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문득 버스를 타고 오다.
천연가스 면? 엔진이 다른가? 혹시 디젤 엔진이 아니라서
버스 운전하기가 어렵지 않을까?
해서 인터넷 검색결과 엔진은 같다고 하는거 같네요.
대부분의 정보가. "경유에 비해 공해가 없다" 라고만 되어 잇지
엔진의 특성등은 없는데.
같은 엔진들인지. 아님 특별한 엔진인건지.
혹시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
-호기심 만땅 refeel.
천연가스 면? 엔진이 다른가? 혹시 디젤 엔진이 아니라서
버스 운전하기가 어렵지 않을까?
해서 인터넷 검색결과 엔진은 같다고 하는거 같네요.
대부분의 정보가. "경유에 비해 공해가 없다" 라고만 되어 잇지
엔진의 특성등은 없는데.
같은 엔진들인지. 아님 특별한 엔진인건지.
혹시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
-호기심 만땅 refeel.
2007.11.16 11:14:51 (*.134.225.3)
뭐... 저는 약간 다르지만 디젤->LPG 개조차량을 운행하고 있는데요...
단순히 단위 연료당 배출물질 저감을 기준으로 사업이 된거라...
연비가 디젤의 반토막이면 다행인 LPG 로는 다른건 좀 줄어들더라도
일,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매우 커지는거 같습니다.
같은 거리를 가도 디젤 20리터 태울걸 LPG는 40리터 이상 태우니까요...
단순히 단위 연료당 배출물질 저감을 기준으로 사업이 된거라...
연비가 디젤의 반토막이면 다행인 LPG 로는 다른건 좀 줄어들더라도
일,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매우 커지는거 같습니다.
같은 거리를 가도 디젤 20리터 태울걸 LPG는 40리터 이상 태우니까요...
2007.11.16 11:32:06 (*.230.253.111)

대형엔진을 CNG나 LPG전용으로 개발하기엔 시장이 좁기 때문에 완전히 전용엔진을 개발할만한 상황은 아닙니다(적어도 한국은요)
그래서 보통 디젤엔진을 베이스로해서 개수를 해서 생산을 합니다.(사실 CNG는 개수라고하긴엔 거의 전용엔진에 가까운 변화를 수반합니다. 블럭외형만 동일한 수준이고, 재질, 부가장비, 연료분사체계, 무빙계등의 재설계가 이뤄집니다)
따라서 전용 부품도 상당히 많습니다. 일단 디젤연료분사체계를 다 걷어내고 그 자리를 점화시스템으로 대체해야하고 흡기계통에 분사시스템도 장착해야하고요.
디젤엔진은 엔진후 배기가스수준에서도 CO와 HC가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이런면은 촉매전상황에선 CNG, LPG가 열세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언급해주신데로 연비측면에서 열세이기 때문에 CO2에서는 확실히 열세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도심권 대중교통수단정도가 딱 어울리죠.
그래서 보통 디젤엔진을 베이스로해서 개수를 해서 생산을 합니다.(사실 CNG는 개수라고하긴엔 거의 전용엔진에 가까운 변화를 수반합니다. 블럭외형만 동일한 수준이고, 재질, 부가장비, 연료분사체계, 무빙계등의 재설계가 이뤄집니다)
따라서 전용 부품도 상당히 많습니다. 일단 디젤연료분사체계를 다 걷어내고 그 자리를 점화시스템으로 대체해야하고 흡기계통에 분사시스템도 장착해야하고요.
디젤엔진은 엔진후 배기가스수준에서도 CO와 HC가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이런면은 촉매전상황에선 CNG, LPG가 열세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언급해주신데로 연비측면에서 열세이기 때문에 CO2에서는 확실히 열세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도심권 대중교통수단정도가 딱 어울리죠.
2007.11.16 11:46:54 (*.116.196.225)

아. 역시. 엔진 블럭 이외에 많은 변형이 필요하구나.
그런데, 디젤은 토크가 높은데, 가스로 하면 토크가 줄거 같은데..
그럼. 운전하기 힘들지 않을런지요?
그런데, 디젤은 토크가 높은데, 가스로 하면 토크가 줄거 같은데..
그럼. 운전하기 힘들지 않을런지요?
2007.11.16 11:59:08 (*.230.253.111)

토크가 줄지는 않습니다.^^ 그렇게되면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격한 차이가 나는 정도는 아니고 동급 디젤엔진의 준하는 수준으로 출력성능을 보입니다. 엔진의 운전특성은 압축비의 변화등에 따라 분명히 다른 느낌을 줍니다만...개인적으로 300마력미만급 시내버스(일반시내버스)에서는 CNG쪽의 부드러운 출력상승이 더 편하다고 생각합니다^^(물론 승객석에서 느낌입니다)
2007.11.16 12:06:47 (*.134.225.3)
음... 김성중님// 질문한개만... 드리고 싶습니다. 혹시 아실까 해서 ^^;;
개조차는 왜 디젤때보다 말도 안되게 힘이 부족할까요... 만차일때는 4단 넣기도 버겁습니다... 분명 개조사 홈페이지 정보를 보면 마력수,토크 다 증가한다고 되어있는데... 토크부족은 눈에 띌정도 입니다... 가속은 뭐 포기해야하구요... 7~80정도에서 4단 풀악셀이나... 5단가속이나... 4단에서 그냥 슬쩍 밟고 있는 거나 전혀 차이없고 엔진에서 노킹음만 납니다. 마력수가 늘었다고 하지만... 짐실어 보면 그것도 아니구요... 고속도로 달리다 에어컨 켜면 10키로씩 속도가 떨어집니다.
제작사에 직접가지고 가도 정상이니 그냥 타라고 해서... 포기한 상태이긴 합니다만 ;
개조차는 왜 디젤때보다 말도 안되게 힘이 부족할까요... 만차일때는 4단 넣기도 버겁습니다... 분명 개조사 홈페이지 정보를 보면 마력수,토크 다 증가한다고 되어있는데... 토크부족은 눈에 띌정도 입니다... 가속은 뭐 포기해야하구요... 7~80정도에서 4단 풀악셀이나... 5단가속이나... 4단에서 그냥 슬쩍 밟고 있는 거나 전혀 차이없고 엔진에서 노킹음만 납니다. 마력수가 늘었다고 하지만... 짐실어 보면 그것도 아니구요... 고속도로 달리다 에어컨 켜면 10키로씩 속도가 떨어집니다.
제작사에 직접가지고 가도 정상이니 그냥 타라고 해서... 포기한 상태이긴 합니다만 ;
2007.11.16 12:40:30 (*.230.253.111)

사견을 전제로 말씀드리면...디젤엔진의 오토사이클 컨버젼이 압축비낮추고 단순히 피스톤 바꾸며 분사체계변경정도로 끝나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실제 국내 국책연구소에서 수행한 대형LPi엔진 개발시에는 흡기유동부, 피스톤상부형상, 연료분사각도등 수도없이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수십억원의 예산을 가지고 거의 4~5년간을 연구해서 시제품을 만들었습니다.(국내제작사의 CNG역시 그보다 시간은 짧았지만..들어간 예산과 맨아워를 생각하면 더했으면 더했구요) 그런정도의 노력끝에 동급디젤엔진에 준하는 수준의 출력성능을 낼 수 있었습니다만..현재 수행되고 있는 경유차전환사업의 컨버젼엔진들은 그러한 수준까지 접근할 수는 없었으리라 봅니다. 공칭마력과 토크가 기존 디젤엔진보다 상승되었다는 광고역시..특히 토크는 어떻게 어디서 측정을 한 결과인지 저도 궁금합니다. 벤치다이노상에서 측정된 토크선도가 있으면 말씀드리기 편할테데 그렇지 못하네요.
그리고..또 한가지 원래 사용되던 디젤엔진의 토크곡선과 부합되도록 설정된 기어비와의 매칭불량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플랫한 토크를 보이고 있는지, 그리고 최대토크점의 위치가 고회전영역으로 옮겨간게 아닌가는 부분들도 점검되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화물차량의 운행특성상 저중회전영역의 토크가 고르고 최대토크의 근접해야할텐데 그렇지 못하고 토크곡선이 중간에 산처럼 솟아버린 형태가 된다면(거기다가 그 토크의 해당회전영역이 높다면) 공칭되는 마력도 덩달아 올라가버려서 수치상으로는 출려과 토크가 상승한 것으로 얘기할 수 있지만..실제 운전성에서는 전혀 그렇지 못한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또 한가지 원래 사용되던 디젤엔진의 토크곡선과 부합되도록 설정된 기어비와의 매칭불량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플랫한 토크를 보이고 있는지, 그리고 최대토크점의 위치가 고회전영역으로 옮겨간게 아닌가는 부분들도 점검되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화물차량의 운행특성상 저중회전영역의 토크가 고르고 최대토크의 근접해야할텐데 그렇지 못하고 토크곡선이 중간에 산처럼 솟아버린 형태가 된다면(거기다가 그 토크의 해당회전영역이 높다면) 공칭되는 마력도 덩달아 올라가버려서 수치상으로는 출려과 토크가 상승한 것으로 얘기할 수 있지만..실제 운전성에서는 전혀 그렇지 못한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007.11.16 13:20:32 (*.134.225.3)
아...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했습니다 ^^;;; 이제 뭐 포기 상태라 제가 차에 맞춰가려구요... 헤... 토크선도는 제가 한번 제작사에 요청해봤는데... 산학협동으로 개발하면서 데이터를 모조리 망실하는 바람에 뭐 있는게 없다고 대답을 받았습니다 ㅠㅠ...
2007.11.16 13:27:22 (*.230.253.111)

데이터 망실이요?--;.....이런 컨버젼엔진들은 사후관리체계가 없나보네요. 아니면 대기보전법에서 특혜적인 관리를 받던지요. 점점 궁금해집니다.
2007.11.16 13:35:34 (*.109.154.245)

전 가끔 NGV 버스 뒷자리에 타게되면, 변속기 소리가 정말 좋더라구요.
깨애애애애애앵~~~~ 하는 도그 미션같은 소리가 환상적이었어요. ^^
깨애애애애애앵~~~~ 하는 도그 미션같은 소리가 환상적이었어요. ^^
2007.11.16 14:07:59 (*.134.225.3)
아... 지금 요청하러 홈페이지 다시 가봤는데... 아예 글을 못올리게 해놨습니다; 게시판이 사라졌어요... 개편하더니... 전화로 요청을...
디젤에 비해 다른 공해물질은 거의 없다고 표현해도 될정도로 줄지만
이산화탄소는 따블 또는 이상으로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