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오늘 할머니 생신이라 시골을 내려 가야해서 아침 일찍 일어나 깔끔하게 세차를 하고
오랫만에 엔진 오일을 체크를 해보았습니다.
순간 깜짝 놀랐습니다. 엔진 오일 교체한지는 두달 조금 넘었고 주행거리는 약 4000Km
정도 되었는데 엔진오일 스틱 끝부분에 조금 묻어나는 것 뿐이었습니다.
확인하지 않고 갔으면 까딱하다 위험했을 상황이었습니다.
주행 조건이 그렇게 가혹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일이 너무 소모 된거 같아 당황스러웠습니다.
작년에 엔진 상에서 누유가 발견되어 가스켓을 교체하였는데 엔진 자체에서 소모가 된건지
아님 엔진 유격때문에 오일이 샌건지 확실하게 알 수는 없었습니다.
장거리를 다녀와야했기에 타이어 공기압도 점검할겸해서 세차를 마치고 카센터로 갔습니다.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일단 오일 교체는 하지않고 ZIC 5W30으로 보충만 해주었습니다.
문득 부동액을 교환한지 이번달로 꼭 2년이 되는 해였기 때문에 부동액은 미리 교환을 해야겠다 싶어 교환을 하였습니다.
리프트에 차를 띄우고 마개를 여는 순간 검은색의 부동액이 콸콸 쏟아지더군요.
"...."
순간 엔진 오일인줄 알았습니다.
부동액을 교환하는 동안 사장님께 히터를 켜면 냄새가 심하게 나는데 혹시 필터교환을 해야하는지 여쭈어 보았습니다.
그런데 사장님이 의외의 대답을 주시더군요.
부동액을 오랫동안 교환하지 않으면 냄새가 심하게 날 수도 있다더군요.
교환을 마치고 히터를 강하게 틀어놓고 환기를 충분히 시킨 다음 다시 틀어보니 신기하게도
방금전까지 심하게 나던 냄새가 나질 않는 것이었습니다.
질문 드리겠습니다.
1. 두달 만에 엔진 오일이 소모가 많이 되었는데 지금처럼 보충해서 주행해도 상관이 없는지요.
2. 부동액과 히터냄새와 상관이 있는지요.
오늘 비가 좀 날리더니만 날씨가 엄청 추워졌습니다. 테드 회원님들 건강 조심하시구요~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랫만에 엔진 오일을 체크를 해보았습니다.
순간 깜짝 놀랐습니다. 엔진 오일 교체한지는 두달 조금 넘었고 주행거리는 약 4000Km
정도 되었는데 엔진오일 스틱 끝부분에 조금 묻어나는 것 뿐이었습니다.
확인하지 않고 갔으면 까딱하다 위험했을 상황이었습니다.
주행 조건이 그렇게 가혹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일이 너무 소모 된거 같아 당황스러웠습니다.
작년에 엔진 상에서 누유가 발견되어 가스켓을 교체하였는데 엔진 자체에서 소모가 된건지
아님 엔진 유격때문에 오일이 샌건지 확실하게 알 수는 없었습니다.
장거리를 다녀와야했기에 타이어 공기압도 점검할겸해서 세차를 마치고 카센터로 갔습니다.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일단 오일 교체는 하지않고 ZIC 5W30으로 보충만 해주었습니다.
문득 부동액을 교환한지 이번달로 꼭 2년이 되는 해였기 때문에 부동액은 미리 교환을 해야겠다 싶어 교환을 하였습니다.
리프트에 차를 띄우고 마개를 여는 순간 검은색의 부동액이 콸콸 쏟아지더군요.
"...."
순간 엔진 오일인줄 알았습니다.
부동액을 교환하는 동안 사장님께 히터를 켜면 냄새가 심하게 나는데 혹시 필터교환을 해야하는지 여쭈어 보았습니다.
그런데 사장님이 의외의 대답을 주시더군요.
부동액을 오랫동안 교환하지 않으면 냄새가 심하게 날 수도 있다더군요.
교환을 마치고 히터를 강하게 틀어놓고 환기를 충분히 시킨 다음 다시 틀어보니 신기하게도
방금전까지 심하게 나던 냄새가 나질 않는 것이었습니다.
질문 드리겠습니다.
1. 두달 만에 엔진 오일이 소모가 많이 되었는데 지금처럼 보충해서 주행해도 상관이 없는지요.
2. 부동액과 히터냄새와 상관이 있는지요.
오늘 비가 좀 날리더니만 날씨가 엄청 추워졌습니다. 테드 회원님들 건강 조심하시구요~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07.11.18 12:39:17 (*.237.212.179)

혹시 헤드게스킷이 새는건 아닌지요? 부동액 색깔이 검은색이라고 하셨는데, 그게 그냥 오래 써서 색깔이 변한것인지 엔진오일이 섞여서 그렇게 된 것인지 확인하시는게 중요합니다. 헤드 게스킷에 문제가 생기면 오일이 부동액쪽으로 섞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히터쪽으로 부동액이 순환을 합니다. 그래서 소량이라도 실내쪽에서 새는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처음에는 팬을 틀었을 때만 냄새가 나다가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엔진룸쪽에서 냄새가 나는 경우 그 냄새가 와이퍼 밑에쪽 외부 공기 유입하는 곳을 통해서 실내로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외부 공기 유입 차단을 하시고 테스트를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두가지 문제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일소모는 엔진과 주행특성에 따라서 소모량이 좀 커도 그냥 보충하면서 다녀도 될 정도의 양이면 그냥 자주 체크 하시고 보충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주행거리가 좀 있는 차량이고 딱히 오일이 줄어드는 문제가 없다면 보통 12만킬로 이상 주행차량에 추천하는 하이 마일리지 오일등을 써보시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연식과 주행거리가 꽤 있던 차량을 탔었습니다만, 여기저기서 조금씩 누유가 있고 오일 소모가 비교적 새차에 비해서 많았던 것은 정상이라고 해서 그냥 자주 보충하면서 다녔습니다.
2007.11.18 12:40:09 (*.49.202.83)

1.연식이 조금 됬다면 대부분 가이드 고무에서 오일이 먹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작업전에 우선 첨가제로 처방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작업전에 우선 첨가제로 처방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2007.11.18 16:38:59 (*.123.49.230)

인성님 // 헤드 개스킷은 작년에 교환한터라 새는건 아닌 것 같은데 인성님 말씀대로 엔진 오일과 부동액이 섞인것은 아닌지 의심이 드는군요. 그리고 외부 공기 유입 차단으로 테스트를 했는데도 냄새가 많이 났었는데 어제 부동액 교환 이후 냄새가 사라졌습니다. 히터쪽으로 부동액이 순환한다는 사실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풍완님 // 그런 방법이 있었군요. 다음번에는 그렇게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풍완님 // 그런 방법이 있었군요. 다음번에는 그렇게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07.11.19 02:58:35 (*.237.212.179)

헤드게스킷 문제일 가능성이 적다면 정말 다행입니다. 큰 작업이거든요. ^^ 그리고 일단 에어콘과 히터쪽 냄새는 강하게 팬을 틀고 환기를 하면 확실히 좋아지는 건 사실입니다. 부동액 냄새가 아니라면 단순 에어콘 곰팡이등의 냄새였을 수도 있습니다. 한번씩 엔진오일량 체크하시면서 냉각수가 섞여있거나 갑자기 소모가 되지는 않았는지, 주차장 바닥에 방금 샌 오일은 없는지 확인하시고, 냉각수 보조통에도 오일이 뜨지는 않는지 점검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히터 냄새의 경우는 외부공기 유입모드에서 한번씩 강하게 팬을 돌리고 창문을 다 열고 환기를 하면 확실히 좋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