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권영주님의 아우토반 글은 특히 아주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독일사람들이 자동차와 도로의 축복을 받은 게 아닌가 하는 부러움이 가득합니다.
1. 국산 FF의 고속주행 성능
중앙일보에 글을 연재하는 황순하 선생님이 쓰신 걸로 기억됩니다.
포텐샤 3.0으로 아우토반을 고속주행하다가, 앞 차가 천천히 가길래 피할 상황도 못 되고 급정거를 하였다 합니다. 그런데 브레이크의 능력이 좋지 않아서 거의 앞차와 몇 cm 간격으로 서는 바람에 놀라서 앞차 운전자와 황선생님 둘 다 수명이 약간 줄어드셨을 듯 하더군요.
독일에도 우리나라 차가 수출이 될 터인데, 아우토반에서 고속(x90, y30같은 정도)으로 달려도 지장이 없었을까요?
제 경험으로는 제 옵티마로 x80을 잠시(직선 2km) 밟아봤으나 너무너무 불안했습니다. 유럽 수출용 차량의 하체가 좀 더 탄탄하다거나 이러는지는 전혀 모르겠군요.
유럽에서 국산 차량으로 '아우토반 고속 운전'을 해 보신 분의 경험담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2. 아우토반의 시설물 등도 궁금합니다
도로라는 것이 최적화 된 안전주행속도가 있다고 하는데 이를테면 노면 상태나 곡률 반경, 표지판 크기, 측풍에 따른 고려 등이겠지요. 그 중에서 도로 넓이가 좀 궁금합니다. 특별히 우리 나라 고속도로보다 많이 넓어보이지 않던데, 고속으로 주행해도 옆 차선 저속 주행 차량에 횡풍으로 휘청이는 효과를 많이 주지 않을 정도로 넓은가요?
3. 아우토반 배틀?
예를 들면 무르시엘라고나 모데나 같은 무서운 차들이 초고속 배틀을 할 수도 있지 않나 싶은데,
3.1 다른 운전자들을 고려한다면 너무 위험한 짓이니 경찰이 잡으러 다닐까요?
3.2 아니면 운전자들이 알아서 배틀은 안 할까요?(즉 뒤에 붙은 차가 나보다 더 빠를 것 같다면 군소리 않고 자리를 내어주는 문화로 인해 배틀이 없다거나)
언젠가 M5 정도로 한 번 시원하게 달려보고 싶습니다.
독일사람들이 자동차와 도로의 축복을 받은 게 아닌가 하는 부러움이 가득합니다.
1. 국산 FF의 고속주행 성능
중앙일보에 글을 연재하는 황순하 선생님이 쓰신 걸로 기억됩니다.
포텐샤 3.0으로 아우토반을 고속주행하다가, 앞 차가 천천히 가길래 피할 상황도 못 되고 급정거를 하였다 합니다. 그런데 브레이크의 능력이 좋지 않아서 거의 앞차와 몇 cm 간격으로 서는 바람에 놀라서 앞차 운전자와 황선생님 둘 다 수명이 약간 줄어드셨을 듯 하더군요.
독일에도 우리나라 차가 수출이 될 터인데, 아우토반에서 고속(x90, y30같은 정도)으로 달려도 지장이 없었을까요?
제 경험으로는 제 옵티마로 x80을 잠시(직선 2km) 밟아봤으나 너무너무 불안했습니다. 유럽 수출용 차량의 하체가 좀 더 탄탄하다거나 이러는지는 전혀 모르겠군요.
유럽에서 국산 차량으로 '아우토반 고속 운전'을 해 보신 분의 경험담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2. 아우토반의 시설물 등도 궁금합니다
도로라는 것이 최적화 된 안전주행속도가 있다고 하는데 이를테면 노면 상태나 곡률 반경, 표지판 크기, 측풍에 따른 고려 등이겠지요. 그 중에서 도로 넓이가 좀 궁금합니다. 특별히 우리 나라 고속도로보다 많이 넓어보이지 않던데, 고속으로 주행해도 옆 차선 저속 주행 차량에 횡풍으로 휘청이는 효과를 많이 주지 않을 정도로 넓은가요?
3. 아우토반 배틀?
예를 들면 무르시엘라고나 모데나 같은 무서운 차들이 초고속 배틀을 할 수도 있지 않나 싶은데,
3.1 다른 운전자들을 고려한다면 너무 위험한 짓이니 경찰이 잡으러 다닐까요?
3.2 아니면 운전자들이 알아서 배틀은 안 할까요?(즉 뒤에 붙은 차가 나보다 더 빠를 것 같다면 군소리 않고 자리를 내어주는 문화로 인해 배틀이 없다거나)
언젠가 M5 정도로 한 번 시원하게 달려보고 싶습니다.
2007.10.12 15:00:03 (*.166.36.85)
아 그리고 조금이라도 곡률이 심한 커브에서는 속도제한이 있습니다. 그치만 다들 안지키는 분위기였었죠..
제가 달린 구간은 슈투트가르트->뮌헨->뮌스터->카셀->쾰른 이정도였던것 같습니다.
제가 달린 구간은 슈투트가르트->뮌헨->뮌스터->카셀->쾰른 이정도였던것 같습니다.
2007.10.12 15:19:50 (*.109.18.119)

2년전 독일로 출장가서 오펠 벡트라를 렌트해서 운전해보았는데요. 다른 것은 기억이 안나고 노면 상태와 시설물은 정말 잘 고려해서 되어있었습니다. 아우토반도 곳곳에서 보수공사를 많이 하더군요.
그쪽에 상주하는 주재원 말로는 도로길이가 길고 중앙아시아와 북부유럽의 모든차들이 독일을 지나서 남부유럽으로 가므로 도로보수를 정말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도로요금이 없어서 도로유지보수하는데 많은 애로점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적은 예산으로 도로보수하는데는 일가견이 있다고 하네요. ^^
왜 다른 나라에서 오는 차량들에는 요금을 부과하면 안되냐 했더니 2차대전 패전국으로서 유럽공동체에 그 빚을 갚는거래나 뭐래나... 일본과는 정말 다르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쪽에 상주하는 주재원 말로는 도로길이가 길고 중앙아시아와 북부유럽의 모든차들이 독일을 지나서 남부유럽으로 가므로 도로보수를 정말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도로요금이 없어서 도로유지보수하는데 많은 애로점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적은 예산으로 도로보수하는데는 일가견이 있다고 하네요. ^^
왜 다른 나라에서 오는 차량들에는 요금을 부과하면 안되냐 했더니 2차대전 패전국으로서 유럽공동체에 그 빚을 갚는거래나 뭐래나... 일본과는 정말 다르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2007.10.12 19:04:49 (*.178.162.69)

꽤 눈이 많이 오는 가운데 오펠 아스트라 1.6mt 를 몰고 2차로를 160으로 달렸던 적이 있습니다. 그 와중에도 저를 볼보, 아우디 등이 180km/h 이상의 속도를 내며 1차로로 추월해가더군요.
당시 제 렌터카를 제외한 모든 차들이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있어 아우토반의 나라는 달라도 뭔가 다르군.. 했었는데 마스터님이 법규로 정해졌있다는 글을 쓰셔서 이해가 됬었지요.^^
제 경우 주로 쏘던차들은 아우디, 폭스바겐이었습니다.
도로 컨디션은 아주 좋구요. 공사구간이 구간에 따라 적지않습니다.
도로넓이는 우리나라와 별 차이없었던것 같습니다. 넓더라도 그리 차이 안날것 같네요.
저를 졸졸 따라오다 인터체인지빠져나오자 마자 부와악~하면서 쏜살같이 달려나가는 포르쉐 할머니도 기억에 남는군요 ㅋㅋㅋ
당시 제 렌터카를 제외한 모든 차들이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있어 아우토반의 나라는 달라도 뭔가 다르군.. 했었는데 마스터님이 법규로 정해졌있다는 글을 쓰셔서 이해가 됬었지요.^^
제 경우 주로 쏘던차들은 아우디, 폭스바겐이었습니다.
도로 컨디션은 아주 좋구요. 공사구간이 구간에 따라 적지않습니다.
도로넓이는 우리나라와 별 차이없었던것 같습니다. 넓더라도 그리 차이 안날것 같네요.
저를 졸졸 따라오다 인터체인지빠져나오자 마자 부와악~하면서 쏜살같이 달려나가는 포르쉐 할머니도 기억에 남는군요 ㅋㅋㅋ
2007.10.12 19:30:19 (*.152.36.196)

한국에서도 유독 쏘는 차들은 엄청난 고성능차들이 대부분 아니던데...
아우토반도 그런가보네요
전 어릴때 아버님차가 고급차였는데 천천히 다니시길래
고급차는 저렴한 차에 비해 속도가 느린줄 알았습니다.
아우토반도 그런가보네요
전 어릴때 아버님차가 고급차였는데 천천히 다니시길래
고급차는 저렴한 차에 비해 속도가 느린줄 알았습니다.
2007.10.12 21:29:45 (*.246.38.223)

여름에 아우토반 달리고 왔습니다.. 대략 1000Km정도 달린 것 같은데.. 포장 상태는 정말 예술이더군요.. 노면의 단차, 요철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전광판이 중간 중간 많이 있어 통행 상태에 따라 수시로 제한 속도가 바뀌는 것 같더군요.. 그리고, 제가 빌린 차가 220Km/h가 한계이던데.. 그 속도에서도 휭휭 지나가더군요..
2007.10.12 21:30:18 (*.246.38.223)

다른 차들보다 유독 눈에 띄던 차량은 아우디 아반트 모델들이였습니다. 제일 많은 수가 추월해 가더군요.. A4아반트, A6아반트 모델들이죠..
2007.10.15 18:07:39 (*.148.159.138)

그런 A4/A6 Avant 모델들이 정식 수입되지 않는게 소비자로서는 안타까운 실정이지요...
저처럼 Variant 와 같은 모델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요... ㅡ.ㅡ;;
저처럼 Variant 와 같은 모델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요... ㅡ.ㅡ;;
2007.10.15 22:20:45 (*.114.62.34)

1)아우토반에서도 심심치 않게 한국산 차들을 많이 봅니다. 다만 그리 빨리다니는 경우를 보지 못했고, 독일에서도 좀 달리는 사람들은 대부분 독일차를 선호하고 독일의 이러한 차량 구매기호를 빠른시간에 극복하는 것은 힘들어보입니다.
즉 독일산차 이외의 차를 선택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과도한 스피드를 별로 즐기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도로 표지판 및 시설물 최고입니다. 그 어느나라와도 비교가 안된다고 감히 생각합니다. 다만 가끔 무제한 구간 곡선구간에서 역뱅크가 있는 곳도 가끔있습니다.
3)아우토반 배틀은 저도 많이 해봅니다만 확실히 한국에서 하는것보다 훨씬 덜 위험합니다.
즉 달리는 사람과 추월당하는 사람이 위협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빠른차가 1차선 점유율을 높이는식의 기본룰이 잘 지켜지기 때문에 따로 단속을 할만한 이상한 행동을 하지 않는 이상 무제한 구간에서 단속될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다만 앞차를 너무 바짝 쫒아가는 것은 독일인들에게 큰거부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해야하고 그밖에 속도에 관련된 것은 자신이 제어만 제대로 할 수 있다면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가끔 엄청 빠른차들끼리 경쟁적으로 달리는 광경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만 생각보다 빈도는 많지 않습니다.
즉 독일산차 이외의 차를 선택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과도한 스피드를 별로 즐기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도로 표지판 및 시설물 최고입니다. 그 어느나라와도 비교가 안된다고 감히 생각합니다. 다만 가끔 무제한 구간 곡선구간에서 역뱅크가 있는 곳도 가끔있습니다.
3)아우토반 배틀은 저도 많이 해봅니다만 확실히 한국에서 하는것보다 훨씬 덜 위험합니다.
즉 달리는 사람과 추월당하는 사람이 위협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빠른차가 1차선 점유율을 높이는식의 기본룰이 잘 지켜지기 때문에 따로 단속을 할만한 이상한 행동을 하지 않는 이상 무제한 구간에서 단속될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다만 앞차를 너무 바짝 쫒아가는 것은 독일인들에게 큰거부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해야하고 그밖에 속도에 관련된 것은 자신이 제어만 제대로 할 수 있다면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가끔 엄청 빠른차들끼리 경쟁적으로 달리는 광경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만 생각보다 빈도는 많지 않습니다.
2007.10.16 10:34:43 (*.240.144.199)

마스터님과 답변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__) 저는 꿈에만 그리던 로망을 직접 해 보셨으니 다들 복받으신 거에요~
2007.10.17 13:59:52 (*.239.231.232)
저는 벤츠 c클래스로 2700km 정도를 달렸는데 독일 중부, 동부, 남부여서 편도 2차선이 많았습니다.
한 차로의 폭은 우리나라보다 좁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대신 갓길이 넓고 잔디나 풀 등으로 잘 꾸며져 있어 더 넓어 보였습니다.
편도 2차선인 경우 시속 160 정도로 10여분을 달렸는데 잘 비켜주는 바람에 전혀 막힘이 없었습니다. 저보다 빨리 달리는 차를 만나지 않기도 했고..........
편도 3차선 정도 되면 200 이상으로 달리는 차들이 좀 보이더군요.
주로 빨리 달리는 차들이 위에서 지적해주신 대로 아우디나 폭스바겐이 많았구요, 벤츠는 전혀 빠르지 않은 편이었습니다.
국산 차량은 구형 싼타페를 가장 많이 봤구요(대여섯 대), 쏘렌토도 너댓대 정도 보였습니다. 다들 160 이상으로 항속하더군요.
220까지 달려보긴 했는데 옆에 아내가 말리기도 했고 시야가 너무 좁아지는 듯 해서 그만두었습니다. 2148cc 디젤인데 4500rpm 정도 올라가더군요. 계기반은 260까지 있어서 240까지는 가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주행 안정성은 아주 좋은 편이었습니다.
고속주행을 위해 만든 차 같더군요. 저속에선 핸들, 엑셀, 브레이크 다 무거워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싫어하겠지만요.
국내 돌아와서 제 구형 sm5를 몰고 포항으로 돌아오는데 차가 어찌나 휘청거리던지 130을 넘기기가 불안하더군요. 예측 불가능한 운전자들도 많고........
한 차로의 폭은 우리나라보다 좁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대신 갓길이 넓고 잔디나 풀 등으로 잘 꾸며져 있어 더 넓어 보였습니다.
편도 2차선인 경우 시속 160 정도로 10여분을 달렸는데 잘 비켜주는 바람에 전혀 막힘이 없었습니다. 저보다 빨리 달리는 차를 만나지 않기도 했고..........
편도 3차선 정도 되면 200 이상으로 달리는 차들이 좀 보이더군요.
주로 빨리 달리는 차들이 위에서 지적해주신 대로 아우디나 폭스바겐이 많았구요, 벤츠는 전혀 빠르지 않은 편이었습니다.
국산 차량은 구형 싼타페를 가장 많이 봤구요(대여섯 대), 쏘렌토도 너댓대 정도 보였습니다. 다들 160 이상으로 항속하더군요.
220까지 달려보긴 했는데 옆에 아내가 말리기도 했고 시야가 너무 좁아지는 듯 해서 그만두었습니다. 2148cc 디젤인데 4500rpm 정도 올라가더군요. 계기반은 260까지 있어서 240까지는 가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주행 안정성은 아주 좋은 편이었습니다.
고속주행을 위해 만든 차 같더군요. 저속에선 핸들, 엑셀, 브레이크 다 무거워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싫어하겠지만요.
국내 돌아와서 제 구형 sm5를 몰고 포항으로 돌아오는데 차가 어찌나 휘청거리던지 130을 넘기기가 불안하더군요. 예측 불가능한 운전자들도 많고........
일단 국산차가 아니라서 1번은 패스...
제가 운전에 능숙하지 못해서... 어디가지나 일반인의 시각으로 답변드립니다.
2번... 시설물은 아주 훌륭합니다. 최소한 2키로미터정도로 시야 확보가 되는거 같더군요.
노면 포장상태 역시 좋은 편이어서 x20~x80까지 달려봤지만 별다른 불안감은 안느껴졌었습니다.
같이 다닌 여자친구도 별로 불안하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우리나라에선 x20만 넘어가면 살살가라고 면박주던 친구인데.. ㅎㅎ
3. 차종이 차종인지라.. 배틀을 붙어볼 생각도 재주도 없었지만. 상위차선에서 주행중에 뒤에서 빠른차가 온다면 바로바로 하위차선으로 옮기는 건 전체적인 분위기인것 같습니다. 저도 그렇게 운전했구요.
그런데, 1차선에서 빨리 달리는 차들은 주로 벤츠나 bmw의 디젤엔진을 실은 왜건이나 해치백 들이더군요(...)
고속도로 상에 전광판이 자주 등장하면서 그때그때 전방에 교통상황에 따라 속도제한이 (차선별로) 있기도 합니다. 남부독일쪽은 공사중인 구간이 많았는데요. 공사중인 구간의 속도제한은 x20키로 정도였습니다.
딱 한번 엔진 부서져라 y00을 오버한적도 있었지만... 엔진 소음 뺴고는 평온하게 달릴수 있었습니다.
p.s 여담이지만 오스트리아에서 독일로 진입하며 속도제한이 사라지는 그 순간에 무섭게 다가오는 뒤쪽 차량들과 한없이 멀어져가던 앞쪽 차량들이란... (풀악셀중이었는데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