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요즘 이륜차 관련 질문이 많이 죄송합니다 ^^;;;;
제가 오토바이 타면서 내리막길에서 관성주행을 하게되면 즉. 왼손 레버를 꾹 잡아서 클러치를 뗀 상태로 흘려내려 가는거죠.
나쁜 습관이라고는 하지만, 요즘 기름값이 넘 올라서 - -./....
겨울이 된 후로 이렇게 내리막 타성 주행을 하다보면...
시동이 꺼질 때가 있습니다. - -;;;; 이거, 꺼지는거 정상인가요? 아님 어디를 살펴보고 손봐야하는 건지요??
제가 오토바이 타면서 내리막길에서 관성주행을 하게되면 즉. 왼손 레버를 꾹 잡아서 클러치를 뗀 상태로 흘려내려 가는거죠.
나쁜 습관이라고는 하지만, 요즘 기름값이 넘 올라서 - -./....
겨울이 된 후로 이렇게 내리막 타성 주행을 하다보면...
시동이 꺼질 때가 있습니다. - -;;;; 이거, 꺼지는거 정상인가요? 아님 어디를 살펴보고 손봐야하는 건지요??
2007.12.12 23:15:26 (*.99.144.184)

자동차도 그렇지만... 중립상태로 관성주행이 차 및 연비에 좋은게 아니라... 기어는 연결된 상태로 악셀을 OFF 한 상태가 연비도 좋고 차의 상태에도 좋습니다. 제 차에달려있는 파워FC 커맨더를 유심히 보면서 확인해본 결과 RPM이 좀 높은상태 에서라도 악셀이 OFF되어 있는 상태가 연료분사량이 훨씬 줄어듭니다. 즉, 연비모드가 되는거죠. 고속도로 주행시에 5단으로 놓고 악셀 안밟고 계속 주행할 수 있으면(가속 후 일정거리를 주행... 혹은 ㄴ리막) 기름이 엄청 덜먹죠... 중립으로 놓고 같은 주행을 하면 기름을 훨씬 많이 먹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하튼, 그것과 중립주행시에 시동꺼지는 것은 공연비가 안맞아서 그런거 같습니다. 아이들시의 보정되는 연료/공기 등등의 양이 주행중에 아이들 상태가 되면 공기가 훨씬 많아지니... 아이들시의 연료양이나 공기양, rpm수치 등을 조절하시면 될 것입니다. 근데 비추입니다. ^^
2007.12.13 00:08:18 (*.147.2.249)

캬브방식이라면...에어조정을 해줘야 할것 같은데요. 그리고 김무광님 말씀처럼 중립이 오히려 기름 더 먹습니다. 아이들도 조금 낮은게 아닐까 싶고요. 전체적으로 캬브 오버홀 한번 하셔야 할듯합니다.
2007.12.13 09:24:17 (*.87.60.117)

캬브방식은 FBC방식 제외하고는, 전자제어가 없기에, 관성주행시 중립인게 연비를 절약할수도 있습니다. 캬브방식은 액셀오프시에도 진공때문에 연료가 딸려가기에, 액셀오프하면 팝콘튀기는 소리가 유독 심하죠.
어쨌거나, 전에 질문을 봤을때도 그렇고... 에어조정과 오버홀이 필요합니다.
문제수준을 진단해보시려면, 액셀을 당겼다가, 엔진이 반응해서 회전수가 올라가기 전에 닫고, 바로 당기고, 닫고... 수십번 계속 반복을 해도 시동이 꺼지거나 부조음이 없어야합니다.
어쨌거나, 전에 질문을 봤을때도 그렇고... 에어조정과 오버홀이 필요합니다.
문제수준을 진단해보시려면, 액셀을 당겼다가, 엔진이 반응해서 회전수가 올라가기 전에 닫고, 바로 당기고, 닫고... 수십번 계속 반복을 해도 시동이 꺼지거나 부조음이 없어야합니다.
2007.12.13 15:38:24 (*.54.170.32)
무광님 글 보고 질문 드립니다.
5단에서 페달을 밟지 않으면 연료량이 줄어 든다고 하셨는데요.
그래도 속도가 붙어 있는 상태면 rpm이 어느 정도 있으니까 연료가 더 들어가지 않을까요?
예를들어 3천이었다면 아이들 800보다 대충 4배정도의 회전이고
그러면 연료를 4배정도 희박하게 쏘지 않는 이상 연료를 덜 먹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에... 그리고 내리막 후 평지라면 엔진 브레이크로 인한 손실된 속도를 올리기 위해 또 연료를 써야 할 것 같고요.
집에서 쓰는 스포티지 수동을 운전할 때 좋은 취미는 아닌 것을 알면서도 종종 쓰는 방법입니다만 별 차이 없다면 그냥 가야겠습니다. 연료비 스트레스가 상당하다보니 예전에는 안하던 짓을 자주 하게 되더라고요 ^^;
종연님의 경우는 제 생각으로 에어필터와 카브의 청소로 해결을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국산 125라면 대부분이 부압식이 아닌 니들을 직접 움직이는 방식이라 청소 자체는 그리큰 어려움은 없습니다만 셋팅은 전문가에게 맞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아이들이 너무 낮다면 아이들 조정 스크류를 돌려주시면 되겠고요.
5단에서 페달을 밟지 않으면 연료량이 줄어 든다고 하셨는데요.
그래도 속도가 붙어 있는 상태면 rpm이 어느 정도 있으니까 연료가 더 들어가지 않을까요?
예를들어 3천이었다면 아이들 800보다 대충 4배정도의 회전이고
그러면 연료를 4배정도 희박하게 쏘지 않는 이상 연료를 덜 먹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에... 그리고 내리막 후 평지라면 엔진 브레이크로 인한 손실된 속도를 올리기 위해 또 연료를 써야 할 것 같고요.
집에서 쓰는 스포티지 수동을 운전할 때 좋은 취미는 아닌 것을 알면서도 종종 쓰는 방법입니다만 별 차이 없다면 그냥 가야겠습니다. 연료비 스트레스가 상당하다보니 예전에는 안하던 짓을 자주 하게 되더라고요 ^^;
종연님의 경우는 제 생각으로 에어필터와 카브의 청소로 해결을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국산 125라면 대부분이 부압식이 아닌 니들을 직접 움직이는 방식이라 청소 자체는 그리큰 어려움은 없습니다만 셋팅은 전문가에게 맞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아이들이 너무 낮다면 아이들 조정 스크류를 돌려주시면 되겠고요.
2007.12.13 21:16:54 (*.34.101.144)
캬브방식은 모르겠지만, 영웅님께서 말씀하신 스포티지수동에서 기어 중립은 기름을 더 먹어라!라는 조작법입니다.
레드존을 넘어갈때말고도, Idle RPM을 유지하기위해서 연료를 차단/분사하는 시점이 있습니다. 내리막주행시 기어를 넣어서 RPM을 '관성'으로 올리면 저RPM연료차단시점을 넘기때문에 연료를 분사하지않습니다. 그렇지만 기어를 중립으로 하면 엔진은 Idle을 유지하게 되고, 시동을 꺼지지않게 하기위해서 연료를 분사하는 상태가 됩니다.
즉, 내리막에서는 엑셀을 밟지않고 기어를 넣어서 RPM을 유지하는것이 연료 절약 방법입니다. 내리막 끝나고 평지요? 그냥 평상시대로 엑셀 밟으면 되죠..
레드존을 넘어갈때말고도, Idle RPM을 유지하기위해서 연료를 차단/분사하는 시점이 있습니다. 내리막주행시 기어를 넣어서 RPM을 '관성'으로 올리면 저RPM연료차단시점을 넘기때문에 연료를 분사하지않습니다. 그렇지만 기어를 중립으로 하면 엔진은 Idle을 유지하게 되고, 시동을 꺼지지않게 하기위해서 연료를 분사하는 상태가 됩니다.
즉, 내리막에서는 엑셀을 밟지않고 기어를 넣어서 RPM을 유지하는것이 연료 절약 방법입니다. 내리막 끝나고 평지요? 그냥 평상시대로 엑셀 밟으면 되죠..
2007.12.14 11:46:50 (*.110.99.25)

에....이건...뭐... 정확한 데이터가 있는게 아니고.. 경험치에 의존한 것이기에 뭐라 단정지을 수는 없겠습니다만....
평지의 경우 기어가 들어간 상태로 항속 주행하는게 연비가 더 좋긴 하지만...
내리막의 경우 중립이 연비면에서는 유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아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가 분사되긴 하지만 그 양이 매우 적기에 엔진브레이크로 인한 비교적 빠른 감속 으로 다시 스로틀을 열어서 분사되는 연료 량을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는다고 생각합니다.
한 예로 경부고속도로 판교->양재 방향 달래내 고개 정상에서 160km/h로 마크했을 때 내리막을 내려가 100km/h로 떨어질 때 까지 중립으로는 1km이상 활주가 가능하더군요..ㅡㅡ
평지의 경우 기어가 들어간 상태로 항속 주행하는게 연비가 더 좋긴 하지만...
내리막의 경우 중립이 연비면에서는 유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아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가 분사되긴 하지만 그 양이 매우 적기에 엔진브레이크로 인한 비교적 빠른 감속 으로 다시 스로틀을 열어서 분사되는 연료 량을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는다고 생각합니다.
한 예로 경부고속도로 판교->양재 방향 달래내 고개 정상에서 160km/h로 마크했을 때 내리막을 내려가 100km/h로 떨어질 때 까지 중립으로는 1km이상 활주가 가능하더군요..ㅡㅡ
2007.12.14 14:51:50 (*.133.99.16)

황호선님 리플대로 오토바이같은 FBC가 아닌 구형 카브레터 방식이나 오래된 차들(포니 등)은 중립으로 내려가는 것이 기름을 덜 먹습니다. 그래서 나이드신 분들이 그런 습관으로 중립으로 내리막 내려가는 버릇이 있는 것이죠.
2007.12.19 16:19:17 (*.47.130.115)

(늦었지만 ^^;;; ) 많은 답변과 조언 감사드립니다.
역시 유익하고 평생 보탬이 되는 내용으로 가득하네요. ^^;;;
역시 유익하고 평생 보탬이 되는 내용으로 가득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