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매일 눈팅만 하고있는 유령회원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오늘 낮에 급발진사고가 났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에 아버지가 제차를 타고오셨다가 집으로 가시는데 차로에 진입하는 순간
차량이 휠스핀을 일으키며 튀어나가는 겁니다 한30여미터를 스키드마크를 내며 내달리던 차량이 화단을 추돌하며 멈추어 섰습니다 그모습을 보고있는데 정말 아찔하더군요..ㅜㅜ
아버지 말로는 갑자기 알피엠이 치솟으며 브레이크도 안먹고 사이드까지 당기고 있는데 내달렸다고 하십니다 정말 대처를 잘하셔서 인명피해없이 화단에 추돌하였으니 다행이지 마주오던 차량이나 사람이 있었으면 큰일날뻔 했습니다
차량은 01년10월식 싼타페입니다 한4년전에 ecu튜닝을 했었고 몇개월전 엑셀레이터 센서 이상코드가 떠서 스케너로 지운적있습니다
이제 여러분께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어짜피 급발진사고에 대한 보상은 불가능한걸로 알고있어 사고에 대한 보상은 생각지도 않습니다
차량을 처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것은 알고있지만
다만 제가 내년쯤에 나올돈이 있어 맘먹고 있는 살수가 있습니다
해서 찝찝하지만 왠만하면 차량을 수리해서 내년까지는 계속타고싶습니다
하지만 걱정되는것은 또 이런일이 생기진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계속 탄다면 체크해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여러분이라면 내년에 계획하고 있는 차량을 포기하고 그냥 차량을 교체하시겠습니까~?
여러가지 갈등이 생겨서 맘을 못정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안전운전 하시기 바랍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오늘 낮에 급발진사고가 났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에 아버지가 제차를 타고오셨다가 집으로 가시는데 차로에 진입하는 순간
차량이 휠스핀을 일으키며 튀어나가는 겁니다 한30여미터를 스키드마크를 내며 내달리던 차량이 화단을 추돌하며 멈추어 섰습니다 그모습을 보고있는데 정말 아찔하더군요..ㅜㅜ
아버지 말로는 갑자기 알피엠이 치솟으며 브레이크도 안먹고 사이드까지 당기고 있는데 내달렸다고 하십니다 정말 대처를 잘하셔서 인명피해없이 화단에 추돌하였으니 다행이지 마주오던 차량이나 사람이 있었으면 큰일날뻔 했습니다
차량은 01년10월식 싼타페입니다 한4년전에 ecu튜닝을 했었고 몇개월전 엑셀레이터 센서 이상코드가 떠서 스케너로 지운적있습니다
이제 여러분께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어짜피 급발진사고에 대한 보상은 불가능한걸로 알고있어 사고에 대한 보상은 생각지도 않습니다
차량을 처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것은 알고있지만
다만 제가 내년쯤에 나올돈이 있어 맘먹고 있는 살수가 있습니다
해서 찝찝하지만 왠만하면 차량을 수리해서 내년까지는 계속타고싶습니다
하지만 걱정되는것은 또 이런일이 생기진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계속 탄다면 체크해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여러분이라면 내년에 계획하고 있는 차량을 포기하고 그냥 차량을 교체하시겠습니까~?
여러가지 갈등이 생겨서 맘을 못정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안전운전 하시기 바랍니다...
2007.10.13 01:36:22 (*.195.116.58)

악셀 센서 이상 코드가 떳는데 스캐너로 지웠다면... 화를 부르신것 같기도 하네요. 좀더 정확한 진단으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안 다치셔서 다행입니다만, 사소한 에러 코드라도 무시하시면 안 됩니다...
2007.10.13 11:22:04 (*.107.217.71)
디젤차는 메카니즘이 다르긴 하지만 휘발류차량은 WOT 일때는 서지탱크의 진공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배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죠. 다만, 몇회분을 사용할수 있을 정도만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그 기회를 놓친다면 브레이크가 배력의 힘이아닌 발꼬락의 힘 밖엔 의존을 할수 없다는 문제인거죠. 실험은 시동끄고 브레이크 밟아 보세요. ^^
그래도 차라는 것이 ms 에서 만들지 않은것이 다행인것이죠. ^^
그만한게 다행입니다.
그래도 차라는 것이 ms 에서 만들지 않은것이 다행인것이죠. ^^
그만한게 다행입니다.
2007.10.13 14:28:31 (*.230.125.132)

WOT 일때 브레이크에 문제가 생길 수 있겠지만, WOT 상황이 어떻게 생기느냐가 관건 아니겠습니까?
큰사고로 안이어져서 천만 다행입니다.
큰사고로 안이어져서 천만 다행입니다.
2007.10.13 19:48:37 (*.148.225.139)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현재 회사차로 수동변속기차량이 있기 때문에 그래도 한대는 오토를 가지고있는것이...
이런 경험이 흔치 않은 경우라 추가 질문 올리긴 그렇지만 급발진의 상황에서 시동을 off시켰다면 엔진은 정지하였을까요~?
여러분의 차량에 이런일이 일어났었다면 시동을 유지한채 브래이크를 잡고계시겠습니까? 시동을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잡고계시겠습니까?
여러분은 어떠한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옆에서 직접 목격했던일이라 만약 제가 이런일이 생긴다면 어떻게 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회사차로 수동변속기차량이 있기 때문에 그래도 한대는 오토를 가지고있는것이...
이런 경험이 흔치 않은 경우라 추가 질문 올리긴 그렇지만 급발진의 상황에서 시동을 off시켰다면 엔진은 정지하였을까요~?
여러분의 차량에 이런일이 일어났었다면 시동을 유지한채 브래이크를 잡고계시겠습니까? 시동을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잡고계시겠습니까?
여러분은 어떠한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옆에서 직접 목격했던일이라 만약 제가 이런일이 생긴다면 어떻게 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7.10.13 21:11:53 (*.127.196.140)
급발진을 하게되면 브레이크부스터를 작동시키는 엔진의 부압자체가 약해져서 브레이크가 잘 안듣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엔지니어의 입장에선 급발진이란것은 일어날수없는 일입니다
일단은 기어가 물려있어야하고 거기에다 스로틀밸브가 상당한 각도로 열려있어야하며... 또 연료를 거기에 비례해서 쏴줘야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죠...
엔진 rpm이 급격하게 올라갈수있는 가정 하나는... 스로틀밸브가 열린상태로 고정되있었는데 그걸 모르고 시동을 걸면 급발진이 가능할수도 있는데...
일단은 그 전날 rpm을 올려서 부와아앙 하는 상태로 시동을 끄지않는한 스로틀 밸브가 열린채로 시동이 꺼지지 어렵고... 대부분 아이들싱 상태에서 끄겠지요... 게다가 열려진채로 걸려있기도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리고 시동은 동력이 바퀴에 전달되는 D나 R 2 1 에서는 안걸린 다는것입니다
결국 급발진은 이론상으로는 절대 불가능한 현상입니다
그러나 가끔 발생하더군요... 알수없는 일입니다
내년에 생각해두신차가 있으시다면 고칠수있으면 고쳐서 타는것도 괜찮지 않을까요?
제가 보기엔 급발진은 로또 맞을 확률보다 낮은데요...
그러나 사실 엔지니어의 입장에선 급발진이란것은 일어날수없는 일입니다
일단은 기어가 물려있어야하고 거기에다 스로틀밸브가 상당한 각도로 열려있어야하며... 또 연료를 거기에 비례해서 쏴줘야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죠...
엔진 rpm이 급격하게 올라갈수있는 가정 하나는... 스로틀밸브가 열린상태로 고정되있었는데 그걸 모르고 시동을 걸면 급발진이 가능할수도 있는데...
일단은 그 전날 rpm을 올려서 부와아앙 하는 상태로 시동을 끄지않는한 스로틀 밸브가 열린채로 시동이 꺼지지 어렵고... 대부분 아이들싱 상태에서 끄겠지요... 게다가 열려진채로 걸려있기도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리고 시동은 동력이 바퀴에 전달되는 D나 R 2 1 에서는 안걸린 다는것입니다
결국 급발진은 이론상으로는 절대 불가능한 현상입니다
그러나 가끔 발생하더군요... 알수없는 일입니다
내년에 생각해두신차가 있으시다면 고칠수있으면 고쳐서 타는것도 괜찮지 않을까요?
제가 보기엔 급발진은 로또 맞을 확률보다 낮은데요...
2007.10.15 09:44:34 (*.7.28.150)

알피엠을 올리고 시동을 꺼도 스로틀플래이트는 스프링의 힘으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죠....카브레터 차량과 같이 냉간시 고 알피엠으로 인한 급발진은 어느정도 이해가 갑니다만.......
2007.10.15 13:21:25 (*.223.79.136)

저도 급발진이란 현상이 너무 신기합니다. 악셀페달이 케이블 방식이 아닌 전기 신호식이라면 꼭 불가능한 일은 아니겠으나 기존의 케이블 방식이라면 악셀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드로틀이 열릴수가 없으니까요. 그런데 분명히 급발진 이란 현상이 존재하니 의아합니다. 직접 겪으신 분들은 그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현상이다'라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으시겠죠. 시동을 끄면 점화플러그가 동작을 멈추니 이론적으로는 차량을 멈출 수 있겠지만 급발진 상황에서 침착하게 시동을 끌 수 있는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2007.10.15 14:02:10 (*.254.212.129)

많이 안 다치셨길 바랍니다.
이론적으로는 일어날수 없지만,
언젠가는 완전히 규명되어야 하는 문제 같습니다.
많은 분들한테 여쭤보고 싶은것은...
그런데.. ECU에서 액셀레이터 센서 이상이라고 뜨셨다는 상황이,
기존의 케이블 방식에서는 어떤 경우에 뜰 수 있을까요?
액셀레이터에 의해서 쓰로틀이 움직이고 이를 센싱하는 거라면, 쓰로틀센서와 같은 수준일까요? 아니면, 케이블 방식에서도 액셀레이터를 센싱하는 다른 기능이 있는 것인지요?
이론적으로는 일어날수 없지만,
언젠가는 완전히 규명되어야 하는 문제 같습니다.
많은 분들한테 여쭤보고 싶은것은...
그런데.. ECU에서 액셀레이터 센서 이상이라고 뜨셨다는 상황이,
기존의 케이블 방식에서는 어떤 경우에 뜰 수 있을까요?
액셀레이터에 의해서 쓰로틀이 움직이고 이를 센싱하는 거라면, 쓰로틀센서와 같은 수준일까요? 아니면, 케이블 방식에서도 액셀레이터를 센싱하는 다른 기능이 있는 것인지요?
2007.10.15 19:31:13 (*.150.199.100)

급발진이라 하더라도 오토의 경우 P나 N에서 시동이 걸리기 때문에 시동이 걸림과 동시에 D레인지로 바꾸지 않는 이상 그렇게 튀어날갈 수 있나요? 오토차 여러대 타왔고 지금도 수동/오토차 가지고 있지만 오토차를 제가 모는 상식으로는 그런 가능성이 매우 적어보입니다.
2007.10.17 10:40:18 (*.148.225.139)

배지운님 제차가 난 급발진사고는 p나n상황에서 난것이 아니라 드라이브로 옮기고 도로에 진입하며 스로틀을 개방했을때 알피엠이 끝까지 치솟으며 달려나갔다고 합니다..
(경황이없어 회전수는 못봤다고 하시지만..)
(경황이없어 회전수는 못봤다고 하시지만..)
오토트랜스미션의 급발진은 있다없다 논란이 많지만, 일단은 사람이 아닌 기계가 판단하고 작동하는 제품은 신뢰성을 100% 가지긴 힘듭니다. 특히나 한번의 사고경력이 있는 제품이라면 말이죠..
이참에 수동변속기로 바꾸시죠...:) (..적절한 해결방법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