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일전에 한번 보았는데, 오늘 또 보고 말았습니다.
쎄라토 은색 택시더군요. 일진운수구요.
제가 알기론 LPG 개조차로 알고 있는데요.
중형택시는 1.8 이상이어야 허가가 나오지 않나요?
아님 소형택시인가요?
만약 중형이라면 2.0 베타라는 얘긴데,
차값도 차값이지만, LPG 개조비에 유류비도 별 차이 없을거구요.
이 차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쎄라토 은색 택시더군요. 일진운수구요.
제가 알기론 LPG 개조차로 알고 있는데요.
중형택시는 1.8 이상이어야 허가가 나오지 않나요?
아님 소형택시인가요?
만약 중형이라면 2.0 베타라는 얘긴데,
차값도 차값이지만, LPG 개조비에 유류비도 별 차이 없을거구요.
이 차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2007.08.13 15:51:56 (*.144.18.9)
예전엔 소형택시가 있어서 중형택시보다 택시비가 저렴했던 기억이 납니다. 돈없던 시절이라 일부러 소형택시를 가려서 탔던 기억도 나고요.
2007.08.13 16:24:15 (*.213.23.36)

역시...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분들이 많군요.....저도 두번 봤는데...볼때마다 저거...반칙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더군요.....ㅋㅋ
2007.08.13 17:37:47 (*.242.110.245)

아래와 같은 기사가 있네요..
최근 일부 대도시에 준중형급 택시가 등장,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준중형 택시의 경우 `에너지절감형`임을 들어 일부 업체에서 시범 운행을 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택시규정에 따르면 편의상 준중형급인 아반떼와 쎄라토 등의 택시는 중형택시로 분류된다. 택시는 크게 소형과 중형, 대형, 모범, 고급 등 5가지로 나뉘는데, 중형은 1,500cc 이상 2,000cc 미만이 기준이다. 따라서 아반떼와 쎄라토 등의 준중형차는 배기량이 1,600cc여서 2,000cc급과 같은 중형택시로 구분된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택시는 배기량에 따라 크기를 구분한다"며 "쎄라토가 준중형급이라 해도 중형택시로 분류돼 가격은 동일하다"고 말했다.
일부 택시업계에선 경영난 타개책의 일환으로 최근 준중형급 택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준중형 택시의 경쟁력 저하를 들어 택시업계 전체에서는 반대하는 분위기다. 실제 최근 서울택시조합이 산하 256개 업체를 대상으로 1,600cc급 준중형 택시 예상 수요를 조사한 결과 조사에 응한 167개사 가운데 준중형 택시 도입에 대해 반대하는 업체가 106개사로 63.5%를 차지했다. 택시업계의 경영난 타개를 위한 대책 가운데 하나로 준중형 택시 도입이 논의되고는 있지만 택시 서비스 수준의 하향이 우려된다는 것.
이런 이유로 경유택시 도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 관계자는 "한국은 화석연료 대부분을 수입하기 때문에 유종별로 일정 소비가 이뤄져야 한다"며 "택시 연료로 경유를 사용하게 하면 LPG 연료가 남아 돌아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경유차는 매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 대기환경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대형 경유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대체하는 것도 환경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최근 일부 대도시에 준중형급 택시가 등장,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준중형 택시의 경우 `에너지절감형`임을 들어 일부 업체에서 시범 운행을 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택시규정에 따르면 편의상 준중형급인 아반떼와 쎄라토 등의 택시는 중형택시로 분류된다. 택시는 크게 소형과 중형, 대형, 모범, 고급 등 5가지로 나뉘는데, 중형은 1,500cc 이상 2,000cc 미만이 기준이다. 따라서 아반떼와 쎄라토 등의 준중형차는 배기량이 1,600cc여서 2,000cc급과 같은 중형택시로 구분된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택시는 배기량에 따라 크기를 구분한다"며 "쎄라토가 준중형급이라 해도 중형택시로 분류돼 가격은 동일하다"고 말했다.
일부 택시업계에선 경영난 타개책의 일환으로 최근 준중형급 택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준중형 택시의 경쟁력 저하를 들어 택시업계 전체에서는 반대하는 분위기다. 실제 최근 서울택시조합이 산하 256개 업체를 대상으로 1,600cc급 준중형 택시 예상 수요를 조사한 결과 조사에 응한 167개사 가운데 준중형 택시 도입에 대해 반대하는 업체가 106개사로 63.5%를 차지했다. 택시업계의 경영난 타개를 위한 대책 가운데 하나로 준중형 택시 도입이 논의되고는 있지만 택시 서비스 수준의 하향이 우려된다는 것.
이런 이유로 경유택시 도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 관계자는 "한국은 화석연료 대부분을 수입하기 때문에 유종별로 일정 소비가 이뤄져야 한다"며 "택시 연료로 경유를 사용하게 하면 LPG 연료가 남아 돌아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경유차는 매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 대기환경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대형 경유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대체하는 것도 환경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2007.08.14 00:19:52 (*.152.56.228)

저도 쎄라토 택시 봤는데 1.6 LX 모델이더군요..
쎄라토 1.6 오토 택시에 LPG 카브레터 개조차라면
로체 2.0 LPLi보다 연비 결코 좋지는 않을텐데요;;;
쎄라토 1.6 오토 택시에 LPG 카브레터 개조차라면
로체 2.0 LPLi보다 연비 결코 좋지는 않을텐데요;;;
2007.08.14 02:03:35 (*.133.99.163)

예전에 에스페로도 1.6이라 중형택시로 판매됐으니 쎄라토 1.6이나 아반떼 1.6도 충분히 중형택시로 가능하겠죠...하지만 요즘도 빈택시가 널려서 이왕이면 그랜저 택시로 골라타는 마당에 쎄라토나 아반떼 택시라면 저라면 안탈 거 같습니다..^^
2007.08.14 14:12:44 (*.112.238.89)

세라토가 순정으로 LPG 가 나오는 줄 알고 구입하려 했었습니다.
알아보니 해당 택시 회사에서 일괄 구매 및 개조한 걸로 들었구요, "에너지 절감형 택시" 라는 타이틀로 생겨 났다고 합니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반응이 영 별로라서 현재 있는 차량들만 운행 한다고 하네요.
저 같아도 오피러스 중형 택시 타고 싶습니다^^
알아보니 해당 택시 회사에서 일괄 구매 및 개조한 걸로 들었구요, "에너지 절감형 택시" 라는 타이틀로 생겨 났다고 합니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반응이 영 별로라서 현재 있는 차량들만 운행 한다고 하네요.
저 같아도 오피러스 중형 택시 타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