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와이프가 타는 뉴 EF 쏘나타가 너무 출렁거려서 심지어 산길을 오르락내리락하면 와이프가 멀미를 합니다. 느리게 달리나 빠르게 달리나 상관없이 길이 약간만 꼬불하면 멀미를 할 정도이고 제가 몰아보면 차가 너무 출렁거려서 불안해서 속도를 내기가 겁납니다.
차는 2만킬로 탄 차를 2년반 전에 아버지께 인수받아서 현재 5만에 가까워지는데 처음에는 출렁거리는 줄 모르고 타다가 요즘은 좀 심하게 출렁거리는걸 느낍니다. 그동안 차가 변했다기 보다는 타는 사람이 그렇게 느끼는 것 같습니다.
여유가 된다면 아예 차를 바꿔서 스포츠 세단을 사고 싶지만 몇 년내로는 어려우니 이 차를 약간 손봐서 적어도 3-4년은 더 탈 생각입니다.
그래서 이 차에 뭔가 해줄까 싶은데 다운스프링만 장착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겠더군요. 그외에 인치업, 댐퍼, 스테빌라이저도 눈이 가긴가는데 가격이 만만치 않고, 동시에 그만큼 많은 투자를 하기엔 부담됩니다. 어차피 와이프가 주로 탈 차이고 가족끼리 놀러갈 때 타야해서 너무 단단할 필요는 없고 지금보다 약간만 더 단단하게 잡아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게시판인가 어디서 보니 어떤분은 다운스프링만 했더니 언더스티어가 나서 순정보다 운전하기가 더 어려웠다고 하기도 하고, 실제로 제가 느끼기에도 순정상태의 차가 출렁거린다고 해서 차가 코너에서 제대로 못 돌아나간다기보다는 심리적 불안감이 더 크더군요.
몇 일전에 테스트를 위해서 차가 거의 없는 시간에 평소보다 속도를 더 내고 타보니 의외로 출렁거리면서도 코너에서 나름대로 빠르게 잘 돌아나가는 것에는 놀랐습니다. 그러나 서스펜션의 성능 자체에 대한 문제보다는 심리적 불안감과 울렁거림에서 오는 불편한 승차감을 개선하고 싶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부분을 어떤 식으로 튠해주는 것이 가장 가격대비 만족스러울까요?
대략적인 내용도 좋고 구체적인 제품품의 상표까지 말씀해 주시면 더 좋습니다.
차는 2만킬로 탄 차를 2년반 전에 아버지께 인수받아서 현재 5만에 가까워지는데 처음에는 출렁거리는 줄 모르고 타다가 요즘은 좀 심하게 출렁거리는걸 느낍니다. 그동안 차가 변했다기 보다는 타는 사람이 그렇게 느끼는 것 같습니다.
여유가 된다면 아예 차를 바꿔서 스포츠 세단을 사고 싶지만 몇 년내로는 어려우니 이 차를 약간 손봐서 적어도 3-4년은 더 탈 생각입니다.
그래서 이 차에 뭔가 해줄까 싶은데 다운스프링만 장착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겠더군요. 그외에 인치업, 댐퍼, 스테빌라이저도 눈이 가긴가는데 가격이 만만치 않고, 동시에 그만큼 많은 투자를 하기엔 부담됩니다. 어차피 와이프가 주로 탈 차이고 가족끼리 놀러갈 때 타야해서 너무 단단할 필요는 없고 지금보다 약간만 더 단단하게 잡아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게시판인가 어디서 보니 어떤분은 다운스프링만 했더니 언더스티어가 나서 순정보다 운전하기가 더 어려웠다고 하기도 하고, 실제로 제가 느끼기에도 순정상태의 차가 출렁거린다고 해서 차가 코너에서 제대로 못 돌아나간다기보다는 심리적 불안감이 더 크더군요.
몇 일전에 테스트를 위해서 차가 거의 없는 시간에 평소보다 속도를 더 내고 타보니 의외로 출렁거리면서도 코너에서 나름대로 빠르게 잘 돌아나가는 것에는 놀랐습니다. 그러나 서스펜션의 성능 자체에 대한 문제보다는 심리적 불안감과 울렁거림에서 오는 불편한 승차감을 개선하고 싶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부분을 어떤 식으로 튠해주는 것이 가장 가격대비 만족스러울까요?
대략적인 내용도 좋고 구체적인 제품품의 상표까지 말씀해 주시면 더 좋습니다.
2007.09.27 14:12:54 (*.106.205.55)

와이프님이 타시는 차이니 댐퍼만 좀 단단한 걸로 바꾸는 것이 경제적이고 좋을 듯 싶습니다. 스프링까지 하게되면 길이 나쁜 곳에서 암만해도 좀 불편하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전같으면 스프링은 그대로 두고 보게댐퍼 정도면 싸고 좋았는데 --; 요즘도 있는지 모르겠네요.
예전같으면 스프링은 그대로 두고 보게댐퍼 정도면 싸고 좋았는데 --; 요즘도 있는지 모르겠네요.
2007.09.27 14:14:01 (*.192.244.159)

아버지-어머니께서 타시던 다이너스티가 가야바에 순정 스프링이었습니다. 그렇게 승차감이 나쁘지 않았던 기억이 나네요 ^^ 스프링이 순정이라서 그런지 바운스 할 때 정도만 느꼈습니다.
아무튼 5만쯤 되셨으면 순정 쇼바가 제 기능을 다 했을 수도 있을껍니다.
아무튼 5만쯤 되셨으면 순정 쇼바가 제 기능을 다 했을 수도 있을껍니다.
2007.09.27 15:51:03 (*.194.245.244)

5만이면 순정 쇼바 수명이 다되는 줄 몰랐습니다. 허주영님 글 읽고 검색해보니 보통 순정쇼바 수명을 5만으로 보네요. 그렇게 짧을거라고는 생각을 못했는데... 그렇다면 스프링만 하는 것보다는 댐퍼만 하는 것이 더 좋겠군요. 물론 한꺼번에 하면 좋겠지만 그러자면 거의 1백 정도 하니 부담됩니다.
그러고 보니 새 차를 사서 5만까지 타는 경험을 해본 차는 이 차가 처음이고 그외엔 중고로 사서 2-3만 킬로 타다가 팔아버려서 쇼바가 점점 물러지는 걸 느껴본 경험이 없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새 차를 사서 5만까지 타는 경험을 해본 차는 이 차가 처음이고 그외엔 중고로 사서 2-3만 킬로 타다가 팔아버려서 쇼바가 점점 물러지는 걸 느껴본 경험이 없었습니다.
2007.09.27 16:05:44 (*.106.205.55)

만약 사제 댐퍼만 바꾸실 경우, 너무 딱딱한 댐퍼는 순정스프링과 이상한(?)매칭을 보입니다. 가장 싸게 처리하는 방법은 순정댐퍼로 바꾸는 거죠 ^^
2007.09.27 17:21:26 (*.255.84.224)

성욱님 말씀이 맞습니다.
순정댐퍼+사제스프링 발란스 안맞습니다. - 댐퍼가 견디지 못하고 금방 나갑니다.
사제댐퍼+순정스프링 발란스 안맞습니다. - 롤링이 굉장히 심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스펜션 사제로 하실거면 둘다 바꿔주시는게 좋습니다.
순정댐퍼로 다시 바꿔주시면 3만mk정도는 짱짱하게 잘 타실수 있습니다.
비용도 제일 저렴하고요.
스프링은 쓰시던거 굳이 안바꾸셔도 됩니다.
(스프링의 수명은 반 영구적인걸로 보통 봅니다.)
순정댐퍼+사제스프링 발란스 안맞습니다. - 댐퍼가 견디지 못하고 금방 나갑니다.
사제댐퍼+순정스프링 발란스 안맞습니다. - 롤링이 굉장히 심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스펜션 사제로 하실거면 둘다 바꿔주시는게 좋습니다.
순정댐퍼로 다시 바꿔주시면 3만mk정도는 짱짱하게 잘 타실수 있습니다.
비용도 제일 저렴하고요.
스프링은 쓰시던거 굳이 안바꾸셔도 됩니다.
(스프링의 수명은 반 영구적인걸로 보통 봅니다.)
2007.09.27 21:59:19 (*.150.199.100)

쇽업소버가 수명이 다된 듯 싶습니다. 저도 뉴EF를 탔고 지금은 같은 플랫폼인 옵티마를 타지만 순정이 그리 출렁이는 타입은 아닙니다. 쏘나타 2/3에 비하면 더욱 그렇죠. 순정 쇽업소버로만 바꿔도 나아질 듯 싶습니다. 애프터마켓 댐퍼로 바꾸려면 스프링도 바꾸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출도 커지고...쇽업소버만 순정으로 바꾸거나 아님 가야바 정도로만 해서 스프링은 안건드리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EF의 서스펜션이 출렁거림은 있어도 한계에서 급격한 거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막상 코너에서 식은 땀 흐르는 경우는 많지 않더군요. NF는 그보다 더 발전돼서 굳이 서스펜션튜닝을 할 필요성을 못느꼈습니다.
EF의 서스펜션이 출렁거림은 있어도 한계에서 급격한 거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막상 코너에서 식은 땀 흐르는 경우는 많지 않더군요. NF는 그보다 더 발전돼서 굳이 서스펜션튜닝을 할 필요성을 못느꼈습니다.
2007.09.28 00:36:38 (*.127.78.172)
가야바+아이박 또는 빌스타인+아이박 조합이 부드러우면서도 탄탄한 느낌입니다.
아기나 장인어른 장모님 태울 수 있을만한 승차감...입니다.
2000년도에 가야바+아이박으로 튜닝하고 지금까지 잘 굴러다닙니다. 거의 12만킬로쯤 탔습니다.
아기나 장인어른 장모님 태울 수 있을만한 승차감...입니다.
2000년도에 가야바+아이박으로 튜닝하고 지금까지 잘 굴러다닙니다. 거의 12만킬로쯤 탔습니다.
2007.09.28 02:30:13 (*.68.54.32)

전부터 궁금했던 내용인데요.....애프터마켓 댐퍼는 도대체 어떤 스프링에 맞춰서 나오는건지요? 사실 애프터마켓 스프링의 스프링 레이트가 다 같은 것도 아니고,코일오버라면 그 스프링과 매칭이 되는 댐퍼일텐데 댐퍼만 따로 나오는 제품은 아이박처럼 스프링과 댐퍼가 같이 나오는 경우 말고는 어떤 것과 매칭이 되는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저는 그래서 그냥 코일오버를 씁니다만;;;
2007.09.28 13:43:08 (*.161.149.70)

댐퍼만 순정으로 새걸로 교체하시걸 추천합니다. 차의 용도로 보나, 비용대비 만족도로 보나 가장 적합하지 않나싶습니다.
2007.09.28 15:19:36 (*.194.245.244)

댐퍼만 순정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으시군요. 비용이라는 측면에서 봐도 그게 가장 좋을것 같습니다. 여유만 되면 댐퍼+스프링+스테빌라이저를 세트로 확 바꿔주고 싶은 마음도 있으나... 역시 비용이 문제네요.
약간 단단한 것은 오히려 와이프가 포르쉐 911 타보고 승차감이 좋다고 할 정도라 큰 문제는 안됩니다만...
약간 단단한 것은 오히려 와이프가 포르쉐 911 타보고 승차감이 좋다고 할 정도라 큰 문제는 안됩니다만...
2007.09.29 14:45:36 (*.111.201.85)
순정스프링에 가야바나 빌스타인을해도 크게문제가 되지는않습니다.코너링을 중시하는 분들에게는 문제가되겠지만,적당히 단단한느낌을 싫어하시지않는다면 가야바나 빌스타인으로 쇽만바꾸는걸 강추합니다.저도 한차량에 수도없이많은 셑팅을해봤지만,민감하게 서스셑팅을 하시는게 아니라면 순정보다는 가야바를 추천해드립니다.참고로,빌스타인은 가야바보다 약간더단단한 느낌이나 내구성에서는 훨씬 오래가기때문에 오래탈거라면 빌스타인도 고려해봄직합니다!^^
제가 예전 뉴이엡에 위 세팅으로 탔었는데 매우 만족하였습니다.
너무 단단한 세팅은 개인적으로 싫어했는데 위 세팅은 참 좋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