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1. 서스펜션은 인커스의 S-kit으로 교체하였습니다. 추후 인커스의 바디킷도 인스톨할 계획이 있습니다.
2. 교체하려는 휠은 7.5J에 43의 옵셋입니다.
Q1. 7.5J에 장착 가능한 가장 얇은 폭이 205인데.. 이런 매칭이 가지는 단점이 있는지..
Q2. 고민되는 점은 타이어의 폭의 연비에 주는 영향..(순정인 205를 유지할 것인가, 광폭인 215를 선택할 것인가..) 과 승차감(205/50과 215/45)에 대한 영향..
>
>HD 순정에서 17인치로 인치업 할 계획입니다. 휠 옵셋은 7.5J에 43이 아마 될 것 같구요..
>
>용도 : 95%는 평범한 출퇴근 용, 5%는 아마 와인딩이나 서킷이 될 것 같습니다. 겨울철에 스키장 갈 일은 아마 없을 것 같구요.
>
>1. 사이즈 고민.
>
>HD 순정 사이즈가 205-55-16 입니다. 그래서 고민 중인 두 사이즈가 205-50-17과 215-45-17 두 종류 입니다. 전자는 아무래도 연비와 승차감 측면에서 장점이 있을 것 같구요, 후자는 타이어 가격을 조금 더 싸게 구할 수 있다는 점과 스포츠성 면에서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반면, 연비는 마이너스가 될 것 같구요. 일상적인 용도가 주라서, 승차감도 어느 정도 괜찮으면 좋겠고, 가끔의 extreme한 이벤트를 위해서 사이드월은 조금 강했으면 하는 바람은 있습니다.
>
>2. 고민 상품 list
>
>a. 피렐리 - p-zero nero (215/45/17) 이 녀석은 검색하다 튀어 나온 녀석인데, 시승기를 찾아보기 힘들어서 정보 구하기가 어렵네요.
>
>b. 미쉐린 pp2 (205/50/17) 주위에서 쓰시는 분들이 추천. 아드레날린보다 조금 더 승차감 좋고, 전천후 타이어로 조금 더 낫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가격은 a번에 비해 대략 개당 2만원 비싸게 달라네요.
>
>c. 국산. 매니아 분들이 추천해줘서 그런지 오히려 국산 타이어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요즘 국산 타이어도 좋다는데..(아무래도 가격도 외산보단 싸겠죠?^^;;) 아는게 없어서.. 제가 원하는 용도에 맞는 모델이 어느 정도일지 감조차 안옵니다.
>
>조언해주시는 분께 미리 감사를..^^;;
2007.11.09 09:04:23 (*.87.60.91)

윤성님 아시겠지만 전 i30 디젤 mt + incus s-kit 입니다. ^^;
저 또한 일(?) 때문에 가끔 과격한 주행을 하기도 하고 제 실력 범위 내에서
차를 한계상황(근데 정말 한계상황은 아니죠^^) 까지 밀어 부쳐 보기도
하지만 제또한 대분이 일상 생활용으로 운전하고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드라이빙 성향 역시 라이드(승차감) + 핸들링입니다.
서스펜션을 튜닝하셨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 드리고 싶은 타이어는
215/45/17 입니다.
(쉽게 예기하면 타이어의 사이드 월 강성도 또하나의 스프링이 되며
서스펜션 스프링과 직렬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프링이 강하고 타이어가 약하면 서스펜션이 타이어를 눌러
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고 있는 스펙 역시
17" 7.5J 옵셋 43 + 미쉐린 pp2 입니다.
저 또한 일(?) 때문에 가끔 과격한 주행을 하기도 하고 제 실력 범위 내에서
차를 한계상황(근데 정말 한계상황은 아니죠^^) 까지 밀어 부쳐 보기도
하지만 제또한 대분이 일상 생활용으로 운전하고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드라이빙 성향 역시 라이드(승차감) + 핸들링입니다.
서스펜션을 튜닝하셨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 드리고 싶은 타이어는
215/45/17 입니다.
(쉽게 예기하면 타이어의 사이드 월 강성도 또하나의 스프링이 되며
서스펜션 스프링과 직렬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프링이 강하고 타이어가 약하면 서스펜션이 타이어를 눌러
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고 있는 스펙 역시
17" 7.5J 옵셋 43 + 미쉐린 pp2 입니다.
2007.11.09 10:18:44 (*.254.112.153)

성근님~ 주위에서 조금 더 많은 비율로 아드레날린이 PP2보다 낫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좀 알려주세요~ 더불어 혹시 피렐리 타이어(P-zero nero)에 대한 경험도 있으시면 공유를~^^
사족. 성근님, 통장 잔고 바닥나게 생겼어요..ㅡ.ㅡ^ 그래도, 듀얼머플러 팁 좀 빨리 풀어주세요.
사족. 성근님, 통장 잔고 바닥나게 생겼어요..ㅡ.ㅡ^ 그래도, 듀얼머플러 팁 좀 빨리 풀어주세요.
2007.11.09 14:08:07 (*.87.60.91)

아드레날린은 박준수군 애마를 조수석에 동승하고 중미산에서 한번
타본 경험밖에 없습니다. (정확한 싸이즈는 기억이 .....)
16인치 였던걸로 생각되는데 상당히 깔끔한 라이드와 좋은 그립력 및
스터어 반응을 보여 줘서.. 그당시도 내리면서 준수군에게 타이어가
뭔지 물어본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직접 여러 조건에서 운전해본 경험이 없어 제 입장에서는 어떤
타이어라고 말씀 드리기가 어렵네요... 많음 분들이 좋은 타이어라고
추천 해주시더군요)
제가 pp2를 선택한 이유는 범용으로 쓸 타이어를 찾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는 지인분들을 통해 들은 타이어 특성 및 기타 가격
등등에서 적당하다고 생각되어서 장착을 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둘중 어느 타이어를 장착하셔도 다 만족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냥 생각나서 한마디 더 말씀 드리면
제 차량으로 누구와 함께 달려서 이겨야 한다든지 , 아님 써킷에서
랩타임을 줄여야 한다는지 그런 목적으로 타는 차량이 아니면 실제
취미로 와인딩을 타면서 타이어 덕분에 조금더 빠르고 조금 더 느린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생각입니다.
그 상태로 제가 컨트롤 하는 애마로 즐거움을 느낄수가 있으면
그게 즐거운 드라이빙이 되지 않을까 생가합니다.
타본 경험밖에 없습니다. (정확한 싸이즈는 기억이 .....)
16인치 였던걸로 생각되는데 상당히 깔끔한 라이드와 좋은 그립력 및
스터어 반응을 보여 줘서.. 그당시도 내리면서 준수군에게 타이어가
뭔지 물어본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직접 여러 조건에서 운전해본 경험이 없어 제 입장에서는 어떤
타이어라고 말씀 드리기가 어렵네요... 많음 분들이 좋은 타이어라고
추천 해주시더군요)
제가 pp2를 선택한 이유는 범용으로 쓸 타이어를 찾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는 지인분들을 통해 들은 타이어 특성 및 기타 가격
등등에서 적당하다고 생각되어서 장착을 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둘중 어느 타이어를 장착하셔도 다 만족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냥 생각나서 한마디 더 말씀 드리면
제 차량으로 누구와 함께 달려서 이겨야 한다든지 , 아님 써킷에서
랩타임을 줄여야 한다는지 그런 목적으로 타는 차량이 아니면 실제
취미로 와인딩을 타면서 타이어 덕분에 조금더 빠르고 조금 더 느린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생각입니다.
그 상태로 제가 컨트롤 하는 애마로 즐거움을 느낄수가 있으면
그게 즐거운 드라이빙이 되지 않을까 생가합니다.
2007.11.09 18:35:49 (*.254.112.153)

앗..뜨금. PP2 가격 알아보러 가야겠어요~ㅋㅋ 근데 괜시리 땡기는 p-zero는 뭐란 말인가.. 남들 안쓰는거 한 번 써보고 싶은..@.@;; 참, 박준수군의 사이즈는 205-55-16이에요.ㅎㅎ
2007.11.10 00:29:09 (*.251.1.89)

우왓.. 성근님 등장! +_+ 윤성님말씀대로 제차 타이어 사이즈는 205-55-16입니다.
(순정사이즈죠~휠만 TG휠.-.-) 가장 중요한건, 운전자가 달릴때 즐겁고 만족을 주는 제품이라면 그게 제일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드네요~ 맘이 가는걸로 사세요. ^^
(순정사이즈죠~휠만 TG휠.-.-) 가장 중요한건, 운전자가 달릴때 즐겁고 만족을 주는 제품이라면 그게 제일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드네요~ 맘이 가는걸로 사세요. ^^
2007.11.12 13:40:18 (*.121.19.168)
맞습니다. 저도 성근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공도에서 즐기시려면 뭐니뭐니해도 적당한 그립에 그립력을 잃을 시점에도
운전자가 컨트롤하기 쉽게(또는 예측가능하게) 날아가주는 타이어가 최고인 것
같습니다.
공도에서 즐기시려면 뭐니뭐니해도 적당한 그립에 그립력을 잃을 시점에도
운전자가 컨트롤하기 쉽게(또는 예측가능하게) 날아가주는 타이어가 최고인 것
같습니다.
인치업을 하면서 타이어폭이 그대로면, 별 의미가 없다고 봐지는데요. 순발력에서 부족하리라 예상되겠지만, 코너링 능력 증대(인커스 서스라면 더더욱) 브레이킹 능력 증대 면에서 보면, 215/45로 가는게 좋다고 봅니다.
45시리즈일때 당연히 싸이드월 강성도 좋아지는데.. 공로용 UHP 타이어의 월강성은 대부분 비슷한 수준이라 보면 됩니다. 월강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고려한다는건, 적당한 중간 퍼포먼스를 원하는거라 볼수 있겠죠? 승차감은 공기압으로 조정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