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울산의 장요섭입니다.
6월 말에 엔진을 오버홀하였습니다.
테드가족분들께 구한 자문과 여러가지 상황을 토대로 샵에 입고후
상황을 살펴보니 피스톤 링 마모로 인한 손상으로 오일이 새는
현상이었습니다.
그로인해 오일이 줄줄 새다못해 하부는 아주 오일로 떡이 되어
있더군요. ㅡ.,ㅡ; 흠... 머 이래저래 0.4정도 헤드포팅도 하고
피스톤 교체하고 밸브실 교체하고 오토텐션 교환하고 타이밍풀셋
교환하고 현재까지 1,200km정도 주행을 하였습니다.
오버홀 후 순정광유로 길들이기중이었으나 주행 중간중간 오일량을
체크해보니 줄어들고 있던데 900km때 오일량을 체크해보니 오일스틱에
묻어나오지 않더군요. ㅡ.,ㅡ 대략난감~
그래서, 자택에서 보유중인 저가형 엔진오일 5W50을 2리터를 보충하니
F선을 조금 오버하더군요. 그 이후로 현재까지 약 300km를 주행
했습니다만 오일량의 유지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은 듯 합니다.
제 차량은 96년식 마르샤 수동이고 2.0 시리우스에 맵방식입니다.
포팅으로 인한 압축비 변화로 온도가 상승하다보니 광유가 고온에
유지력이 약한탓에 오일이 줄어들 수도 있나요?
현재 급보충한 오일은 합성유입니다.
현재 엔진 관련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7년 6월 중후반경 부산 구서동 소재 샵에서 오버홀함
덴소 이리듐 열가 7 플러그, Zero4R 케이블, 점화코일 5월 교체
질문 요점.
1. 오버홀 후 주입한 광유가 열이 많이 발생하는 시리우스 엔진에
고온에서의 부하로 인하여 오일량이 천킬로 이내에서 줄수 있는지?
2. 냉각효과를 적은 비용으로 얻으려면 서머스텟의 후면부 스프링코일을
한두코 정도 절단하여 스포츠서머스텟의 효과를 얻는것과 상면부에
홀을 두세개 뚫어서 냉각효과를 보는 것, 별로 내키지는 않지만 순정
와셔와 너트등을 이용하여 1cm미만의 범위에서 본넷후드업을 시키는
것도 심각히 고려중입니다.
6월 말에 엔진을 오버홀하였습니다.
테드가족분들께 구한 자문과 여러가지 상황을 토대로 샵에 입고후
상황을 살펴보니 피스톤 링 마모로 인한 손상으로 오일이 새는
현상이었습니다.
그로인해 오일이 줄줄 새다못해 하부는 아주 오일로 떡이 되어
있더군요. ㅡ.,ㅡ; 흠... 머 이래저래 0.4정도 헤드포팅도 하고
피스톤 교체하고 밸브실 교체하고 오토텐션 교환하고 타이밍풀셋
교환하고 현재까지 1,200km정도 주행을 하였습니다.
오버홀 후 순정광유로 길들이기중이었으나 주행 중간중간 오일량을
체크해보니 줄어들고 있던데 900km때 오일량을 체크해보니 오일스틱에
묻어나오지 않더군요. ㅡ.,ㅡ 대략난감~
그래서, 자택에서 보유중인 저가형 엔진오일 5W50을 2리터를 보충하니
F선을 조금 오버하더군요. 그 이후로 현재까지 약 300km를 주행
했습니다만 오일량의 유지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은 듯 합니다.
제 차량은 96년식 마르샤 수동이고 2.0 시리우스에 맵방식입니다.
포팅으로 인한 압축비 변화로 온도가 상승하다보니 광유가 고온에
유지력이 약한탓에 오일이 줄어들 수도 있나요?
현재 급보충한 오일은 합성유입니다.
현재 엔진 관련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7년 6월 중후반경 부산 구서동 소재 샵에서 오버홀함
덴소 이리듐 열가 7 플러그, Zero4R 케이블, 점화코일 5월 교체
질문 요점.
1. 오버홀 후 주입한 광유가 열이 많이 발생하는 시리우스 엔진에
고온에서의 부하로 인하여 오일량이 천킬로 이내에서 줄수 있는지?
2. 냉각효과를 적은 비용으로 얻으려면 서머스텟의 후면부 스프링코일을
한두코 정도 절단하여 스포츠서머스텟의 효과를 얻는것과 상면부에
홀을 두세개 뚫어서 냉각효과를 보는 것, 별로 내키지는 않지만 순정
와셔와 너트등을 이용하여 1cm미만의 범위에서 본넷후드업을 시키는
것도 심각히 고려중입니다.
2007.07.22 13:17:25 (*.111.248.131)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먼저 0.4mm 날린건 해드포팅이 아니라 해드면 연마입니다.
그리고 시리우스 엔진은 압축비가 높은 엔진이 아니라서
열이 많이 나는 엔진이라는 표현에는 약간 이견이 있습니다 ^^;;
작업하신 내용중에 약간 이상한 부분이 있는데요 피스톤링의 마모땜에
피스톤을 교체한다는 내용은 약간 납득이 안가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0.4미리의 해드면 연마로 인해서 열이 발생해서 광유가 줄어든다는
내용도 제가 알고 있는 상식과는 조금 다릅니다 ^^
제가 압축압력 21.5kg 까지 올려서 자가용으로 쓴 차도 있었는데요
순정이 14kg 인걸 감안하면 상당히 많이 올린 케이스입니다.
그 엔진 길들이기 할때도 광유로 했는데 오일이 열에 의해서 물처럼
되기는 해도 줄어들지는 않았습니다.
실제로 그보다 훨씬 고압축엔진 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피스톤 교환 시 실리더 내경과 피스톤을 서로 맞추어야 하는데
이 경우 블럭에 내경이 표시도니것도 있고 없는것도 있으나
기 사용되던 엔진이라면 실린더 내경 보어게이지로 측정하고
피스톤을 맞추어야 할텐데요...., 시중에 부품샵에 유통되는 피스톤은
스탠다드제품이구요 현대의 경우 통상적으로 4개 정도 싸이즈의 피스톤이
나옵니다만..., 각설하고 오일이 줄어드는것은 누유가 있거나
혹은 소모가 되는 원인이 있을겁니다. 광유라고 해서 열이 많이 난다고
고회전주행도 아닌데 줄어든다는것은 납득이 안갑니다.
다시 한번 점검해 보심이...,
먼저 0.4mm 날린건 해드포팅이 아니라 해드면 연마입니다.
그리고 시리우스 엔진은 압축비가 높은 엔진이 아니라서
열이 많이 나는 엔진이라는 표현에는 약간 이견이 있습니다 ^^;;
작업하신 내용중에 약간 이상한 부분이 있는데요 피스톤링의 마모땜에
피스톤을 교체한다는 내용은 약간 납득이 안가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0.4미리의 해드면 연마로 인해서 열이 발생해서 광유가 줄어든다는
내용도 제가 알고 있는 상식과는 조금 다릅니다 ^^
제가 압축압력 21.5kg 까지 올려서 자가용으로 쓴 차도 있었는데요
순정이 14kg 인걸 감안하면 상당히 많이 올린 케이스입니다.
그 엔진 길들이기 할때도 광유로 했는데 오일이 열에 의해서 물처럼
되기는 해도 줄어들지는 않았습니다.
실제로 그보다 훨씬 고압축엔진 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피스톤 교환 시 실리더 내경과 피스톤을 서로 맞추어야 하는데
이 경우 블럭에 내경이 표시도니것도 있고 없는것도 있으나
기 사용되던 엔진이라면 실린더 내경 보어게이지로 측정하고
피스톤을 맞추어야 할텐데요...., 시중에 부품샵에 유통되는 피스톤은
스탠다드제품이구요 현대의 경우 통상적으로 4개 정도 싸이즈의 피스톤이
나옵니다만..., 각설하고 오일이 줄어드는것은 누유가 있거나
혹은 소모가 되는 원인이 있을겁니다. 광유라고 해서 열이 많이 난다고
고회전주행도 아닌데 줄어든다는것은 납득이 안갑니다.
다시 한번 점검해 보심이...,
2007.07.22 19:39:19 (*.21.76.36)

상규님~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피스톤의 한쪽면이 1밀리가량 손상되어졌었고 그 손상된 면이
블럭 외벽을 갉아먹고 있었습니다. 그로인한 누유(오버홀 전)였던거
같아서 관련된 부분을 교체수리 하였습니다.
기본상식으론 광유의 기본 입자는 합성유에 비해 굵은터라 되려 누유
손상이 적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길들이기 천킬로도 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정도의 오일 누유가 있다는것은 어디서 부터 체크를
해야할 지 저도 참 아이러니 합니다.
알파/베타에 비해서는 시리우스가 엔진(압축비 비변형시)이
자체 발생하는 엔진열이 높은편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번에 작업하면서 면연마를 했다면 순정 규정 압축비에서
자체 손을 보셨을 것 같아서 혹시나 압축비 변형으로 인한
온도 증가로 그러한 현상이 있는지 의문을 가진겁니다.
2리터 급보충한 이수화학의 비바리아 탑(5w50)은 추가로
300km를 더 타고 오일량을 체크해 보려고도 했는데
양의 큰 변화가 없어서 어제 기존에 쓰던 mag1(10W30)의
엔진오일로 교환을 하면서 쇳가루도 빼어내고 추후 2차상태를
지켜보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작업샵에 문의결과 가까운 센터에서 촉매부분과 하부를
점검해보라고 하셔서 어제 오일 교환시에 점검을 해봤는데
특별한 문제사항은 없어보입니다. ㅡ.,ㅡ;;; 난감하네요.
뭐... 일단은 그렇게 더 타보고 줄어들면 수리했던 업체에서
재작업을 해준다고 하니 기다려 보지만 다시금 시간을 내어
부산까지 입고하고 하루를 기다려야 하니 참~ 에휴~
피스톤의 한쪽면이 1밀리가량 손상되어졌었고 그 손상된 면이
블럭 외벽을 갉아먹고 있었습니다. 그로인한 누유(오버홀 전)였던거
같아서 관련된 부분을 교체수리 하였습니다.
기본상식으론 광유의 기본 입자는 합성유에 비해 굵은터라 되려 누유
손상이 적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길들이기 천킬로도 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정도의 오일 누유가 있다는것은 어디서 부터 체크를
해야할 지 저도 참 아이러니 합니다.
알파/베타에 비해서는 시리우스가 엔진(압축비 비변형시)이
자체 발생하는 엔진열이 높은편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번에 작업하면서 면연마를 했다면 순정 규정 압축비에서
자체 손을 보셨을 것 같아서 혹시나 압축비 변형으로 인한
온도 증가로 그러한 현상이 있는지 의문을 가진겁니다.
2리터 급보충한 이수화학의 비바리아 탑(5w50)은 추가로
300km를 더 타고 오일량을 체크해 보려고도 했는데
양의 큰 변화가 없어서 어제 기존에 쓰던 mag1(10W30)의
엔진오일로 교환을 하면서 쇳가루도 빼어내고 추후 2차상태를
지켜보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작업샵에 문의결과 가까운 센터에서 촉매부분과 하부를
점검해보라고 하셔서 어제 오일 교환시에 점검을 해봤는데
특별한 문제사항은 없어보입니다. ㅡ.,ㅡ;;; 난감하네요.
뭐... 일단은 그렇게 더 타보고 줄어들면 수리했던 업체에서
재작업을 해준다고 하니 기다려 보지만 다시금 시간을 내어
부산까지 입고하고 하루를 기다려야 하니 참~ 에휴~
2007.07.22 21:50:31 (*.111.248.131)

요섭님 안녕하세요?
피스톤링 소손에 의한 실린더 내벽의 손상이라면 호닝을
했다는 얘기가 되는데요 그렇다면 또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
과연 그 스크래치의 깊이가 어느정도인지 모르겠으나
오일소모의 원인이 될만큼의 데미지를 입은 상태였다면
피스톤교체는 물론이거니와 오버호닝을 했어야 맞습니다.
그리고 피스톤의 경우도 당연히 오버싸이즈가 들어가야 맞습니다.
피스톤의 경우 0.25, 0.50, 0.75등의 정비용 오버싸이즈 피스톤이
나오고 있고 그에 맞는 피스톤링도 함께 나옵니다.
만약 실린더 내벽을 그대로 두고 스탠다드싸이즈의 피스톤링만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면 절대로 오일소모는 줄일 수 없거니와
압축압력의 손실도 간과할 수 없을것입니다.
근데 궁금한것이 오일소모와 촉매부분이 어떤상관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베타 구형은 압축비가 10.3:1 이구요 뉴베타는 10:1
시리우스는 9.3:1 입니다. 시리우스가 엔진열이 더 높다는 것은
이치적으로 납득이 안갑니다.
0.4미리의 면연마로 추정할 수 있는 시리우스의 압축비는 9.7~8:1 정도로
사료되는데요 엔진 오버홀 후 발열이 많아지는 경우는 대부분의
엔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긴합니다만....,
면연마가 틀어진 경우 이상발열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오버히트 후 해드면의 뒤틀림으로 인해 오버히트까지 가는 경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
피스톤링 소손에 의한 실린더 내벽의 손상이라면 호닝을
했다는 얘기가 되는데요 그렇다면 또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
과연 그 스크래치의 깊이가 어느정도인지 모르겠으나
오일소모의 원인이 될만큼의 데미지를 입은 상태였다면
피스톤교체는 물론이거니와 오버호닝을 했어야 맞습니다.
그리고 피스톤의 경우도 당연히 오버싸이즈가 들어가야 맞습니다.
피스톤의 경우 0.25, 0.50, 0.75등의 정비용 오버싸이즈 피스톤이
나오고 있고 그에 맞는 피스톤링도 함께 나옵니다.
만약 실린더 내벽을 그대로 두고 스탠다드싸이즈의 피스톤링만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면 절대로 오일소모는 줄일 수 없거니와
압축압력의 손실도 간과할 수 없을것입니다.
근데 궁금한것이 오일소모와 촉매부분이 어떤상관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베타 구형은 압축비가 10.3:1 이구요 뉴베타는 10:1
시리우스는 9.3:1 입니다. 시리우스가 엔진열이 더 높다는 것은
이치적으로 납득이 안갑니다.
0.4미리의 면연마로 추정할 수 있는 시리우스의 압축비는 9.7~8:1 정도로
사료되는데요 엔진 오버홀 후 발열이 많아지는 경우는 대부분의
엔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긴합니다만....,
면연마가 틀어진 경우 이상발열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오버히트 후 해드면의 뒤틀림으로 인해 오버히트까지 가는 경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
2007.07.22 22:18:25 (*.119.9.27)

대략적인 작업 내용을 알고 있어서 작업 내용 올려 봅니다.
헤드 포팅..의 경우.. 헤드면 면삭(0.4mm) 와 함께 흡 배기 포트 및 밸브 연마 작업을 하였습니다.
실린더 내벽의 경우 깊이있게 파진것이 아니고 피스톤이 아닌 피스톤 링의 손상으로인한 매우 얕은 스크래치로 약간의 연마로 지워 질 수 있는 수준 이었습니다. 물론 늘어난 만큼의 오버사이즈를 적용 하였습니다(피스톤링)
그외 오일 씰 및 기타 소모품류는 모두 교환 하였습니다.
장요섭님께서 저한테 소개를 부탁하여 작업 맏기신 것이라 작업을 실제 보지는 못했지만 그 과정 및 내역에 대해 샾에 자세히 문의 하여 알고 있는 작업 내역 입니다.
샵에서 하부를 보라고 한것은 보이지 않는 곳의 누유를 고려하여 살펴 보시라고 한듯 합니다.
제가 소개한 곳에서 작업 하시고 그 결과가 썩 만족 스럽지 못하시다니. 제가 죄송 스럽군요..;; 아무쪼록 잘 해결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시리우스 2.0 엔진의 발열이 베타보다 심하지 않다는 양상규님의 의견에는 동의 합니다만.. 구형 의 경우 신형 차보다 냉각 효율이(노후로 인한 냉각라인의 문제 및 라지에이터 용량의 부족등) 조금 떨어지는 면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엔진룸의 온도는 신형차량(베타차량)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나긴 합니다.
좋은 소식 있기를 기대 해 봅니다.
헤드 포팅..의 경우.. 헤드면 면삭(0.4mm) 와 함께 흡 배기 포트 및 밸브 연마 작업을 하였습니다.
실린더 내벽의 경우 깊이있게 파진것이 아니고 피스톤이 아닌 피스톤 링의 손상으로인한 매우 얕은 스크래치로 약간의 연마로 지워 질 수 있는 수준 이었습니다. 물론 늘어난 만큼의 오버사이즈를 적용 하였습니다(피스톤링)
그외 오일 씰 및 기타 소모품류는 모두 교환 하였습니다.
장요섭님께서 저한테 소개를 부탁하여 작업 맏기신 것이라 작업을 실제 보지는 못했지만 그 과정 및 내역에 대해 샾에 자세히 문의 하여 알고 있는 작업 내역 입니다.
샵에서 하부를 보라고 한것은 보이지 않는 곳의 누유를 고려하여 살펴 보시라고 한듯 합니다.
제가 소개한 곳에서 작업 하시고 그 결과가 썩 만족 스럽지 못하시다니. 제가 죄송 스럽군요..;; 아무쪼록 잘 해결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시리우스 2.0 엔진의 발열이 베타보다 심하지 않다는 양상규님의 의견에는 동의 합니다만.. 구형 의 경우 신형 차보다 냉각 효율이(노후로 인한 냉각라인의 문제 및 라지에이터 용량의 부족등) 조금 떨어지는 면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엔진룸의 온도는 신형차량(베타차량)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나긴 합니다.
좋은 소식 있기를 기대 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