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어제 갑자기 차의 시동이 걸리질 않아
친구의 도움으로 점프스타트를 해서 겨우 약간의 충전으로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제 차의 배터리가 증류수가 들어가있는 뭐 그런 타입인듯 한데,
오늘 배터리에 있는 indicator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증류수를 보충하라' 는 식의 메세지를 담은 빨간색이 들어와있더군요..
이러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번주 일요일이면 기숙사로 들어가서 그 전에 차를 대충 고쳐놓고 가고 싶은데,
쉬운 일인지 알고 싶습니다.
현재 차 시동이 스타트모터가 한 5초 정도 돌다가 겨우 걸리고 있고
이 마저도 가스페달을 약간 열어줘야 걸리는 상황입니다.
차는 새차를 사서 현재 3년 정도 되었고 배터리는 손을 댄 적이 없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친구의 도움으로 점프스타트를 해서 겨우 약간의 충전으로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제 차의 배터리가 증류수가 들어가있는 뭐 그런 타입인듯 한데,
오늘 배터리에 있는 indicator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증류수를 보충하라' 는 식의 메세지를 담은 빨간색이 들어와있더군요..
이러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번주 일요일이면 기숙사로 들어가서 그 전에 차를 대충 고쳐놓고 가고 싶은데,
쉬운 일인지 알고 싶습니다.
현재 차 시동이 스타트모터가 한 5초 정도 돌다가 겨우 걸리고 있고
이 마저도 가스페달을 약간 열어줘야 걸리는 상황입니다.
차는 새차를 사서 현재 3년 정도 되었고 배터리는 손을 댄 적이 없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2007.09.21 15:19:54 (*.97.132.64)
배터리의 권장 교환주기는 2년입니다. 꼭 교환주기에 맞출 필요는 없지만 방전의 횟수와 차량내부의 전류소모량(오디오등이 되어있으면 더 합니다)등을 감안한다면 또 정상적인 컨디션의 배터리와 알터네이터는 방전후 점프 시동을 걸면 약30분정도면 정상의 볼티지를 가르켜야 정상입니다. 30분이상이 지났는데도 배터리가 정상적이지 않다면 배터리를 교환해주는것을 권장합니다.
2007.09.21 15:22:39 (*.97.132.64)
보충하는 방법은 인디게이터 옆에 일자드라이버로 열수 있는 나사(?) 같이 생긴것이 있습니다. 그걸 풀고 (보통 4~6개정도) 각각의 구멍에 보충하시면 됩니다. 배터리 옆면에 보면 상한선과 하한선이 표시되어있습니다
2007.09.21 17:23:30 (*.73.10.9)

대형 할인매장 같은 곳에서 배터리액을 팝니다.
증류수고요.
약국에서는 정제수를 파는데 별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물 보충하는 뚜껑은 동전을 이용해서 돌려 여시면 됩니다.
뚜껑을 제거하고 구멍 안을 보시면 해안가 처럼 물과 맞닿는 표시선이 있는데 그 곳까지 채우시면 되고요.
전해질이 많이 부족했다면 증류수를 보충하신 후에는 시동 거시고 좀 운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차종은 다르겠지만 제 경우는 17만 킬로/4년 정도 썼습니다.
통상적인 MF 배터리 보다 수명이 더 길지 않나 싶습니다.
증류수고요.
약국에서는 정제수를 파는데 별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물 보충하는 뚜껑은 동전을 이용해서 돌려 여시면 됩니다.
뚜껑을 제거하고 구멍 안을 보시면 해안가 처럼 물과 맞닿는 표시선이 있는데 그 곳까지 채우시면 되고요.
전해질이 많이 부족했다면 증류수를 보충하신 후에는 시동 거시고 좀 운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차종은 다르겠지만 제 경우는 17만 킬로/4년 정도 썼습니다.
통상적인 MF 배터리 보다 수명이 더 길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