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안녕하세요. 세라토 1.6 수동을 모는 학생입니다.
기숙사에서 멀지 않은 곳에 대청댐이 있어서 가끔 와인딩을 즐기러 가곤 하는데, 제 주행이 제가 보기에도 한심스러워 질문드립니다.
rpm이 떨어지면 차의 출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확연히 느껴져 고rpm.. 적어도 4000이상을 유지해주기 위해 거의 모든 코너 진입 전에는 힐앤토로 rpm을 올려주고 진입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제가 꾸준히 연습해 힐앤토 자체는 실수가 거의 없이 할 수 있지만 고속으로 코너에 들어가며 힐앤토를 치고 스티어링을 꺾으면 주행라인이 거칠다는 것이 확연히 느껴집니다.
아직 힐앤토에 저도 모르게 많은 신경을 써서 스티어링을 자연스럽게 꺾지 못하는 것이겠죠... 여기서 한 단계 발전하려면 어떤 점에 중점을 두어 연습하는 것을 추천하시나요?
예를 들면 당분간 rpm보다는 스티어링에 집중을 해서 연습하라던가, 종이컵에 물을 채우고 쏟지 않게 -_- 주행하라던가...
사실 얼마 전까지는 최선을 다해 빠른 속도로 코너를 클리어하는 것이 좋은 연습이 된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해 왔지만, 갑자기 회의감이 들기 시작합니다. 물론 처음보다 점점 빨라지고는 있지만, 코너를 돌아나갈 때마다 들리는 타이어 스킬음, 코너 도중 가해야만 하는 수정타 등을 생각하면 뭔가 정석을 벗어나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너무나 초보적인 질문이라 죄송하지만, 와인딩을 할 때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수칙이라던가 자신만의 노하우 같은 것이 있다면 초보운전자 한 명 돕는셈 치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밤 늦게 대청댐을 갈때마다 항상 포스 넘치는 차량들과 고수분들을 뵙는데, 혹시 테드 회원분들은 계시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아직 완전 순정상태인 제 흰색 세라토는 그 차들 사이에 끼어 있기만도 무안하더군요... 이번주에 본 차량들 중에서는 GTI 두대, 벤츠 slk 그리고 단단하게 튜닝된 마티즈 한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래도 비록 순정차량이지만 아직 제 실력으로는 이 차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고 생각해 그대로 몰고 있습니다. 큰 롤링과 타이어의 부족한 한계그립, 재가속시 일어나는 푸쉬언더 등이 느껴지지만 일전에 어떤 회원분께서 순정 수동차량이 초보자의 연습에는 최고라고 하신 말을 믿고 따르고 있습니다. ^^ 많이 부끄럽지만 혹시 대청댐에 와인딩을 하러 오시는 회원님이 계시면 꼭 한번 뵙고 싶습니다. 사실 차를 갖기에는 많이 어린 나이이기에 주변에 함께 즐기는 사람이 없어, 차에 별 관심 없는 친구나 한 명 불러 바람쐬자는 핑계로 대청댐에 나가 다른 분들의 차량을 훔쳐보며 혼자 설레이거나 그분들이 나누는 말씀을 부러운 마음으로 엿듣고는 합니다. 혹시 대청댐에 가끔이라도 가시는 회원님이 계시면 저를 거두어 주시면 그 은혜 잊지 않고 열심히 배우는 마음으로 한마디 한마디 마음에 새기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07.09.14 02:19:24 (*.254.12.240)

대청댐...라노스와 SM5를 조심하세요..흰색 베르나 스포티와 SLK도.... 거의 매일 올라가시는 분들입니다.^^;;
2007.09.14 02:27:29 (*.136.196.123)

저도 아직 한참 모자라지만 주제넘게 한마디 하자면,
제 경험으로는 라인이 아직 익숙하지 않으면 직선에서 브레이킹을 완전히 끝내고 코너를 시작하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트레일 브레이킹으로 라인이 틀어지면 안하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해요.
또, 코너 진입전 힐앤토때문에 라인이 틀어진다면 쉬프트다운 없이 라인과 재가속 시점에 신경쓰면서 달리는게 빠르고 공부가 됩니다. 쉽다운을 안하면 재가속이 굉장히 느린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으나 의외로 별 차이 없습니다. 라인과 재가속이 완전히 익숙해지고 나서 힐앤토와 트레일 브레이킹을 시작해 보세요.
제 경험으로는 라인이 아직 익숙하지 않으면 직선에서 브레이킹을 완전히 끝내고 코너를 시작하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트레일 브레이킹으로 라인이 틀어지면 안하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해요.
또, 코너 진입전 힐앤토때문에 라인이 틀어진다면 쉬프트다운 없이 라인과 재가속 시점에 신경쓰면서 달리는게 빠르고 공부가 됩니다. 쉽다운을 안하면 재가속이 굉장히 느린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으나 의외로 별 차이 없습니다. 라인과 재가속이 완전히 익숙해지고 나서 힐앤토와 트레일 브레이킹을 시작해 보세요.
2007.09.14 02:46:46 (*.248.225.55)
김윤성님 / 검은색 라노스와 은색 slk 말씀이신가요? 며칠 전 그분들 뵈었습니다... 라노스 코너에서 스킬음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 slk타시는 분은 신탄진에서 유성쪽으로 빠지는 고속화도로까지 150km/h 정도로 열심히 쫓아갔었는데(알지도 못하셨겠지만ㅠㅠ), 고속에서의 깔끔한 차선변경과 방향지시등을 절대 생략하시지 않는 매너에서 내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규형님 /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당분간 힐앤토는 평소에 감각을 늘리면서, 와인딩시에는 오직 깔끔한 라인만을 그리는 연습을 해야겠네요 ^^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이규형님 /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당분간 힐앤토는 평소에 감각을 늘리면서, 와인딩시에는 오직 깔끔한 라인만을 그리는 연습을 해야겠네요 ^^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2007.09.14 03:17:41 (*.170.112.242)

이런 말이 있습니다. "코너는 공략하는 곳이 아니라 탈출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곳이다" 코너를 아무리 빨리 돌아봐야 탈출 속도가 제대로 안나오면 전체적인 타임이 절대 빠를 수가 없습니다. 이건 서킷이든 와인딩이든 철칙입니다. ^^ 그리고 코너를 진행할 때 특정 각도의 핸들각으로 진입부터 탈출까지 흔들림 없이 진행할 수 있는 핸들각을 찾아보세요. 쏘잉은 그 다음입니다. ^^ 설명이 이해가 가실지 모르겠지만... 참고 였습니다. ^^
2007.09.14 09:55:30 (*.227.22.57)

무광님 말씀대로 진입속도도 중요하지만
탈출속에 더 신경쓰시게 좋지 싶습니다.
비록 오토만 운전할 수밖에 없는 저지만 여러 코스에서 주행하다보면 하면 할수록 다들 얘기하는 슬로우인패스트아웃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기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탈출속에 더 신경쓰시게 좋지 싶습니다.
비록 오토만 운전할 수밖에 없는 저지만 여러 코스에서 주행하다보면 하면 할수록 다들 얘기하는 슬로우인패스트아웃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기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2007.09.14 09:58:40 (*.244.52.243)
드라이빙 스킬은 저도 별로 없어서 패스~^^
아마 카&드라이빙 이라는 동호회에 가입하시면 대청댐 멤버들과 조인이 가능할 듯 싶습니다~
아마 카&드라이빙 이라는 동호회에 가입하시면 대청댐 멤버들과 조인이 가능할 듯 싶습니다~
2007.09.14 11:09:15 (*.79.175.46)

이미 충분히 고수이신것 같습니다.. 전 스킬같은거 잘은모르고 그냥 잼있게 타자 입니다.. 잼있게 타다보면 말로만 듣던 스킬도 손에익고 어느샌가 좀더 빨라지고..^^
불현듯 위에 김무광님 말씀이 갑자기 확 와닿는군요...^^
불현듯 위에 김무광님 말씀이 갑자기 확 와닿는군요...^^
2007.09.14 11:34:08 (*.165.105.241)

코너 진입전 힐앤토 시점이 너무 타이트 한게 아닐까란 생각이 개인적으로 드는데요..
바로 코너 앞에서 급한 힐앤토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핸들링이 문제시라면..
브레이크 포인트를 시점을 지금 포인트보더 먼저 잡아보세요..
부드럽게 힐앤토로 알피엠을 보정해준후 부드럽고 급하지 않게 코너에 진입하시면..
지금 차주님께서 고민하시는 급격한 핸들링의 문제를 줄일수 있지 않을까요^^?
아..저도 와인딩하고싶어지네요..ㅎㅎㅎ
바로 코너 앞에서 급한 힐앤토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핸들링이 문제시라면..
브레이크 포인트를 시점을 지금 포인트보더 먼저 잡아보세요..
부드럽게 힐앤토로 알피엠을 보정해준후 부드럽고 급하지 않게 코너에 진입하시면..
지금 차주님께서 고민하시는 급격한 핸들링의 문제를 줄일수 있지 않을까요^^?
아..저도 와인딩하고싶어지네요..ㅎㅎㅎ
2007.09.14 11:47:09 (*.152.5.26)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순정상태의 차량이 스킬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말은 어느정도 수준이 올라간 후에 해당되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단단한 서스가 초반 스킬향상에는 오히려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순정상태에서 코너링시에는 휘청이는 차체에서 한꺼번에 쏟아지는 정보의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그에 일일이 대응하기도 힘들고 왜 그런 거동이 일어나는지 분석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브레이킹 정도, 스티어링각도, 롤링 등등...)
어렵더라도 스프링 정도만 해주고 시도해 보면 훨씬 덜 긴장된 상태로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할수 있을겁니다. 하중이동이 조금 덜해지기 때문에 브레이킹과 조타각 정도만 신경을 쓸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익숙해진 다음에 순정차를 타보면 앞뒤 좌우 하중이동이 새롭게 느껴질겁니다.
순정 차량이 스킬향상에 좋다라는 생각은 이런 단계까지 가야지 해당되는게 아닐까 싶네요
물론 저의 경우 그랬다는 겁니다 ^^
순정상태의 차량이 스킬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말은 어느정도 수준이 올라간 후에 해당되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단단한 서스가 초반 스킬향상에는 오히려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순정상태에서 코너링시에는 휘청이는 차체에서 한꺼번에 쏟아지는 정보의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그에 일일이 대응하기도 힘들고 왜 그런 거동이 일어나는지 분석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브레이킹 정도, 스티어링각도, 롤링 등등...)
어렵더라도 스프링 정도만 해주고 시도해 보면 훨씬 덜 긴장된 상태로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할수 있을겁니다. 하중이동이 조금 덜해지기 때문에 브레이킹과 조타각 정도만 신경을 쓸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익숙해진 다음에 순정차를 타보면 앞뒤 좌우 하중이동이 새롭게 느껴질겁니다.
순정 차량이 스킬향상에 좋다라는 생각은 이런 단계까지 가야지 해당되는게 아닐까 싶네요
물론 저의 경우 그랬다는 겁니다 ^^
2007.09.14 11:49:47 (*.113.67.165)

코너를 돌아나갈 때 타이어 스키드음이 계속 난다면 이미 타이어의 그립을 넘어서는 속도로 다닌다는 증거 아닌가요?^^ 서킷도 그렇고 랠리가 아닌 담에야 그립주행이 더 빠른 것임을 감안할 때 코너 전 감속을 충분히 하고 정점을 지나면서 최대한 직선으로 라인을 타서 탈출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봅니다. 타이어의 그립은 종그립과 횡그립으로 구성되는데 구동력이 앞으로 집중되는 FF의 특성상 스티어링휠을 꺾은 상태에서 가속을 하면 증가된 종그립으로 인해서 횡그립이 줄어드는 상태가 되기때문이죠.
2007.09.14 12:01:38 (*.231.45.163)

다음카페 가시면 카&드라이빙 이라는 카페가 있습니다. 거기서 보신 차들의 대부분이 거기 회원 분이시니 자연스럽게 어울리실수 있을거구요. 아님 그 분들 모여계실때 걸어가셔서 본인을 소개하시고 같이 와인딩 타고 싶다고 하면 마다하실 분은 없습니다. ^^ 저도 가끔 갑니다. 흰색 세라토라시니 기억해 두겠습니다
2007.09.14 14:00:51 (*.12.196.12)

저도 대전에서 학교 다니면서 꽤 오랫동안 대청댐 길을 달렸습니다.
라인에 불만이 느껴지시면 기어변속은 제외하고 달려보시기 바랍니다. 직선이 길지 않으니 몇군데만 변속하면 나머지는 항속하듯 달릴 수 있습니다. 제동에서 가장 힘든 것이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는 시점을 잡는 일이라고 하는 말이 있듯이, 힐&토 이전에 감속과 가속의 흐름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여유 있는 속도에서 먼저 부드러운 라인을 익히시길 권합니다.
요새는 포장도 새로 하고 해서 길이 많이 좋아진 것 같더군요. 재미있게 와인딩 하세요.
라인에 불만이 느껴지시면 기어변속은 제외하고 달려보시기 바랍니다. 직선이 길지 않으니 몇군데만 변속하면 나머지는 항속하듯 달릴 수 있습니다. 제동에서 가장 힘든 것이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는 시점을 잡는 일이라고 하는 말이 있듯이, 힐&토 이전에 감속과 가속의 흐름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여유 있는 속도에서 먼저 부드러운 라인을 익히시길 권합니다.
요새는 포장도 새로 하고 해서 길이 많이 좋아진 것 같더군요. 재미있게 와인딩 하세요.
2007.09.14 16:12:52 (*.68.16.174)

타이어 스키드 음은 타이어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최대 그립이 나오기 이전부터 조금씩 나오지 않나요? 저는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설명 좀 해주세요~~
2007.09.14 16:22:58 (*.229.109.2)

위에.. 좋은 말씀들 많이 해주셨네요.
코너 진입속도에 욕심부리지 말고, 탈출가속시점을 조금이라도 당기는데 주안점을 두세요. 라인에서.. 한차선만 사용할때에도, 아웃인 아웃과.. 복합코너에서 라인 응용하는데 집중하시고, CP점을 확실하게 클리어하는데 중점을 두세요.
과도한 핸들링이 들어가지 않게 하려면, 타이어 스퀼음에 집중해..가능한한 가늘고 톤이 높은 스퀼음이 나도록 핸들링을 조절하세요. 둔탁한 스퀼음이 발생하면 그만큼 핸들링 저항이 심하다는 얘깁니다. 그리고.. 코너 탈출시 핸들을 최대한 빨리 풀어주는데도 집중해야 합니다. 코너링 중 핸들 수정이 적을 수록 빠르게 달리고있는 증거입니다. 굿럭~!! ^^
코너 진입속도에 욕심부리지 말고, 탈출가속시점을 조금이라도 당기는데 주안점을 두세요. 라인에서.. 한차선만 사용할때에도, 아웃인 아웃과.. 복합코너에서 라인 응용하는데 집중하시고, CP점을 확실하게 클리어하는데 중점을 두세요.
과도한 핸들링이 들어가지 않게 하려면, 타이어 스퀼음에 집중해..가능한한 가늘고 톤이 높은 스퀼음이 나도록 핸들링을 조절하세요. 둔탁한 스퀼음이 발생하면 그만큼 핸들링 저항이 심하다는 얘깁니다. 그리고.. 코너 탈출시 핸들을 최대한 빨리 풀어주는데도 집중해야 합니다. 코너링 중 핸들 수정이 적을 수록 빠르게 달리고있는 증거입니다. 굿럭~!! ^^
2007.09.14 16:26:44 (*.229.109.2)

중요한걸 빠뜨렸네요.
'바라보는 방향으로 달린다.'는 말처럼, 시선처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복합 블라인드 코너가 많은 공도에서는, 미리 예측하는 힘이 필요한데.. CP점을 관통하는 바깥라인까지 최대한 멀리 바라보는게 중요합니다. 현재 달리려는 라인에 시점을 고정하지 말고 한스텝 두스텝 앞쪽을 미리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자동으로 제 라인을 달리게 됩니다. ㅋ
'바라보는 방향으로 달린다.'는 말처럼, 시선처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복합 블라인드 코너가 많은 공도에서는, 미리 예측하는 힘이 필요한데.. CP점을 관통하는 바깥라인까지 최대한 멀리 바라보는게 중요합니다. 현재 달리려는 라인에 시점을 고정하지 말고 한스텝 두스텝 앞쪽을 미리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자동으로 제 라인을 달리게 됩니다. ㅋ
2007.09.14 17:10:02 (*.4.202.72)
확실히 도움되는 댓글들이 많네요 ^^;
저도 한번씩 집근처 와인딩을 가는 편인데
역시 이곳 회원이신 박강우님께 제 차를 잠시 맡겨보니 다른 점이 눈에 확 들어오더군요..
제가 50마일로 힘들게 클리어하는 코너를 강우님은 65~70마일정도의 속도로 돌아내시니...
.. 각설하고 트랙주행을 몇번 해보시는것도 제대로 된 라인 타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기회가 되면 트랙 가서 배우고 후에 와인딩 타는데도 도움이 많이 될거 같아
해보려고 하네요...
운전 참 어렵습니다 ^^;
저도 한번씩 집근처 와인딩을 가는 편인데
역시 이곳 회원이신 박강우님께 제 차를 잠시 맡겨보니 다른 점이 눈에 확 들어오더군요..
제가 50마일로 힘들게 클리어하는 코너를 강우님은 65~70마일정도의 속도로 돌아내시니...
.. 각설하고 트랙주행을 몇번 해보시는것도 제대로 된 라인 타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기회가 되면 트랙 가서 배우고 후에 와인딩 타는데도 도움이 많이 될거 같아
해보려고 하네요...
운전 참 어렵습니다 ^^;
2007.09.14 17:14:57 (*.248.225.56)
의견주신 모든 분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어떤 것에 주안점을 두어 연습해야 하는지 머릿속에 조금씩 그려지는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안전운행하세요 ^^
2007.09.14 20:33:52 (*.113.214.245)

저도 대청댐에 자주갑니다..
저의 경우엔 관광모드로 갈땐 오가 삼거리부터 현암정까지는 평속 50~60으로 주행을 합니다.. 그리고 주행하면서 3단고정으로 악셀로만 조절하면서 코너 깊숙이 한번씩 찔러주면서 올라갑니다.. 그리고 하량의 하중이동을 중점으로 운행 하고여..
또 하나는 조금 속력을내는데 평속 70~80정도 내지만 이때는 관광모드를 바탕으로 운행하면서 힐앤토 대신에 더블 클러치와 더블악셀을 많이 쓰는 편입니다...
에셈이나 라노스 그분들에 비하면 느리지만...
벽마담의 커피한잔마시기에는 괜찮죠~~~
그리고 오늘 스티커 도착 했네요...
조만간 붙이고 올라갑니다....
저의 경우엔 관광모드로 갈땐 오가 삼거리부터 현암정까지는 평속 50~60으로 주행을 합니다.. 그리고 주행하면서 3단고정으로 악셀로만 조절하면서 코너 깊숙이 한번씩 찔러주면서 올라갑니다.. 그리고 하량의 하중이동을 중점으로 운행 하고여..
또 하나는 조금 속력을내는데 평속 70~80정도 내지만 이때는 관광모드를 바탕으로 운행하면서 힐앤토 대신에 더블 클러치와 더블악셀을 많이 쓰는 편입니다...
에셈이나 라노스 그분들에 비하면 느리지만...
벽마담의 커피한잔마시기에는 괜찮죠~~~
그리고 오늘 스티커 도착 했네요...
조만간 붙이고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