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수정하였습니다. ㅜㅜ
- 엔진 : 현대 알파 1500cc
- 차종 : 베르나.
- 피스톤 : 스쿠프 알파 터보 피스톤
- 카니발 터빈, 1.3bar
안녕하세요. 지식이 얕다보니 답변보단 질문을 더 많이 하게 되는군요..^^;
지인의 차량인데 몇달새에 벌써 몇번의 엔진을 들어냈는지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옆에서 보기에 안타까워 도움을 좀 주고자 합니다.
위 사진처럼 탑링과 세컨링 사이의 랜드가 4번이나 깨졌었습니다.
조각도 깨진채로 그대로 얌전히 붙어있었습니다. 블럭또한 손상하나 없이 깨끗한 상태였습니다. 메탈베어링이나 기타 다른 부품도 전혀 문제 없었구요.
연료량은 조금 rich하게 세팅된 상태입니다. ^^
여기저기 찾아보니 열때문일수도 있다는데....수온과 유온은 항상 일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아직도 이유를 찾지 못하고 오늘도 헤드만 열어둔채로 망연자실 앉아 담배만 피워대고 있더군요..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2007.11.06 11:53:38 (*.147.178.41)

일반 알파엔진에 부스트업할경우 흔히 생기는 일입니다... 문제는 열화현상때문에 그런데요... 스쿠프 터보 블락으로 교환하시면 문제는 그나마 조~금 나아질겁니다. 스쿠프 터보경우 블락아래쪽에 오일젯 볼트가 장착되에 있어 피스톤으로 오일을 쏴주기에 윤활/냉각이 일반 알파 블락보단 잘되는 편이죠. 하지만 오일젯 볼트가 있는 스쿠프 터보 블락을 구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2007.11.06 12:22:21 (*.100.186.136)

음...녹킹으로 인한 충격으로 깨진것 같은데요...높은열이라면 보통은 헤드면이 녹은모양으로 자국이 있고요.... 물론 터보엔진의 오일젯으로 피스톤 냉각도 중요하지만.... 먼저 공기과잉률과 NOx값을 확인하고 배기온으로 연소실 온도을 어느정도 감안하시고 EGR 가스의 흡입량을 어느정도 올려주시게 연소실 온도 내리는데 효과가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고회전녹킹이 있는것 같으니 인터쿨러나 흡입공기의 온도를 내려주시는것도 녹킹방지에 효과적입니다... 터보 / 하이캠 셋팅의 차들은 녹킹에 대한 대비책을 확실히 해야합니다....
2007.11.06 19:27:40 (*.10.227.201)
노킹에 의한 피스톤 파손 인것 같습니다. 노킹외에 따른 원인으로 이렇게 깨지는일은 거의 드문 일입니다.연소실 가공도 도움이 되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 하는것이 바른 잣대라고 생각 합니다.맵핑값을 확인 하실 필요가 있다고 봐지는군요. 서두른 맵핑은 엔진 블로워을 일으킵니다.그 만큼 팹핑 테이터는 중요 하다고 봐야죠
2007.11.07 22:33:42 (*.54.226.252)
장시간 신나를 사용한 현대 순정 1.5 엔진에서도 종종 발생하는 현상 입니다. 내구성이 좀 약하죠. 우선은 부스트를 낮추고 장기적으로 내구성 보강 방법을 찾아야할것 같네요.
2007.11.08 03:22:28 (*.81.151.203)

알파DOHC엔진에 스쿠프피스톤은 최악의 조합입니다. 아니 스쿱피스톤이 원래 약합니다.
더욱이 위에 재우님이 말씀하신 오일젯도 없는 엔진이라 가뜩이나 약한 피스톤에 더욱 문제가 됩니다. 노킹으로는 피스톤탑이 뭉개지거나 녹을뿐 원문내용처럼 랜드파손은 있지 않지요.
말이 안되는거 같지만 개스킷타입으로 가세요. DOHC용 노멀 피스톤이 0.4bar를 썼던 순정 스쿱피스톤보다 훨씬 강합니다. 단 피스톤과 블럭의 클리어런스가 보장된다는 가정하의 답변입니다.
더욱이 위에 재우님이 말씀하신 오일젯도 없는 엔진이라 가뜩이나 약한 피스톤에 더욱 문제가 됩니다. 노킹으로는 피스톤탑이 뭉개지거나 녹을뿐 원문내용처럼 랜드파손은 있지 않지요.
말이 안되는거 같지만 개스킷타입으로 가세요. DOHC용 노멀 피스톤이 0.4bar를 썼던 순정 스쿱피스톤보다 훨씬 강합니다. 단 피스톤과 블럭의 클리어런스가 보장된다는 가정하의 답변입니다.
2007.11.08 03:28:03 (*.81.151.203)

첨언을 하자면 터보차저의 터빈휠이 작고 배기라인의 용량이 작을경우 1.3bar의 부스팅은
오히려 배기저항인 쵸킹현상으로 이어지고(옥탄가 마저 낮다면 노킹과 ECU점화학습피드백의 대립은 엄청나지요) 높은 RPM에서 배기압력으로 부스트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도 피스톤링의 측압이 상당하여 랜드부의 스트래스가 많게 되지요~ 천천히 이해해 보세요~
오히려 배기저항인 쵸킹현상으로 이어지고(옥탄가 마저 낮다면 노킹과 ECU점화학습피드백의 대립은 엄청나지요) 높은 RPM에서 배기압력으로 부스트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도 피스톤링의 측압이 상당하여 랜드부의 스트래스가 많게 되지요~ 천천히 이해해 보세요~
2007.11.08 03:32:50 (*.81.151.203)

첫번째 황인겸님의 방법은 압축비를 낮춰 연소실 압력을 낮춰 해결 할 수도 있는것 같지만
터보차저 사이즈와 배기시스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겸님 ...ㅎㅎㅎ
터보차저 사이즈와 배기시스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겸님 ...ㅎㅎㅎ
2007.11.08 12:32:57 (*.138.67.171)

흐 대일님 ^^;
글로쓰려니까 정리가 안되었는데, 한방에 깨끗히 해결해 주셨네요 ^^;
스쿱터보 연소실이 하자란 이야기는 안해주시네요 ^^
조만간 놀러가겠습니다 ^^
글로쓰려니까 정리가 안되었는데, 한방에 깨끗히 해결해 주셨네요 ^^;
스쿱터보 연소실이 하자란 이야기는 안해주시네요 ^^
조만간 놀러가겠습니다 ^^
자세한 방법이나 노하우는 저도 잘은 모르겠습니다 ㅡㅡ;
알파엔진(스쿱터보)의 경우 부스트 업사양에선 흔히 볼수 있는 현상 입니다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