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자주 들어와 글들을 읽곤하지만 흔적을 남기지 않는 유령회원입니다. 늘 해박한 자동차 지식을 가진 매니아 분들의 글과 덧글을 재미있게 보면서 저 또한 자동차 상식을 넓히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어 이렇게 질문란에 올립니다.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차는 기아 로체입니다. 2.7L V6고요.
뭐 차 자체가 스포츠세단은 아니건 알지만 그래도 가벼운 무게에 비해 엔진 또한 국내 버전보단 고배기량이라서 나름 재미있게 타고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타이어를 좀 더 고성능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원래 타이어 규격이 205/60/16입니다. 순정 TPMS(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새 휠에 이식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고 가족이 있어 인치업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코너에서 밀리는 느낌이 아쉽고 외관상 좀 더 광폭이었으면 하는 바램이 드네요.
그래서 다음에 타이어를 교환할때 한단계 광폭인 타이어를 쓰고 싶은데요. 여기서 고민이 됩니다.
염두해 두는 사이즈는 215/55/16과 225/55/16입니다.
215/55/16을 추천들 하시더군요. 하지만 타이어 직경이 아주 조금 줄어 들어 휠하우스가 휑해지고 최고속과 마일리지를 까먹지 않을까 걱정이됩니다. (사실 최고속으로 달릴일은 없습니다만 그래도 기분상 ^^)
다른 사이즈인 225/55/16은 순정 사이즈와 거의 일치합니다. 다만 걱정되는 점은 휠의 림폭입니다. 순정 휠의 림폭이 6.5J로 알고 있습니다. 타이어 전문점에 이싸이즈의 타이어를 보니 적정 휠 림폭이 6~8J 더군요. 하지만 6.5J로 225사이즈는 무리라는 분이 계셔서.. 또 타이어 월보다 휠이 너무 안으로 들어가 보기가 나쁠까요? 배꼽처럼....
어떤 싸이즈의 타이어가 좋은 선택일까요?
아니면 그냥 순정 사이즈의 타이어가 가장 나을까요? 밑에 글에 마스터님 말씀이 림폭이 늘어나지 않는한 성능의 개선은 없다고 하신것 같은데. 얻는 것은 없고 잃는 것만 생긴다면 그냥 순정이 낳겠지요. 최대한 순정으로 타서 기아가 주는 워런티를 최대한 이용할 생각이기에 휠이나 스프링 댐퍼등의 교환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어짜피 교체해야 하는 타이어 좀더 좋은 선택이 없을까하여 질문해 봅니다.
좋은 조언 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궁금한게 있어 이렇게 질문란에 올립니다.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차는 기아 로체입니다. 2.7L V6고요.
뭐 차 자체가 스포츠세단은 아니건 알지만 그래도 가벼운 무게에 비해 엔진 또한 국내 버전보단 고배기량이라서 나름 재미있게 타고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타이어를 좀 더 고성능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원래 타이어 규격이 205/60/16입니다. 순정 TPMS(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새 휠에 이식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고 가족이 있어 인치업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코너에서 밀리는 느낌이 아쉽고 외관상 좀 더 광폭이었으면 하는 바램이 드네요.
그래서 다음에 타이어를 교환할때 한단계 광폭인 타이어를 쓰고 싶은데요. 여기서 고민이 됩니다.
염두해 두는 사이즈는 215/55/16과 225/55/16입니다.
215/55/16을 추천들 하시더군요. 하지만 타이어 직경이 아주 조금 줄어 들어 휠하우스가 휑해지고 최고속과 마일리지를 까먹지 않을까 걱정이됩니다. (사실 최고속으로 달릴일은 없습니다만 그래도 기분상 ^^)
다른 사이즈인 225/55/16은 순정 사이즈와 거의 일치합니다. 다만 걱정되는 점은 휠의 림폭입니다. 순정 휠의 림폭이 6.5J로 알고 있습니다. 타이어 전문점에 이싸이즈의 타이어를 보니 적정 휠 림폭이 6~8J 더군요. 하지만 6.5J로 225사이즈는 무리라는 분이 계셔서.. 또 타이어 월보다 휠이 너무 안으로 들어가 보기가 나쁠까요? 배꼽처럼....
어떤 싸이즈의 타이어가 좋은 선택일까요?
아니면 그냥 순정 사이즈의 타이어가 가장 나을까요? 밑에 글에 마스터님 말씀이 림폭이 늘어나지 않는한 성능의 개선은 없다고 하신것 같은데. 얻는 것은 없고 잃는 것만 생긴다면 그냥 순정이 낳겠지요. 최대한 순정으로 타서 기아가 주는 워런티를 최대한 이용할 생각이기에 휠이나 스프링 댐퍼등의 교환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어짜피 교체해야 하는 타이어 좀더 좋은 선택이 없을까하여 질문해 봅니다.
좋은 조언 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2007.11.30 11:12:20 (*.178.101.34)

동감합니다... 토스카 205-60-16 을 ........ 215-55-16 으로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리스펀스가 올라가는것을 살짝씩 느끼고 있습니다.
6.5J 라면 225 는 애매모호합니다.. 면적이 커지다 보니 연비면은 떨어지겠구요...
저라면 215-55-16 으로 선택하겠습니다..^^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리스펀스가 올라가는것을 살짝씩 느끼고 있습니다.
6.5J 라면 225 는 애매모호합니다.. 면적이 커지다 보니 연비면은 떨어지겠구요...
저라면 215-55-16 으로 선택하겠습니다..^^
2007.11.30 11:36:40 (*.229.109.40)

2.7에 순정 205는 좀 언더스펙이로군요.
제 견해로는 225 싸이즈도 괜찮아 보입니다. 미국에 거주하신다면, 하드코어한 드라이빙 보다는 크루징위주의 릴렉스한 스포츠드라이빙에 한계가 한정될거고.. 접지면적이 늘어나면 연비에서 약간의 손해가 있겠지만 큰차이는 아닙니다.
림폭이 넓으면 좋겠지만, 초광폭이 아닌이상 두싸이즈정도는 무난하고.. 제동력이나 안정성 면에서 한결 개선될테니 얻는게 많아 보이네요. 림폭이 좁은편일 경우.. 트레드 중앙부위가 불룩하게 올라올 수 있는데, 편평비가 줄어드는 만큼 적당히 공기압을 조절해 타시면 문제없습니다.
제 견해로는 225 싸이즈도 괜찮아 보입니다. 미국에 거주하신다면, 하드코어한 드라이빙 보다는 크루징위주의 릴렉스한 스포츠드라이빙에 한계가 한정될거고.. 접지면적이 늘어나면 연비에서 약간의 손해가 있겠지만 큰차이는 아닙니다.
림폭이 넓으면 좋겠지만, 초광폭이 아닌이상 두싸이즈정도는 무난하고.. 제동력이나 안정성 면에서 한결 개선될테니 얻는게 많아 보이네요. 림폭이 좁은편일 경우.. 트레드 중앙부위가 불룩하게 올라올 수 있는데, 편평비가 줄어드는 만큼 적당히 공기압을 조절해 타시면 문제없습니다.
2007.11.30 11:51:53 (*.59.144.85)

TPMS 가 있는 모델은
에프터 마켓 휠의중에서 문제없이 사용할수있는 휠은.
VOLK 계열은
프로그래시브 ME/TE정도 고 나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만!
휠사이즈 땜에 한사이즈 더 넓히시는건 조금 비추천 하고 싶습니다.
에프터 마켓 휠의중에서 문제없이 사용할수있는 휠은.
VOLK 계열은
프로그래시브 ME/TE정도 고 나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만!
휠사이즈 땜에 한사이즈 더 넓히시는건 조금 비추천 하고 싶습니다.
2007.11.30 12:06:12 (*.32.116.176)
저도 사실 이익렬님의 말씀하신 이유들로 인해 225싸이즈에 더 맘이 갑니다. 기름값 부담이 크지 않아 연비는 큰 변수가 아니고 고속주행시의 안정감이나 브레이킹시의 제동력면에서 조금이나마 성능향상을 볼 수 있다면 충분하단 생각이 듭니다. 접지면적이 어느정도 늘어난다고 해도 엔진이 그래도 6기통 2.7L인지라 무리는 없을꺼라 생각하고 있고요. 215싸이즈는 계기판 속도계 오차나 휠하우스가 휑해질까 두려워 망설여 지네요. 황호선님과 박익현님의 말씀처럼 215싸이즈의 경우 리스펀스의 개선이 예상되지만 제게는 리스펀스의 개선보다는 고속주행시의 안정감이나 제동력 향상이 더 매력적이네요. 만약 제 차가 2.0L엔진이라면 여러 이유로 215싸이즈가 훌륭한 선택이지만 엔진이 2.7L라서 좀 더 고민스럽습니다. .
말씀들 감사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말씀들 감사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07.11.30 14:54:28 (*.235.33.189)
제 차도 205/60/16이었는데 지금은 215/55/16 끼고 댕깁니다.
일단 리스펀스나 나가는건 똑같구요,
좀더 안정감 있고 노면을 약간이나마 더 많이 탄다면 탄다고 보여집니다.
차종은 어코드구요...
일단 리스펀스나 나가는건 똑같구요,
좀더 안정감 있고 노면을 약간이나마 더 많이 탄다면 탄다고 보여집니다.
차종은 어코드구요...
2007.11.30 15:03:22 (*.178.101.34)

주행하시는 패턴이 고속이고 안정감과 제동력이라면 225-55-16 이 낫겠습니다..
6.5J 에 225 사이즈는 해보지 않아서 뭐라 할순 없겠지만..
6J 에 215-55-16 까지는 무리가 없다는 답변을 얻엇습니다.....
6.5J 에 225 사이즈는 해보지 않아서 뭐라 할순 없겠지만..
6J 에 215-55-16 까지는 무리가 없다는 답변을 얻엇습니다.....
2007.11.30 20:04:40 (*.77.130.119)

저라면 순정싸이즈 그대로인 상태에서 순정보단 접지력이 높은 타이어로 가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눈길 주행이 크게 없으신 지역이라면 Michelin Pilot Primacy를...
눈길 주행이 있으시다면...
Bridgestone Potenza G 009 또는 Yokohama AVID V4S로 가시면 순정보단 휠~나을실겁니다.
눈길 주행이 크게 없으신 지역이라면 Michelin Pilot Primacy를...
눈길 주행이 있으시다면...
Bridgestone Potenza G 009 또는 Yokohama AVID V4S로 가시면 순정보단 휠~나을실겁니다.
2007.11.30 20:23:40 (*.229.109.40)

효율성 면으론 재우님 말씀이 맞지만, 로체의 넓적한 차체와 듬직한 스타일엔 볼드한 앞뒷태(두툼한 타이어의 자세)를 무시할 수 없고, 트레드 2센치 정도 확대는 6.5J 림폭 휠에 문제될게 없지요. 국내 2.7 엘리사 노말 휠에도 225나 235 까지 장착한 차들을 꽤 보거든요.
45시리즈 이하의 초저 편평비에선 싸이드월의 면적이 좁고탄탄해 림폭이 큰 영향을 미치지만, 55시리즈 정도에선 사이드월의 신축성이 충분해서 타이트한 림폭이여도, 안전이나 퍼포먼스에 전혀 문제될게 없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순정써스펜션을 고수하실 계획이면 더더욱 애초에 원하셨던대로 225 로 가심이.. ^^
45시리즈 이하의 초저 편평비에선 싸이드월의 면적이 좁고탄탄해 림폭이 큰 영향을 미치지만, 55시리즈 정도에선 사이드월의 신축성이 충분해서 타이트한 림폭이여도, 안전이나 퍼포먼스에 전혀 문제될게 없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순정써스펜션을 고수하실 계획이면 더더욱 애초에 원하셨던대로 225 로 가심이.. ^^
2007.12.01 00:28:59 (*.133.99.181)

NF 2.4도 6.5인치 림폭에 225/50R17타이어를 씁니다. 225 타이어까지는 별 문제 없이 소화되니 225로 가셔도 될 듯 합니다.
2007.12.01 00:59:03 (*.32.116.176)
막연하게 예상되던 215와 225싸이즈의 특징이 좀더 명확히 잡힙니다. 6.5J의 림폭에 225싸이즈 타이어가 무리한 선택이 아니라면 주행시 안정감이나 제동력 그리고 조금은 나아질 뒷태를 위해서 225/55/16이 제게는 나은 선택이 될 듯 싶습니다. 좋은 조언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2007.12.02 12:44:32 (*.79.156.51)

아무래도 225 타이어의 성능을 바라시기엔 림폭이 약간 좁은 것이 아닐지......
그립이나 직선 브레이킹은 좋아져서 안정감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고속 주행시 조향 반응도 느리고, 정밀도도 떨어지며, 급격한 핸들링에 반 템포 느리고 과장되게 반응할 것 같습니다.
조향륜에 걸리는 하중이 클수록 더 영향을 줄 것이고요.
고속 주행시에는 전에 끼우던 타이어가 더 경쾌하다는 생각이 드실지도...
한 번 해보신다면 경험을 나눠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립이나 직선 브레이킹은 좋아져서 안정감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고속 주행시 조향 반응도 느리고, 정밀도도 떨어지며, 급격한 핸들링에 반 템포 느리고 과장되게 반응할 것 같습니다.
조향륜에 걸리는 하중이 클수록 더 영향을 줄 것이고요.
고속 주행시에는 전에 끼우던 타이어가 더 경쾌하다는 생각이 드실지도...
한 번 해보신다면 경험을 나눠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1.01.18 21:54:02 (*.176.10.230)
휠의 인치업이 안하시면 215/55/16이 이상적입니다.
동반경이 기준치내이기에 순발력과 접지력이 늘어납니다. 휠교환이 없기에 비용도 절감되구요.
215/55/16사이즈의 좋은 타이어를 장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순정휠의 좁은 림폭엔 225는 비추입니다.
걱정하시는 최고속은 더 올라갈겁니다. 종감속의 효과가 있어서 가속도 빨라지고, 차가 가벼워진 느낌을 주며, 최고단에서의 속도도 올라갑니다. 일반적인 세단은 기어비가 가속보다는 연비에 초점이 맞춰져있기에, 타이어 지름이 작아지는 것에 민감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