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e39 530is(56,000km 주행중)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몇주 전 방전이 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아 점프 시동을
걸어 운행을 하였는데, 운행 중 계기판에 배터리 램프가 점등 되더니 잠시 후엔 ABS부터 엔진오일경고램프
까지 모든 램프가 0.1초 간격으로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입니다. 운행 중 배터리 경고등은 통상 발전기의
발전전압이 약할 때에 점등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여하튼 길가에 차를 세우고 시동을 끄고 잠시 기다
렸다가 재시동을거는데 시동이 또 안 걸리더군요. 잠시 후 도착한 긴급출동 서비스 기사는 점프하여 시동을
건 후 측정해본 10~11볼트를 가리키는 발전기를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하였습니다. 다시 점프 시동을 걸어
주차장까지 가까스로 운행하여 주차해놓고 몇일 뒤 배터리 전압을 체크해 보니 12볼트 가량 나왔습니다.
그리고 오늘 발전기를 교체하고 점프 케이블을 물리고 시동을 거는데 발전기 교체전처럼 전혀 시동이 걸리지
않았고, 이때 배터리 전압은 2~5볼트를 왔다갔다 하더군요. 갖고 있던 다른 배터리를 연결하니 단발 시동이
가능하였습니다. 정비사는 배터리가 종지 전압으로 떨어져서, 충천을 해도 재사용하기 어렵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때 의아한 부분이 있습니다.
1. 발전기 교체전 다른 배터리를 연결하여 시동을 걸어본바가 없었습니다만, 혹 발전기 고장이 아니었을수도 있지 않았는가 하는 부분과
2. 제 상황이 배터리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경우인지 ? 그리고 배터리 사망여부를 어떻게 테스트 해야하는지와 살려낼 수 없는지 궁금합니다. 2년 남짓 된 BMW 정품 배터리가 이렇게 허망하게 가버린다면 너무 안타갑네요.
3. 배터리를 교체하여 한다면, 또다시 30만원돈이 넘는 정품을 구입하기보다는 국산 배터리로 구입하려고 합니다. 델코 것으로 고려중입니다만 델코에서는 제차 순정배터리와 같은 80A짜리 일반 제품과 수입차 전용 100A 짜리 이렇게 두가지가 있는데, 배터리판매상에서는 100A를 권합니다. 이때 일반 배터리를 써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은데 수입차 전용 배터리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고, 제차보다 20A나 높은 100A짜리를 써도 괜찮은지도 알고 싶습니다.
질문이 장황하고 많아서 죄송합니다. 좋은 의견을 부탁 드립니다.
e39 530is(56,000km 주행중)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몇주 전 방전이 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아 점프 시동을
걸어 운행을 하였는데, 운행 중 계기판에 배터리 램프가 점등 되더니 잠시 후엔 ABS부터 엔진오일경고램프
까지 모든 램프가 0.1초 간격으로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입니다. 운행 중 배터리 경고등은 통상 발전기의
발전전압이 약할 때에 점등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여하튼 길가에 차를 세우고 시동을 끄고 잠시 기다
렸다가 재시동을거는데 시동이 또 안 걸리더군요. 잠시 후 도착한 긴급출동 서비스 기사는 점프하여 시동을
건 후 측정해본 10~11볼트를 가리키는 발전기를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하였습니다. 다시 점프 시동을 걸어
주차장까지 가까스로 운행하여 주차해놓고 몇일 뒤 배터리 전압을 체크해 보니 12볼트 가량 나왔습니다.
그리고 오늘 발전기를 교체하고 점프 케이블을 물리고 시동을 거는데 발전기 교체전처럼 전혀 시동이 걸리지
않았고, 이때 배터리 전압은 2~5볼트를 왔다갔다 하더군요. 갖고 있던 다른 배터리를 연결하니 단발 시동이
가능하였습니다. 정비사는 배터리가 종지 전압으로 떨어져서, 충천을 해도 재사용하기 어렵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때 의아한 부분이 있습니다.
1. 발전기 교체전 다른 배터리를 연결하여 시동을 걸어본바가 없었습니다만, 혹 발전기 고장이 아니었을수도 있지 않았는가 하는 부분과
2. 제 상황이 배터리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경우인지 ? 그리고 배터리 사망여부를 어떻게 테스트 해야하는지와 살려낼 수 없는지 궁금합니다. 2년 남짓 된 BMW 정품 배터리가 이렇게 허망하게 가버린다면 너무 안타갑네요.
3. 배터리를 교체하여 한다면, 또다시 30만원돈이 넘는 정품을 구입하기보다는 국산 배터리로 구입하려고 합니다. 델코 것으로 고려중입니다만 델코에서는 제차 순정배터리와 같은 80A짜리 일반 제품과 수입차 전용 100A 짜리 이렇게 두가지가 있는데, 배터리판매상에서는 100A를 권합니다. 이때 일반 배터리를 써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은데 수입차 전용 배터리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고, 제차보다 20A나 높은 100A짜리를 써도 괜찮은지도 알고 싶습니다.
질문이 장황하고 많아서 죄송합니다. 좋은 의견을 부탁 드립니다.
2007.09.20 10:13:15 (*.150.97.90)

헉 글쓰다 날라갔습니다. ㅡ.,ㅡ
1. 발전기 문제의 경우 사망직전 계기판의 불빛이 서서히 약해진다던지
수동의 클러치가 나갔을때처럼 출력이 다소 떨어진다던지 등의
교체신호를 알려줍니다. 배터리의 경우 주행중에 사망하게 되는
경우는 없고 주 정차시때 사망하게 됩니다. (보통 주차시 많이 죽죠)
2. 이미 완전방전된 배터리를 기사회생 시킬 방법이 없습니다.
같은 제품을 5년을 쓰는 분도 있고 35만원짜리 Optima yellow
audio battery 쓰는 분들중에는 3달만에 사망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배터리 자체이상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습니다.
3. 경험상 국내 D사의 매직배터리가 가장 좋았었는데 안개등 스위치를
직렬로 배터리로 바로 연결하고 다녔었는데 흐린날 안개등을 켜놓은채로
등산을 했다가 6시간 넘게만에 어두웠을때 내려온적이 있는데 그때
안개등 불빛이 생생하게 들어와있었고 시동도 한번에 바로 걸리더군요.
차량을 바꾼 지금 여름휴가전에 교체시기가 도래하여 위의 모델로
교체하였습니다. 전 이상유무를 볼트게이지로 항상 체크하기 때문에
정상치에서 기준을 좀 벗어나게 되면 시간을 내어 카센터에서 배터리와
알터네이터의 전압을 체크합니다.
배터리의 기본소임은 전류생산입니다.
30만원짜리와 5만원짜리의 차이는 얼마나 전류를 정류해서 보내주느냐~
얼마나 양질의 전력을 생산하느냐~ Deep cycle이 되느냐?
정도에 따른 차이로 가격 차이가 납니다.
30만원짜리 80Am나 7만원짜리 80Am나 엄청난 차이는 없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정도의 차이일뿐입니다만 배터리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것 같습니다. 물론 가격을 30만원짜리 정품배터리를
쓰는것은 기본소임을 뛰어넘는 사치로 밖에는 여겨지지 않습니다.
같은 Am임에도 택시전용과 일반용이 왜 구분이 될까요?
요거 곰곰히 생각해 보시면 해답이 주어질 듯 하네요. ^^
1. 발전기 문제의 경우 사망직전 계기판의 불빛이 서서히 약해진다던지
수동의 클러치가 나갔을때처럼 출력이 다소 떨어진다던지 등의
교체신호를 알려줍니다. 배터리의 경우 주행중에 사망하게 되는
경우는 없고 주 정차시때 사망하게 됩니다. (보통 주차시 많이 죽죠)
2. 이미 완전방전된 배터리를 기사회생 시킬 방법이 없습니다.
같은 제품을 5년을 쓰는 분도 있고 35만원짜리 Optima yellow
audio battery 쓰는 분들중에는 3달만에 사망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배터리 자체이상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습니다.
3. 경험상 국내 D사의 매직배터리가 가장 좋았었는데 안개등 스위치를
직렬로 배터리로 바로 연결하고 다녔었는데 흐린날 안개등을 켜놓은채로
등산을 했다가 6시간 넘게만에 어두웠을때 내려온적이 있는데 그때
안개등 불빛이 생생하게 들어와있었고 시동도 한번에 바로 걸리더군요.
차량을 바꾼 지금 여름휴가전에 교체시기가 도래하여 위의 모델로
교체하였습니다. 전 이상유무를 볼트게이지로 항상 체크하기 때문에
정상치에서 기준을 좀 벗어나게 되면 시간을 내어 카센터에서 배터리와
알터네이터의 전압을 체크합니다.
배터리의 기본소임은 전류생산입니다.
30만원짜리와 5만원짜리의 차이는 얼마나 전류를 정류해서 보내주느냐~
얼마나 양질의 전력을 생산하느냐~ Deep cycle이 되느냐?
정도에 따른 차이로 가격 차이가 납니다.
30만원짜리 80Am나 7만원짜리 80Am나 엄청난 차이는 없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정도의 차이일뿐입니다만 배터리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것 같습니다. 물론 가격을 30만원짜리 정품배터리를
쓰는것은 기본소임을 뛰어넘는 사치로 밖에는 여겨지지 않습니다.
같은 Am임에도 택시전용과 일반용이 왜 구분이 될까요?
요거 곰곰히 생각해 보시면 해답이 주어질 듯 하네요. ^^
2007.09.20 10:30:29 (*.193.141.161)

제가 생각했을때 간헐적으로 주행중 깜박거리고 긴급서비스가 와서 시동 꺼진상태에서 전압이 10~11밖에 안나왔다면 100% 배터리가 수명이 다된것입니다.
국내 일반용 배터리 수명은 2~3년입니다. 그 사이에 방전이 몇번되고 다시 충전했다면 수명이 금방 줄어듭니다. 알터네이터 상태가 좋지 않은경우에도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고 배터리 수명이 안좋으면 알터네이터 수명도 급격이 안좋아집니다. 새 배터리도 한번만 방전이되도 그 배터리의 수명은 엄청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방전을 조심하는수 밖에 없습니다.
긴급 서비스가 와서 시동이 꺼진상태에서 측정해서 10~11밖에 안나온 결과에 알터네이터 문제를 지목한것은 만약 상태가 좋지 않았던 상황이라도 진단이 맞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 센터가서 배터리는 수명이 다되었기 때문에 배터리 교환후 알터네이터 상태를 지켜보는게 낳았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수입차 배터리는 보통 실버배터리를 정품으로 사용합니다. 국내에는 오너용으로 보쉬 실버 배터리가 있습니다.
일반배터리 보다 수명이 길고 충방전 속도가 빠르지요~
배터리 용량이 크면 용량이 큰만큼 라이트도 키고 오디오도 크게틀고 안개등키고 실내등 전부 ON시켜도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구요 거기에 충방전 속도가 빠르면 순정 알터네이터 성능에 관계없이 빠르게 충전되고 방출이 되서 무리가 없습니다.
국내 일반배터리 사용하는거 보다 같은용량에 실버배터리를 선택하시는게 낳다고 생각되구요 아니면 알터네이터를 교환하신만큼 거의 반영구적 수명을 자랑하는 고성능 배터리로 옵티마도 고려해 보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요게 딥싸이클 방식의 배터리인데요 한번충전으로 전체충전량의 80~90%이상을 사용하고도 재충전 할수있는 배터리인데 수명이 무척이나 깁니다. 그냥 일반용 MF배터리를 사용하실려면 델코사의 100A를 사용하시는것도 무난하실거 같습니다. 선택은 오너의 마음이겠죠^^
국내 일반용 배터리 수명은 2~3년입니다. 그 사이에 방전이 몇번되고 다시 충전했다면 수명이 금방 줄어듭니다. 알터네이터 상태가 좋지 않은경우에도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고 배터리 수명이 안좋으면 알터네이터 수명도 급격이 안좋아집니다. 새 배터리도 한번만 방전이되도 그 배터리의 수명은 엄청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방전을 조심하는수 밖에 없습니다.
긴급 서비스가 와서 시동이 꺼진상태에서 측정해서 10~11밖에 안나온 결과에 알터네이터 문제를 지목한것은 만약 상태가 좋지 않았던 상황이라도 진단이 맞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 센터가서 배터리는 수명이 다되었기 때문에 배터리 교환후 알터네이터 상태를 지켜보는게 낳았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수입차 배터리는 보통 실버배터리를 정품으로 사용합니다. 국내에는 오너용으로 보쉬 실버 배터리가 있습니다.
일반배터리 보다 수명이 길고 충방전 속도가 빠르지요~
배터리 용량이 크면 용량이 큰만큼 라이트도 키고 오디오도 크게틀고 안개등키고 실내등 전부 ON시켜도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구요 거기에 충방전 속도가 빠르면 순정 알터네이터 성능에 관계없이 빠르게 충전되고 방출이 되서 무리가 없습니다.
국내 일반배터리 사용하는거 보다 같은용량에 실버배터리를 선택하시는게 낳다고 생각되구요 아니면 알터네이터를 교환하신만큼 거의 반영구적 수명을 자랑하는 고성능 배터리로 옵티마도 고려해 보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요게 딥싸이클 방식의 배터리인데요 한번충전으로 전체충전량의 80~90%이상을 사용하고도 재충전 할수있는 배터리인데 수명이 무척이나 깁니다. 그냥 일반용 MF배터리를 사용하실려면 델코사의 100A를 사용하시는것도 무난하실거 같습니다. 선택은 오너의 마음이겠죠^^
2007.09.20 12:38:41 (*.236.65.181)
글 내용이 부족한듯하여 보충했습니다. 서비스기사 현장에 와서 시동을 건 후 체크해본 전압이 10~11볼트 였습니다. ^^
2007.09.20 13:18:35 (*.133.99.181)

배터리는 델코가 최고입니다. 제차도 모르고 독서등 켜놔서 완전방전됐는데 점프시켜서 1시간 정도 주행하고 1주일 세워놔도 시동거는데 전혀 이상없습니다. 현대 순정 솔라이트나 로케트 배터리를 써봐도 델코만한 것은 없더군요.
BMW 정품 배터리라고 BMW가 만드는 것도 아니고 똑같은 배터리를 비싸게 받는 것이 이상하죠.
BMW 정품 배터리라고 BMW가 만드는 것도 아니고 똑같은 배터리를 비싸게 받는 것이 이상하죠.
2007.09.20 18:55:55 (*.193.141.161)

아 그렇군요.. 시동을 킨상태에서 12.6v 이상이 나오면 정상입니다만 서비스 불러서 점프선 연결해서 시동을 건상태에서 어느정도 주행하지 않고 바로 측정하고 10~11 이었을때는 의미가 없는거 같습니다. 점프이후 충분히 운행한후 재신 볼트가 12.6V이상을 유지했다면 발전기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배터리 측정기준이 BMW사 기준이 다르다면 거기까지는 잘 모르겠네요^^
전기장치를 모두키고 안개등 전조등 오디오 실내등 등등 다키고 11.6V 이하가 나오면 알터네이터 용량이 부족한거고 이때 다시 전기를 껏을때 다시 12.6V 이상이 나오지 않으면 알터네이터 불량이 맞습니다. 원래 시동을 켠상태에서 13.3정도의 전압이 나오면 상당히 양호한 상태 입니다. 12V 정도 나왔다면 정상이었다가 그 다음날 알터네이터 교체하고 재시동시 전압이 불안해지면서 배터리가 또다시 방전된 이유는 배터리가 수명이 다되면 볼트는 양호하게 나올 수 있지만 실제 충전량이 떨어져서 제원상의 용량보다 단위시간당 전력량이 부족해서 쉽게 방전되고 잘 충전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터네이터를 다시 설치하고 시동을 켰을때 충전이 되지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켰을때 배터리가 불량이면 충분히 방전될수 있는문제 입니다.^^; 제 판단기준으로는 잘 달리다가 발전기 충전이 안되어 차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발전기가 그렇게 쉽게 문제가 생길거 같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배터리의 경우 한번 방전이 되었어도 다시 사용할수 있는 배터리도 있지만 때에따라서는 배터리를 다시 재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터리는 전도체이기에 키로수와 사용빈도도 중요하지만 배터리 수명은 사용기간인거 같습니다. e39 BMW 정도면 연식이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하네요
보통의 배터리는 2~3년이 맞구요 5년가까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BMW순정 실버배터리는 보통보다 20~30% 정도 더 쓸수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많으면 4~5년쓰면 성능이 안나올수도 있는것이죠...
자동차의 경우는 무조건 정품이 우수하지만 배터리는 예외입니다. 알터네이터 용량에 배터리 성능만 어느정도 바쳐주면 상관없을거 같네요
전기장치를 모두키고 안개등 전조등 오디오 실내등 등등 다키고 11.6V 이하가 나오면 알터네이터 용량이 부족한거고 이때 다시 전기를 껏을때 다시 12.6V 이상이 나오지 않으면 알터네이터 불량이 맞습니다. 원래 시동을 켠상태에서 13.3정도의 전압이 나오면 상당히 양호한 상태 입니다. 12V 정도 나왔다면 정상이었다가 그 다음날 알터네이터 교체하고 재시동시 전압이 불안해지면서 배터리가 또다시 방전된 이유는 배터리가 수명이 다되면 볼트는 양호하게 나올 수 있지만 실제 충전량이 떨어져서 제원상의 용량보다 단위시간당 전력량이 부족해서 쉽게 방전되고 잘 충전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터네이터를 다시 설치하고 시동을 켰을때 충전이 되지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켰을때 배터리가 불량이면 충분히 방전될수 있는문제 입니다.^^; 제 판단기준으로는 잘 달리다가 발전기 충전이 안되어 차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발전기가 그렇게 쉽게 문제가 생길거 같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배터리의 경우 한번 방전이 되었어도 다시 사용할수 있는 배터리도 있지만 때에따라서는 배터리를 다시 재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터리는 전도체이기에 키로수와 사용빈도도 중요하지만 배터리 수명은 사용기간인거 같습니다. e39 BMW 정도면 연식이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하네요
보통의 배터리는 2~3년이 맞구요 5년가까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BMW순정 실버배터리는 보통보다 20~30% 정도 더 쓸수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많으면 4~5년쓰면 성능이 안나올수도 있는것이죠...
자동차의 경우는 무조건 정품이 우수하지만 배터리는 예외입니다. 알터네이터 용량에 배터리 성능만 어느정도 바쳐주면 상관없을거 같네요
2007.09.20 18:58:02 (*.192.187.141)

어떤것이 정답이다..라는건 없겠지만..
1. 알터교환->알터를 교환해도 나아지지않아 배터리문제임을 발견->배터리교환
2. 배터리교환->알터문제임을 새배터리방전으로 확인->알터교환->배터리 또 교환
1번이 더 좋았던 선택일수도 -ㅇ-;;;
1. 알터교환->알터를 교환해도 나아지지않아 배터리문제임을 발견->배터리교환
2. 배터리교환->알터문제임을 새배터리방전으로 확인->알터교환->배터리 또 교환
1번이 더 좋았던 선택일수도 -ㅇ-;;;
2007.09.20 19:50:45 (*.236.65.181)
1번의 경우라고 애써 자위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e39 단종 년식인 03년도 차량입니다. 통상의 발전기 교환주기보다 앞서서 교환했습니다만... 비용도 비용이고, 그 보다더 제차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자 이렇게 게시물을 올려 고견을 여쭈어 본 것이었는데, 자세히 답변들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2007.09.20 20:29:39 (*.206.240.228)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먼저 고생하신 김상현님께 위로의 말씀을 올립니다.
현재까지 서술해주신 정황을 미루어 본다면 두 가지 복합적 고장이
맞다고 사료됩니다. 1차적으로 발전기에서 문제가 생긴거고
그런 이유로 배터리까지 사망하게 된것입니다.
배터리의 경우 가장 치명적인 사망원인은 방전입니다.
이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내부에 있는 전극판이 휘게됩니다.
이럴 경우에 재충전이 불가 하므로 배터리 다시 말하면 축전지의
고유 기능상실로 이어집니다.
대개의 경우 수입차 오너들은 정품 배터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어쩌면 판매회사나 써비스 업체의 협박(?) 과도 같은 as 과정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마치 저신들의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as 에서 불이익을 받는것처럼 협박 비스무리 하게 설명을 해주니
비싸지만 울며 겨자먹기로 쓰시는 분들 반 몰라서 원래 수입차는
수입차에 맞는 배터리를 써야 되는줄 아시는 분들 반 머 이런 경우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런 저도 정품 벤츠용 배터리가 들어가
있긴 합니다만...., 먼저 차주가 그리 해놓은건데 뺄 필요까지는
없었고 더더욱 신품인데 뺄 이유가 없었죠
하지만 여러 회원분들이 언급 하셨다시피 애프터 마켓 배터리로도
충분 하다고 생각하고 어차피 oem 납품되기 때문에 상표만
다르다고 생각 하시면 될듯합니다.
또한 독일차의 경우 발전기는 신품도 모두 재생품입니다.
다시 말하면 생산라인에 들어가는 제품 외에는 모두 재생품이
정식부품으로 나옵니다. 물론 품질관리를 하고 하자시 as 를 한다는
조건입니다만 이는 애프터마켓 재생품도 요즘은 시험성적서까지
동봉하는 예가 있는걸로 봐서 마찬가지라고 사료되고 재생품을 써도
무방한 제품들은 재생품을 사용하는것은 독일에서는 권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 반대로 단속을 하지만요 ㅠ.ㅠ
신뢰할 수 있는 업체를 컨택 하셔서 단골로 삼으시고 꾸준한 관리를
하신다면 도로상에서 황당한 경우를 조금은 줄여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먼저 고생하신 김상현님께 위로의 말씀을 올립니다.
현재까지 서술해주신 정황을 미루어 본다면 두 가지 복합적 고장이
맞다고 사료됩니다. 1차적으로 발전기에서 문제가 생긴거고
그런 이유로 배터리까지 사망하게 된것입니다.
배터리의 경우 가장 치명적인 사망원인은 방전입니다.
이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내부에 있는 전극판이 휘게됩니다.
이럴 경우에 재충전이 불가 하므로 배터리 다시 말하면 축전지의
고유 기능상실로 이어집니다.
대개의 경우 수입차 오너들은 정품 배터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어쩌면 판매회사나 써비스 업체의 협박(?) 과도 같은 as 과정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마치 저신들의 정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as 에서 불이익을 받는것처럼 협박 비스무리 하게 설명을 해주니
비싸지만 울며 겨자먹기로 쓰시는 분들 반 몰라서 원래 수입차는
수입차에 맞는 배터리를 써야 되는줄 아시는 분들 반 머 이런 경우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런 저도 정품 벤츠용 배터리가 들어가
있긴 합니다만...., 먼저 차주가 그리 해놓은건데 뺄 필요까지는
없었고 더더욱 신품인데 뺄 이유가 없었죠
하지만 여러 회원분들이 언급 하셨다시피 애프터 마켓 배터리로도
충분 하다고 생각하고 어차피 oem 납품되기 때문에 상표만
다르다고 생각 하시면 될듯합니다.
또한 독일차의 경우 발전기는 신품도 모두 재생품입니다.
다시 말하면 생산라인에 들어가는 제품 외에는 모두 재생품이
정식부품으로 나옵니다. 물론 품질관리를 하고 하자시 as 를 한다는
조건입니다만 이는 애프터마켓 재생품도 요즘은 시험성적서까지
동봉하는 예가 있는걸로 봐서 마찬가지라고 사료되고 재생품을 써도
무방한 제품들은 재생품을 사용하는것은 독일에서는 권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 반대로 단속을 하지만요 ㅠ.ㅠ
신뢰할 수 있는 업체를 컨택 하셔서 단골로 삼으시고 꾸준한 관리를
하신다면 도로상에서 황당한 경우를 조금은 줄여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07.09.21 00:04:12 (*.79.156.51)

재규어의 경우 증류수 보충식 납 배터리가 순정인데 벤츠나 BMW의 순정 배터리도 MF 배터리가 아니라 증류수 보충식이 아닌지요?
맞다면 왜 MF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불편하게 증류수 보충식을 사용하는 것일까요?
제 차의 경우는 랜드로버 프리랜더에 들어가는 배터리( 델파이 제, MF 식, 용량은 거의 동일)로 바꿨다가 1년 사이에 방전이 4번이나 되는 바람에 다시 순정 배터리로 바꿨습니다.
처음에 바꾸게 된 이유도 재규어 순정 배터리로 4년 넘게 잘 탔는데 A/S 센터에서 증류수 보충한 다음 날 방전되어 교환한 거였습니다( 증류수 보충은 1년에 1회 정도 해줬음.).
예상에 앞으로 또 4년간은 배터리 신경 안 써도 될 것 같습니다.
증류수 보충식과 MF 배터리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메이커에서 불편한 증류수 보충식을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맞다면 왜 MF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불편하게 증류수 보충식을 사용하는 것일까요?
제 차의 경우는 랜드로버 프리랜더에 들어가는 배터리( 델파이 제, MF 식, 용량은 거의 동일)로 바꿨다가 1년 사이에 방전이 4번이나 되는 바람에 다시 순정 배터리로 바꿨습니다.
처음에 바꾸게 된 이유도 재규어 순정 배터리로 4년 넘게 잘 탔는데 A/S 센터에서 증류수 보충한 다음 날 방전되어 교환한 거였습니다( 증류수 보충은 1년에 1회 정도 해줬음.).
예상에 앞으로 또 4년간은 배터리 신경 안 써도 될 것 같습니다.
증류수 보충식과 MF 배터리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메이커에서 불편한 증류수 보충식을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2007.09.21 01:38:38 (*.193.141.161)

아.. 초반에 방전이유가 알터네이터 때문이었군요^^; 글과 자세한 정황이 이해 안가서 횡설수설 하게된거 같습니다. 알터네이터 고장일경우 오너의 잘못 없이도 어쩔수 없는거 같습니다. 배터리 잘 선택하셔서 다시 쌩쌩한 애마 만들어 나가시길 바랍니다.^^
2. 납축전지가 몇번 완전방전을 하게되면 완전히 기능을 상실합니다.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3. 정품 30만원짜리 절대 살필요 없습니다. 배터리는 그냥 시동용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높은놈 써서 문제될것은 없습니다. 괜히 무겁겠지요. 저같으면 그냥 국산 80A짜리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