:23:40 (*.140.151.159)

많은 회원님들의 고견 감사합니다. (_ _) . 대충 의견을 들어보니 간단한 스로틀바디 청소부터 ECU 교체까지 있네요. 그동안의 증상을 분석해보면 크랭크각 센서불량이나 ECU등으로 좁혀지는 듯합니다. 다행히도 시동꺼짐증상은 그리 자주 나타나지는 않구요. 주행중에는 이상없습니다. 하지만 달리다가 시동이 꺼질까~하는 걱정이 사라지지 않네요. 조만간 중고 ECU라도 알아봐야겠습니다.(새거는 비쌀런지...) 많은 고견 정말 감사드리구요. 제목은 수정했습니다. (테드에 글을 거의 올리지않는 유령회원이란것이 탄로나는 순간이네요. ^^:)
2007.07.07 02:19:15 (*.182.232.143)

최진영님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자면....우선 차량은 아반떼지만 베타엔진이 탑재되어 있어서 비슷하리라고 보구요. 제 경우에는 시동이 꺼지는일은 딱 한번 산소센서의 쇼트 문제로 있었고 그 외는 아이들이 불안정하여 마치 예전의 하이캠을 장착한것처럼 시동이 꺼질듯 말듯한 증상을 보였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들이 별이유없이(스캔해도 안나올때) 불안정할때는 스로틀보디 청소를 많이 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 보다는 스로틀보디를 탈거해서 안쪽까지 깨끗이 닦아주시는걸 추천해 드리구요 이 작업을 하면서 ISC밸브도 같이 청소를 해주었습니다. 그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한다고 했지만 카본이 생각보다 많이 쌓였더라구요. 카뷰레타크리너를 아낌없이 구석구석 많이 쏴주고 흡기매니폴드 안쪽까지 구석구석 뿌리고 손으로 닦을수 있는곳까지는 걸레로 닦아내고 나서야 정상상태를 되찾았습니다.
위에서 많은 분이 언급하셨던 CPS의 경우 두번의 교체가 있었는데 제 경우에는 CPS 불량때 증상은 주행중에도 울컥거리는 현상이 많이 보였습니다.(주행이 정상이고 스캔해서 안뜬다면 이건 아닌듯 하네요)
위에서 많은 분이 언급하셨던 CPS의 경우 두번의 교체가 있었는데 제 경우에는 CPS 불량때 증상은 주행중에도 울컥거리는 현상이 많이 보였습니다.(주행이 정상이고 스캔해서 안뜬다면 이건 아닌듯 하네요)
2007.07.07 02:37:23 (*.142.70.13)

반갑습니다. 최진영님^^
괜히 터비 오너로써 반가워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동호회에서 자주 올라오는 글 같은데... 제가 고수가 되지 못하다 보니 인폼을 드릴수는 없네요.
다행히 저는 20만 km가 넘도록 이 문제는 발생을 안했습니다.^^ 일명 뽑기를 잘한것 같네요^^;;
진영님의 터비도 빠른 회복이 되길 바랍니다.^^
괜히 터비 오너로써 반가워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동호회에서 자주 올라오는 글 같은데... 제가 고수가 되지 못하다 보니 인폼을 드릴수는 없네요.
다행히 저는 20만 km가 넘도록 이 문제는 발생을 안했습니다.^^ 일명 뽑기를 잘한것 같네요^^;;
진영님의 터비도 빠른 회복이 되길 바랍니다.^^
2007.07.07 03:34:10 (*.213.163.116)

진영님 애마도 리콜대상 이셨던듯... 예전에 이와 관련된 문제로 현대에서 리콜을 해줬드랬는데.. 제 경우는 리콜 연락을 받고 사업소 가서 고쳤습니다만.. 문제는 맵센서 배선쪽 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정확히 어떤 작업이었는지 기억이 나질않네요... 아무튼 당시엔 정말 별거 아닌 작업이었던걸로....^^; 정확히 확인해보고 쪽지라도 드릴께요...^^
2007.07.07 03:42:29 (*.213.163.116)

확인해보니 스캔으로도 불량코드 나오지않고 아이들 부조화나 시동꺼짐의 증상이 리콜 대상이었구요... 해결방법은 맵센서 배선의 길이연장과 그리하고도 같은증상의 발생의 경우 맵센서 까지 교환해 줬었네요...^^;
제 경우엔 배선만 연장하여 증상이 사라졌었네요... 생산시 배선의 길이를 짧게 만들어 엔진의 울컥거림으로 배선의 단선이나 간섭이 일어나 그랬다는군요... 확인해보심이...^^;
제 경우엔 배선만 연장하여 증상이 사라졌었네요... 생산시 배선의 길이를 짧게 만들어 엔진의 울컥거림으로 배선의 단선이나 간섭이 일어나 그랬다는군요... 확인해보심이...^^;
2007.07.07 08:43:57 (*.39.111.184)

앵글각쎈서 불량은 진단이 의외로 간단합니다.
오토의 경우는 2단 고정 하시고 주행시 알피엠을 올려보면
5500에서 컷이 걸립니다.(오토는 공회전에서 하면 안됩니다.
미션의 보호를 위해서 컷을 겁니다)
베타의 경우 거의 울컥거림은 tps 가 많습니다.
울컥거릴때 알피엠 보상이 안되서 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ecu 의 경우는 칩튠 하신거 아니면 그런 증상은 나오기가 힘들죠
17500원이면 해결될듯 한데요?
오토의 경우는 2단 고정 하시고 주행시 알피엠을 올려보면
5500에서 컷이 걸립니다.(오토는 공회전에서 하면 안됩니다.
미션의 보호를 위해서 컷을 겁니다)
베타의 경우 거의 울컥거림은 tps 가 많습니다.
울컥거릴때 알피엠 보상이 안되서 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ecu 의 경우는 칩튠 하신거 아니면 그런 증상은 나오기가 힘들죠
17500원이면 해결될듯 한데요?
2. 연료필터,연료펌프 등의 연료순환계
3. 스로틀바디,플러그,배선등의 점화계통계
등의 순서로 점검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