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전에 알피엠 문제에 대해 여쭸었는데요
결국은 수리하러 차를 보냈습니다
수리업체에서는 아이들링 스텝모터가 안좋다고 하던데..
그래서 교환...
그리고 인테이크쪽에 가스켓이 문제가 있다고 해서 역시 교환..
근데도 여전히 안떨어 집니다... 여기까지 430불 들었구요..
정차중에 한동안 기다리면 천천히 내려오는데
수리후에는 그 속도가 약간 빨라졌습니다..아주 약간요..
근데 문제는 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밟아보면 외려 클러치가 끊어진 상태로
알피엠이 순간적으로 200~300 정도 상승 후에 내려옵니다..
내려오는 것도 2000rpm 부근에서 멈칫하다가 천천히 떨어지구요..
그리고 2000 이상회전에서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만.. 그 미만 구간에서는
파워클러치를 사용하듯 변속후 클러치 미트와 동시에 튀어나갑니다..
그리고 기어가 들어간 상태에서 2000회전 미만에서는
엑셀 오프시라도 마치 크루즈 컨트롤이라도 켠듯
거진 고정된 속도로 달리다가 슬슬 내려옵니다..
그래서 제 예상으로는 전에 잠시 화두에 올랐던 엔진브레이크시에
어느회전수 미만에서는 아이들링을 위해 연료 분사를 해준다고 했었던
그 부분.. 그 과정에서 연료분사가 과다한게 아닌가 의심됩니다만..
그리고 그 과정에서도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쪽이 더 의심됩니다만...
고수님들 생각이 궁금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수리해준 업체와 상의해 보았는데
제 튜닝된 ecu의 문제일 수 있고.. 일단 주말까지는 두고보다가(업체측에서는
배터리를 리셋했기때문에 재 학습까지 20분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다라고 하더군요)
월요일쯤 튜닝 ecu만 읽는 스캔을 불러다가 (이것만 90불 달라더군요) 다시 확인해
보자고 하더군요.. 아.. 필터 청소를 안해서 그렇다는 얘기도 하던데..
솔직히 제가 볼때는 업체에서 문제를 집어내지 못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이거 어느쪽의 문제인지 너무나 갑갑하고 걱정스럽네요...
모쪼록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아낌없는 충고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결국은 수리하러 차를 보냈습니다
수리업체에서는 아이들링 스텝모터가 안좋다고 하던데..
그래서 교환...
그리고 인테이크쪽에 가스켓이 문제가 있다고 해서 역시 교환..
근데도 여전히 안떨어 집니다... 여기까지 430불 들었구요..
정차중에 한동안 기다리면 천천히 내려오는데
수리후에는 그 속도가 약간 빨라졌습니다..아주 약간요..
근데 문제는 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밟아보면 외려 클러치가 끊어진 상태로
알피엠이 순간적으로 200~300 정도 상승 후에 내려옵니다..
내려오는 것도 2000rpm 부근에서 멈칫하다가 천천히 떨어지구요..
그리고 2000 이상회전에서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만.. 그 미만 구간에서는
파워클러치를 사용하듯 변속후 클러치 미트와 동시에 튀어나갑니다..
그리고 기어가 들어간 상태에서 2000회전 미만에서는
엑셀 오프시라도 마치 크루즈 컨트롤이라도 켠듯
거진 고정된 속도로 달리다가 슬슬 내려옵니다..
그래서 제 예상으로는 전에 잠시 화두에 올랐던 엔진브레이크시에
어느회전수 미만에서는 아이들링을 위해 연료 분사를 해준다고 했었던
그 부분.. 그 과정에서 연료분사가 과다한게 아닌가 의심됩니다만..
그리고 그 과정에서도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쪽이 더 의심됩니다만...
고수님들 생각이 궁금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수리해준 업체와 상의해 보았는데
제 튜닝된 ecu의 문제일 수 있고.. 일단 주말까지는 두고보다가(업체측에서는
배터리를 리셋했기때문에 재 학습까지 20분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다라고 하더군요)
월요일쯤 튜닝 ecu만 읽는 스캔을 불러다가 (이것만 90불 달라더군요) 다시 확인해
보자고 하더군요.. 아.. 필터 청소를 안해서 그렇다는 얘기도 하던데..
솔직히 제가 볼때는 업체에서 문제를 집어내지 못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이거 어느쪽의 문제인지 너무나 갑갑하고 걱정스럽네요...
모쪼록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아낌없는 충고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07.11.17 15:11:37 (*.176.48.16)

제경우는 시동불량 증상과 더불어 rpm 불안, 높게 유지되는 아이들링 등 비슷한 증상이 있었는데 결론은 수온센서 이상이었습니다. ecu에는 수온이 너무 높다는 잘못된 오류코드가 남겨져 있었습니다. 전혀 다른 원인일 수도 있으니 그냥 참고만 하세요.
2007.11.17 17:25:53 (*.213.7.130)

네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저도 막연히 어느 센서쪽이 문제가 아닌가 무댓뽀성 추측만 했었는데..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물론 차종마다 다르겠지만 대략적인 가격이 얼마나 되는 부품인지 궁금합니다
학생신분이라서.. 힘들거든요 ^^;
저도 막연히 어느 센서쪽이 문제가 아닌가 무댓뽀성 추측만 했었는데..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물론 차종마다 다르겠지만 대략적인 가격이 얼마나 되는 부품인지 궁금합니다
학생신분이라서.. 힘들거든요 ^^;
2007.11.17 18:48:39 (*.57.216.223)

차종이... 뜨로틀바디가 더럽거나, 이물질이 뜨로틀 플레이트를 막고있거나, 아님 뜨로틀바이와이어가 아니면, 케이블이 늘어났거나, 도중에 꺽였거나... 뜨로틀 바디 깨끗히 청소 추천합니다. 만약 문제가 없더라도, 이번기회에 딱아주면 손해는 없으니, 추천합니다~~~
2007.11.17 19:08:33 (*.213.7.130)

아.. 연료계통 청소도 대강 하기는 했는데..
아예 처음 부터 케미컬류 구해다가 다시 해봐야겠습니다..
산소센서는 가격이 착하군요..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차종은 굉장히 생소한 포드 팔콘 xr6입니다...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
계속 더 참고할 만한 정보 기다리겠습니다..^^
아예 처음 부터 케미컬류 구해다가 다시 해봐야겠습니다..
산소센서는 가격이 착하군요..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차종은 굉장히 생소한 포드 팔콘 xr6입니다...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
계속 더 참고할 만한 정보 기다리겠습니다..^^
2007.11.17 21:14:49 (*.212.116.77)
자꾸 점검할 부위가 늘어나면... 고민이 많아지실텐데요...ㅎㅎ
TPS 오류로 인해서 그런문제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TPS에서 나오는 잘못된 값이 ECU로 입력될경우 아마도 ISC를 열어서 RPM을 올려버릴수도 있답니다...
TPS센서만 부품으로 팔기도 하는데... 국내 가격으로 2~3만원이었던것 같습니다..
근데 운이 나쁘면 스로틀바디와 함께 교체를 해야하는 assy로만 나올수도 있답니다.
TPS 오류로 인해서 그런문제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TPS에서 나오는 잘못된 값이 ECU로 입력될경우 아마도 ISC를 열어서 RPM을 올려버릴수도 있답니다...
TPS센서만 부품으로 팔기도 하는데... 국내 가격으로 2~3만원이었던것 같습니다..
근데 운이 나쁘면 스로틀바디와 함께 교체를 해야하는 assy로만 나올수도 있답니다.
2007.11.17 21:31:35 (*.213.7.130)

쓰로틀포지션 센서가 바디에 부착된 형태인가요?.. 무지해서 좋은 답변을 주셔도
어렵게 다가오네요 ㅎㅎ;;
모쪼록 가격대가 착한부품이라면 메인터넌스한다는 셈치고 이것저것 교환하고 싶습니다만..
결국 지금 이베이에서 헤엄치고 있습니다 ㅎㅎ;;
조용재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여러방면으로 생각토록 해보겠습니다..
계속 주시하면서 적극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렵게 다가오네요 ㅎㅎ;;
모쪼록 가격대가 착한부품이라면 메인터넌스한다는 셈치고 이것저것 교환하고 싶습니다만..
결국 지금 이베이에서 헤엄치고 있습니다 ㅎㅎ;;
조용재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여러방면으로 생각토록 해보겠습니다..
계속 주시하면서 적극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7.11.18 04:37:31 (*.53.84.47)

저는 이전에 타던차가 산소센서 문제로 rpm이 들락대는 현상을 경험했었습니다. 쓰로틀바디 청소액도 잘 사용하셔야되구요. 자칫하면, 쓰로틀바디 청소액이 산소센서를 망가뜨리는 일도 생깁니다.. (제가 그랬음.) 될수있음 쓰로틀바디를 분해하셔서 청소하는것을 권해드리고 싶네요. 윗분들 의견과 잘 참고하셔서 고장의 원인을 찾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2007.11.18 10:45:48 (*.213.7.130)

이미 망가졌다는 가정하에 그냥 스로틀바디청소하고 산소센서를 교환해야겠네요..
그냥 스프레이 타입 같은것 사용하는것은 어떨까요??
그리고 위에서 민경찬님께서 대략적인 수온센서 가격은 적어주셨는데
혹시 산소센서나 스로틀포지션센서의 가격대는 어느정도나 할까요?...
박준수님 답변감사합니다.. ^^ 잘 참고토록하겠습니다...
원인이 참 여러가지에서 오는 증상이 아닌가 싶어서 비용적 시간적 문제역시 찾아오는군요 ㅠㅠ
그냥 스프레이 타입 같은것 사용하는것은 어떨까요??
그리고 위에서 민경찬님께서 대략적인 수온센서 가격은 적어주셨는데
혹시 산소센서나 스로틀포지션센서의 가격대는 어느정도나 할까요?...
박준수님 답변감사합니다.. ^^ 잘 참고토록하겠습니다...
원인이 참 여러가지에서 오는 증상이 아닌가 싶어서 비용적 시간적 문제역시 찾아오는군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