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미국에서 2년반 거주하고, 이제 1월 초에 한국에 들어갑니다.
2대의 차를 모두 가져가려고 계획중에 모르는 것이 많고,
인터넷이나 공공기관에 문의해도 이렇다할 답변이 없어 테드에 문의드립니다. ^^;
2번째의 차는 일단 이삿짐으로 분류가 안되어,
차량에 대해 잔존가 계산기준은 KBB 를 준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일반중고차수입에 준함)
1. 어디서 인증을 하는지요? (관세사도 잘 모르고, 관세청에 다 있다고만 합니다..ㅡ.ㅡ;)
(1) 공인감정기관에서 현품을 보고 감정? <--어디서 하는지요?
(2) 기존에 한국에 수입된 적 있는 2.4L 캠리가격을 수입업자의 수입신고가 기준으로 계산,
-> 세관현장에서 현장인력의 재량에 의해 감정?
2. 한국에 가지고 들어가면, 2번째 차는 어차피 팔 생각이 없고, 장인어른 드릴 차라서,
드리면 폐차할때까지 타실 생각이라, 과세가격을 많이 낮추고 싶습니다.
오늘 Carmax 에서 감정해보니, KBB 보다 훨씬 낮게 나왔습니다.
실제구입가는 증빙서류가 있으나, 현재가격에대한 감정가는
일반적인 구입가에서 감가상각한 현재가격보다 많이 낮게 나올거 같습니다.
이를 입증할 자료를 미국에서 준비해가려고 하는데요.
Carmax 정도이면, 객관적인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까요?
( 또 이를 인정받을 수 있나요? 단순참고자료로만 삼는다고도 들었습니다..)
3. 어차피, 중고차가 이삿짐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개인사업자 등록을 해서 중고차수입업자로 들여오는 것이 혜택이 있다고 합니다만...매입세액공제 혜택이라는 것이 실제로 얼마의 금액인가요? (과세가격에서..부가가치세만 환급받는것인가요? 환급이 아니고 부가가치세에서 몇 퍼센트를 공제받나요?)
=> 수입검사및등록등의 대행과 관련하여 대행업자에게 의뢰하는 경우,
최초 기술검토신청부터 소음및진동등의 시험의뢰등 차량등록까지
모든 절차를 대행해주는 조건(시험관련인지세포함)으로 300만원에서 450만원정도....
받는다고 합니다만..
제가 계산해보니, 어차피 세금빼고, 이하의 관련사항은 제가 서류를 다 준비해야 하므로,
얼마 안들 것 같습니다.. 어느수준까지 대행해주는 지 궁금합니다.
4. 자기인증비용은 얼마나 드는지요?
배출가스/소음 => 59.x/ 10.x => 70만원정도인데,
자기인증은 뚜렷이 얼마든다고 안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전화해봐도 031-369-0364~5 전화를 안받습니다.
이전에 해보신 분은 얼마정도 드셨는지요?
그럼, 아시는 분이나, 먼저 경험해보신 선배님께서 조언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미국에서 2년반 거주하고, 이제 1월 초에 한국에 들어갑니다.
2대의 차를 모두 가져가려고 계획중에 모르는 것이 많고,
인터넷이나 공공기관에 문의해도 이렇다할 답변이 없어 테드에 문의드립니다. ^^;
2번째의 차는 일단 이삿짐으로 분류가 안되어,
차량에 대해 잔존가 계산기준은 KBB 를 준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일반중고차수입에 준함)
1. 어디서 인증을 하는지요? (관세사도 잘 모르고, 관세청에 다 있다고만 합니다..ㅡ.ㅡ;)
(1) 공인감정기관에서 현품을 보고 감정? <--어디서 하는지요?
(2) 기존에 한국에 수입된 적 있는 2.4L 캠리가격을 수입업자의 수입신고가 기준으로 계산,
-> 세관현장에서 현장인력의 재량에 의해 감정?
2. 한국에 가지고 들어가면, 2번째 차는 어차피 팔 생각이 없고, 장인어른 드릴 차라서,
드리면 폐차할때까지 타실 생각이라, 과세가격을 많이 낮추고 싶습니다.
오늘 Carmax 에서 감정해보니, KBB 보다 훨씬 낮게 나왔습니다.
실제구입가는 증빙서류가 있으나, 현재가격에대한 감정가는
일반적인 구입가에서 감가상각한 현재가격보다 많이 낮게 나올거 같습니다.
이를 입증할 자료를 미국에서 준비해가려고 하는데요.
Carmax 정도이면, 객관적인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까요?
( 또 이를 인정받을 수 있나요? 단순참고자료로만 삼는다고도 들었습니다..)
3. 어차피, 중고차가 이삿짐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개인사업자 등록을 해서 중고차수입업자로 들여오는 것이 혜택이 있다고 합니다만...매입세액공제 혜택이라는 것이 실제로 얼마의 금액인가요? (과세가격에서..부가가치세만 환급받는것인가요? 환급이 아니고 부가가치세에서 몇 퍼센트를 공제받나요?)
=> 수입검사및등록등의 대행과 관련하여 대행업자에게 의뢰하는 경우,
최초 기술검토신청부터 소음및진동등의 시험의뢰등 차량등록까지
모든 절차를 대행해주는 조건(시험관련인지세포함)으로 300만원에서 450만원정도....
받는다고 합니다만..
제가 계산해보니, 어차피 세금빼고, 이하의 관련사항은 제가 서류를 다 준비해야 하므로,
얼마 안들 것 같습니다.. 어느수준까지 대행해주는 지 궁금합니다.
4. 자기인증비용은 얼마나 드는지요?
배출가스/소음 => 59.x/ 10.x => 70만원정도인데,
자기인증은 뚜렷이 얼마든다고 안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전화해봐도 031-369-0364~5 전화를 안받습니다.
이전에 해보신 분은 얼마정도 드셨는지요?
그럼, 아시는 분이나, 먼저 경험해보신 선배님께서 조언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07.12.04 17:38:16 (*.254.195.110)
1.차량 최초등록일에 따라 연식별로 % 계산됩니다. 기준은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수입업체들의 평균 신고가격입니다.
2. CARMAX 그 수준에서 애교 정도로 조금 정도는 이해해줍니다.
3. 매입세액에 해택은 없다고 보시면됩니다
개인 사업자로 등록하시고 반입하시려면 소규모 완성차 업체 등록을하셔야합니다
가물 가물하긴한데 등록하고 뭐하고 약 40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4. 인증비용은 기본인지대가 3가지 시험을 다 보았을경우 약 150만원 정도들어갑니다.
법규에 문제가 없는 차량이라하더라도 국내규제에 맞추어 여러가지를 손보아야할
상황도 생깁니다.
보통 통관에서 부터 인증까지 보통 300~500 정도의 수수료를 받고있습니다.
전부 직접하신다면 업체 명의를 이용하고 어느 정도의 수수료 100~150 정도면
가능할듯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시험 신청하시면 2달 이상 소요되십니다 -_-;
사업자 내시고 뭐하시고하시면 약 3달 이상 소요되실듯합니다.
수입업체들의 평균 신고가격입니다.
2. CARMAX 그 수준에서 애교 정도로 조금 정도는 이해해줍니다.
3. 매입세액에 해택은 없다고 보시면됩니다
개인 사업자로 등록하시고 반입하시려면 소규모 완성차 업체 등록을하셔야합니다
가물 가물하긴한데 등록하고 뭐하고 약 40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4. 인증비용은 기본인지대가 3가지 시험을 다 보았을경우 약 150만원 정도들어갑니다.
법규에 문제가 없는 차량이라하더라도 국내규제에 맞추어 여러가지를 손보아야할
상황도 생깁니다.
보통 통관에서 부터 인증까지 보통 300~500 정도의 수수료를 받고있습니다.
전부 직접하신다면 업체 명의를 이용하고 어느 정도의 수수료 100~150 정도면
가능할듯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시험 신청하시면 2달 이상 소요되십니다 -_-;
사업자 내시고 뭐하시고하시면 약 3달 이상 소요되실듯합니다.
2007.12.04 20:11:00 (*.152.216.87)

1.인증은 화성이 아니라 두군데에서 갈려서 합니다.
우선 소음과 환경은 인천서구 경서동입니다. 그리고 안전검사등의 인증이 화성입니다.
비용은 이 두가지 인증 다합쳐서 스스로 하시면 140정도 듭니다만 맡기시면 400입니다.
개인으로 수입 무!조!건! 가능합니다. 제가 이번에 crossfire SRT-6 conv.수입해서 지금 타고다닙니다. 물론 인증도 제손으로 다 받았습니다-.-; 힘들기는 했고, 아직 미비된 인증내역이 하나 있지만 뿌듯하고 차가 정말 제차 같다는 느낌이 드는군요...
우선 소음과 환경은 인천서구 경서동입니다. 그리고 안전검사등의 인증이 화성입니다.
비용은 이 두가지 인증 다합쳐서 스스로 하시면 140정도 듭니다만 맡기시면 400입니다.
개인으로 수입 무!조!건! 가능합니다. 제가 이번에 crossfire SRT-6 conv.수입해서 지금 타고다닙니다. 물론 인증도 제손으로 다 받았습니다-.-; 힘들기는 했고, 아직 미비된 인증내역이 하나 있지만 뿌듯하고 차가 정말 제차 같다는 느낌이 드는군요...
2007.12.05 14:12:44 (*.78.45.116)

저도 그냥 개인 이름으로 수입했어요.. 세금의 기준은 아무리 따져봐도 KBB good 컨디션 정도 잡으시면 얼추 비슷하게 떨어지더군요.. 미국에서의 계약서나.. 등등 서류는 일체 참고 대상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아니면 보험사들의 심각한 사고에 관련된 서류가 있다면 몰라도.. 대게는 인정해 줄수 없다고 하더라구요..
세금, 인증비 등등 따진다면 결코 가지고 오는것이 한국내에서 중고로 구입하는것 보다 싸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다만.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차종이거나.. 한국에서 중고 구입시 사고 차량에 대한 검토 등이 어렵다거나 하지 않는 이상 직접 가지고 오시는것은 금액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큰 이득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인증을 직접 하신다면 어느정도 이득은 발생하겠으나. 그것도 미미할 것으로 판단 됩니다. ..
세금, 인증비 등등 따진다면 결코 가지고 오는것이 한국내에서 중고로 구입하는것 보다 싸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다만.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차종이거나.. 한국에서 중고 구입시 사고 차량에 대한 검토 등이 어렵다거나 하지 않는 이상 직접 가지고 오시는것은 금액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큰 이득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인증을 직접 하신다면 어느정도 이득은 발생하겠으나. 그것도 미미할 것으로 판단 됩니다. ..
2007.12.05 19:09:48 (*.199.36.80)

윤중님, 스스로 다하면 검사비용만 200 가까이 아니던가요? 이제 기억도 잘 안나긴 합니다만... ^^ 소음과 배기가 100 정도, 기술검토와 안전검사가 100 가까이...라고 기억됩니다.
그 외 제 경우 소음에 두번 떨어져서 재시험 비용, 소음 감소 작업비용, 화성까지 기름값과 고속도로 통행료, 과태료를 포함하면 350 이상 들었습니다.
한 두번씩 떨어지면 과태료도 만만치 않습니다. 과태료만 81만원인가 냈습니다.
물론 수도권에 사신다면 기름값과 고속도로 통행료는 적게 들겠지만 저는 대구에서 올라갔다 내려왔다 하니 그 비용도 50만원 넘게 들었습니다. 그걸 빼면 300정도?
그 외 제 경우 소음에 두번 떨어져서 재시험 비용, 소음 감소 작업비용, 화성까지 기름값과 고속도로 통행료, 과태료를 포함하면 350 이상 들었습니다.
한 두번씩 떨어지면 과태료도 만만치 않습니다. 과태료만 81만원인가 냈습니다.
물론 수도권에 사신다면 기름값과 고속도로 통행료는 적게 들겠지만 저는 대구에서 올라갔다 내려왔다 하니 그 비용도 50만원 넘게 들었습니다. 그걸 빼면 300정도?
2007.12.10 03:00:04 (*.91.231.51)

답변 정말감사합니다.
정은 많이 들었지만, 그렇게 특이한 차종도 아닌데...
휴...쉽지 않은 과정이군요. 다시한번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정은 많이 들었지만, 그렇게 특이한 차종도 아닌데...
휴...쉽지 않은 과정이군요. 다시한번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1. 인증은 성능시험연구소(화성)에서 합니다. 미리 접수하셔야 하고요..
2. 과세기준은 어디까지나 kbb 기준입니다. 과세를 낮추는 현실적인 방법은 별로 없습니다. kbb 기준과 실제 구매액에 상당한 차이가 난다는 것을 입증할 자료를 제출하면 세관원이 감안해줍니다.
3. 질문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알기론 언제부턴가 자가인증제로 바뀌면서 개인이름으로 수입이 불가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만(틀렸다면 지적해주세요...) . 그러므로 법인 이름을 빌려서 가져와야 할 것 같습니다..
4. 인증비는 기본 인지대가 (형식승인 포함하여) 120~30 정도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2001년도 기억이라서... 죄송합니다..) 또 일반 수입인 관계로 신형 차량이라면 크게 걱정없습니다만, 설계일이 오래된 차량이라면 상당히 손을 보고 대비해서 들어가야합니다. 떨어지면 인증비 또 들어갑니다...
저도 이삿짐으로 차를 가져왔고, 옛날에는 일본에서 수입도 했습니다만.... 현재 국내 가격들을 볼때 1) 정말 정이 든 차다... 2) 현지에서 무지 싸게 샀다 3) 한국엔 절대 없는 차다... 이런 이유가 아니면 별로 메리트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한동안 해외반입차량이 줄어 성능시험연구소가 널럴했지만, 최근에 다시 북적거립니다. 모 sk 그룹 덕분에... 따라서 인증통과까지도 꽤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