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i30 구입예정을 계속 진행중에 있다보니
VDC가 걸리더군요. 61만원짜리 옵션인데 -_-;
음.. 이게 있는게 날까요? 1.6 엔진이라 크게
개입하고 할건 없을것같기도 한데...
좀 고민이긴합니다. 기왕 하는거 다는게 좋을지
아니면 그냥 운전 스킬로 커버할수 있는 기술인건지...
차에대해 잘 모르는것도 아닌데 왠지 의견을 여쭈어 보고 싶네요. ^^;
VDC가 걸리더군요. 61만원짜리 옵션인데 -_-;
음.. 이게 있는게 날까요? 1.6 엔진이라 크게
개입하고 할건 없을것같기도 한데...
좀 고민이긴합니다. 기왕 하는거 다는게 좋을지
아니면 그냥 운전 스킬로 커버할수 있는 기술인건지...
차에대해 잘 모르는것도 아닌데 왠지 의견을 여쭈어 보고 싶네요. ^^;
2007.07.15 19:17:40 (*.100.185.174)

저도 별로 안권합니다..... 절대 현대다 단독옵션으로 안했을것 같구요.... 왠지 스포츠주행으로 하는 차에게 파워도 넘치는 차도 아닌데 말이죠..... 눈길/빙판길/빗길을 잘 모르고 다니는 사장+여사님들이 아닌 이상은 크게 메리트가 없지요.... ABS만 으로도 80% 정도 운전 실수는 커버가 될뜻 합니다.... 다른 의견들을 봅니다...
2007.07.15 22:54:00 (*.133.138.117)

단지 61만원으로 VDC를 추가할수 있다면 다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와인딩시에는 VDC를 끄고 타는게 더 편합니다만
돌발상황이 생길수 있는 공도에서는 VDC가 있는편이 마음이 놓이더군요
예를 들자면 코너끝에 장애물이 있어 급감속을 요하는 경우
아직 운전이 미숙한 관계로.. T-T
VDC가 없는 경우에는 좀 난감한반면 VDC가 있는 경우는
독립브레이킹으로 트레일브레이킹을 잘 서포트 해 줍니다..^^;;
또한 빗길 주행시에도 효과가 확실하죠
ps. 운전 잘하시는 분은 VDC 필요 없슴당.. ㅋ
와인딩시에는 VDC를 끄고 타는게 더 편합니다만
돌발상황이 생길수 있는 공도에서는 VDC가 있는편이 마음이 놓이더군요
예를 들자면 코너끝에 장애물이 있어 급감속을 요하는 경우
아직 운전이 미숙한 관계로.. T-T
VDC가 없는 경우에는 좀 난감한반면 VDC가 있는 경우는
독립브레이킹으로 트레일브레이킹을 잘 서포트 해 줍니다..^^;;
또한 빗길 주행시에도 효과가 확실하죠
ps. 운전 잘하시는 분은 VDC 필요 없슴당.. ㅋ
2007.07.16 00:23:43 (*.140.33.133)

i30의 경우 61만원 추가로 VDC가 장착 가능합니다. ^^ 물론 어느정도 트림레벨 이상일때의 이야기이지만, 제가 사려는 모델에서는 선룹 45만원인가 암튼 그정도에 VDC가 61이더군요. 먼저 타던 TSX는 VDC가 있었는데 잘 쓰는걸 못느꼈었는데 혹시나~ 하는 마음에..^^;
2007.07.16 00:25:49 (*.215.1.153)

제 생각은 조금 다른게... 어느정도 운전(중급?)을 하시는 분일수록 vdc같은 자세제어장치가 더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물론 트레일브레이킹을 완벽하게 마스터 했다면 불필요하겠지만서도.. 제 경우엔 dsc나 vdc 같은 제어장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더 깊고 늦게 트레일브레이킹을 가져가면서 더 빠른 코너공략이 가능했거든요.
뭐..슈마허같은 아나로그 레이서 혹은 알론소같은 일렉트릭 레이서로 각자 취향이 갈리는 부분이긴하지만 ^^;
다만 M 시리즈나 페라리의 그것처럼 단계별로 사용자가 세팅이 가능하거나 너무 지나친 개입으로 세팅이 안되어있을때의 이갸기겠죠..
뭐..슈마허같은 아나로그 레이서 혹은 알론소같은 일렉트릭 레이서로 각자 취향이 갈리는 부분이긴하지만 ^^;
다만 M 시리즈나 페라리의 그것처럼 단계별로 사용자가 세팅이 가능하거나 너무 지나친 개입으로 세팅이 안되어있을때의 이갸기겠죠..
2007.07.16 09:09:14 (*.87.60.117)

이번에 아이써티 옵션선택에서 딱하나 잘해놓은 건 중간 트림에서도 VDC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놓은 것입니다. 대부분 현대차가 최고 트림에서만 선택하도록 한거에서 많이 발전한거죠.
강추합니다. 매일 써킷만 타는 것도 아니고, ABS와는 차원이 다른 안전장치이기에 눈길,빗길을 예측할 수 없는 공도에서는 필수옵션이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강추합니다. 매일 써킷만 타는 것도 아니고, ABS와는 차원이 다른 안전장치이기에 눈길,빗길을 예측할 수 없는 공도에서는 필수옵션이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007.07.16 09:09:50 (*.100.185.174)

제가 경험한 느낌으로는 전자제어장치에 너무 민감한것 같네요.... 또한 살짝 슬라이딩을 이용한 코너인/아웃시 자동으로 언더와 오버로 조절해주는것 같은 느낌이였는데.... 남의차라서 좀 더 적극적인 코너링은 못했는데..... 저한테는 익숙하지 않은 장비이더군요.... 차라리 ABS는 하프락 상태까지 시도해봤는데.... 좀더 노면에 덜 민감하게 반응할수 있어 중이상 그립이상 타이어셋팅시 도움이 될것 같았습니다..... 순정 타이어는 하프락 제동시 타이어 신음소리에 예매하던군요...... 암튼 VDC는 개인차가 있는 장치입니다..... 적극적으로 이용하시는 분도 있고, 스터어링 필링에 방해가 될수도 있어 싫어하시는 분도 있으니까요
2007.07.16 10:04:39 (*.32.114.167)

i30의 VDC는 이전에 적용된 다른 현대차들에 비해 개입시점을 상당히 늦춰 놓았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VDC같은 전자장비를 싫어하긴 합니다만 옵션 장난이 아닌 VDC만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면 평상시에는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선택할 것 같습니다.
2007.07.17 00:35:09 (*.211.137.233)

서킷 전용으로 타는 차가 아니라면 당연 전자장비는 갖추는 것이 좋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정말 뛰어난 랠리드라이버가 아닌 이상 다양한 노면 및 환경에서 돌발상황을 헤쳐나가는데는 VDC등의 전자장비들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근 2년 가까이의 클릭참가경험상 서킷과 같이 대부분 예측가능한 상황과 모두 다 한가닥하는 드라이버들과 같이 달리는 시합과 달리 공도는 정말 수많은 김여사들과 타막랠리를 하는 것에 같다고 생각됩니다. ^^
2007.07.17 00:38:44 (*.211.137.233)

이번에 기종변경한 차에 VDC가 달려있는데 아직은 한번도 느껴보지 못했네요. 뭐...아직 심하게 타보지도 못했거니와 차의 출력에 비해 너무 과도한 타이어를 끼고 있어서리 ㅠㅠ
(TG Q270, 245/45/18)
정지시 락제어(ABS), 출발시 슬립제어(TCS) 와 달리 VDC는 주행중의 차량 거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나름 상당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TG Q270, 245/45/18)
정지시 락제어(ABS), 출발시 슬립제어(TCS) 와 달리 VDC는 주행중의 차량 거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나름 상당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2007.07.17 01:43:13 (*.133.138.117)

TG의 경우에는 약간 과장해서 시동을 건 후부터
시동을 끌때까지 VDC가 항상 개입합니다.. -_-;;
직선이나 코너나 쭈욱~~
시동을 끌때까지 VDC가 항상 개입합니다.. -_-;;
직선이나 코너나 쭈욱~~
2007.07.17 12:41:29 (*.83.144.52)

명근님 표현이 예술입니다.
사실 TG가 아니었다면 그렇게 무조건 개입이 아니었을텐데, 소비자의 성향이 그렇다보니 그럴겁니다.
사실 TG가 아니었다면 그렇게 무조건 개입이 아니었을텐데, 소비자의 성향이 그렇다보니 그럴겁니다.
2007.07.19 01:09:02 (*.133.138.117)

빙판길이나 모래밭등 에서 완전 슬립시에는 VDC램프가 점등 됩니다만
약간씩 개입할때는 VDC램프는 들어오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VDC on 상태에서는 코너를 탈출할때 스로틀을 전개하여
슬라이드로 나오려 해도 엑셀은 허당이 되죠.. -_-;;
물론 VDC램프는 켜지지 않습니다.. ㅋ
약간씩 개입할때는 VDC램프는 들어오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VDC on 상태에서는 코너를 탈출할때 스로틀을 전개하여
슬라이드로 나오려 해도 엑셀은 허당이 되죠.. -_-;;
물론 VDC램프는 켜지지 않습니다.. ㅋ
2007.07.19 19:55:06 (*.94.41.89)

VDC만 선택 가능하다면 저는 선택 할 것입니다.
진입로 급가속 등에서도 유용함을 경험 해 보기도 했고, 격하게는 타지만 레이싱을 하지 않는 입장에서 적극 추천 합니다.
진입로 급가속 등에서도 유용함을 경험 해 보기도 했고, 격하게는 타지만 레이싱을 하지 않는 입장에서 적극 추천 합니다.
대신 vdc를 달기위해서 불필요한 그레이드까지 올라가야 한다면 그건 낭비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