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도 엔진쪽에 관심이 많습니다

1. 3기통
- 아토스와 마티즈의 기통논쟁이 98년도 정도에 있었습니다. 현대는 마티즈 3기통 800cc를 깡통엔진이라 소음진동이 크다고 놀렸고, 대우는 4기통 800cc를 무겁고 효율 떨어진다고 비방했습니다. 단종된 아토스/비스토에 비하면 아직도 쌩쌩한 마티즈2의 승리라고 해야 할까 싶습니다.
- 관성모멘텀 등등 기계쪽 용어들은 원래 잘 모르고요, 상식적으로 동일배기량에서 기통 수를 적게 하면 부품 수가 줄어들고 기관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이점이 있을 터인데요
- 그리고 예전 독일 엔지니어들은 기통당 최적 배기량이 500cc 이내라고 하더군요.
- 그렇다면 3기통 1.6리터 엔진 정도가 가장 좋을 터인데 왜 이런 엔진은 찾기 힘들까요(폭스바겐에서 생산한다고 들었고, 예전 현대 디젤엔진 1.5도 3기통이라고 하더군요)
- 진동이 문제라면 BSM으로 어떻게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출력이 감소하고 무게도 증가하니 효과가 상쇄되어 그런가 싶기도 합니다)

2. V4
- L4에 비하면 기관의 길이가 짧아서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설계를 할 수 있을 터인데,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FR에 V4가 들어간다면 엔진룸 설계의 자유도가 상당히 높아지지 않을지 싶군요

3. L5
- 미국에서는 V6이상 대배기량의 인기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데, 그래서 그런지 NF도 2.4가 잘 팔린다고 하더군요.
- 6기통은 부담스럽고, 4기통은 싸구려같다면 L5는 어떨까요?
- 현대차 엔진 라인업 중에도 델타는 꽤 오래 우려먹었고, 그래서 퇴역을 시킨다면 2.5~3.2리터 까지의 틈새가 꽤 크지요. L5 3.0 정도라면 현대/기아에서도 꽤 유용하게 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쥐엠데우야 워낙 큰 회사이니 구하고 싶은 엔진은 계열사에서 사와도 되겠지만, 횡치 L6만들면서 내구도가 너무 낮아졌다고 하더군요(테드에서도 경험하신 분이 있다는) 차라리 L5로 만들었으면 좋았을 것을...
(볼보도 L5가 있고, 쌍용차도 2.3 엔진이 L5라고 하는 것을 들었습니다만...)

타타에서 230만원짜리 차를 만든다는데 2기통이라고 합니다. 역시 안 될 게 없겠죠? 저배기량 터보의 연이은 진출 소식을 보니, 기통을 줄이고 진동/소음을 잡는 기술이 미래에 각광받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