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옆 배너 샾에서 갤러리란을 재미있게 구경하다가 과급에 덴소 이리듐플러그를 쓰면 안된다는 말이 있어서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덴소의 이리듐프러그를 쓰면 안되는 것인지, 어느 회사 제품이든 과급에는 이리듐플러그 자체를 쓰면 안되는 것인지, 과급이라면 터보뿐 아니라 수퍼차저도 포함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 차가 순정 수퍼차저 엔진인데 튜닝용으로 NGK 이리듐 플러그를 파는 곳이 있던데, 쓰면 안된다는 것인지요?
덴소의 이리듐프러그를 쓰면 안되는 것인지, 어느 회사 제품이든 과급에는 이리듐플러그 자체를 쓰면 안되는 것인지, 과급이라면 터보뿐 아니라 수퍼차저도 포함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 차가 순정 수퍼차저 엔진인데 튜닝용으로 NGK 이리듐 플러그를 파는 곳이 있던데, 쓰면 안된다는 것인지요?
2007.12.27 15:57:50 (*.100.186.136)

덴소제품은 좀 높은점화력으로 인한 피스톤헤드표면에 강한 흔적을 남기는 경우가 있는데... 그로 인한 피스톤에 펑크가 나서 애먹은 차량이 좀 있지요..... 아무래도 메이커나 엔진타입에 따라서 좀 가리는 특징이 있는것 같네요..... 일례로 100cc급 스쿠터엔진용으로 나온 이리듐플러그때문에 출력면에서는 좋은나 내구성 만큼은.....플러그보다 피스톤헤드가 먼저갑니다.....~~~
2007.12.28 02:00:54 (*.81.158.115)

Denso플러그는 점화케이블이 꽂히는 커넥터 부분이 풀려
파워가 나오는 시점에서 자주 찐빠가 나고 점화애러율이 매우 높습니다.
국내 유수의 유명 과급차량 전문튜닝샵이라면 플러그를 확인한 후
Denso라면 NGK(HKS,Greddy,Blitz,A'pexi외...OEM)계열로 바꾸고
셋팅을 시작하기도 하지요.
언젠가 일본 OPTION지에도 플라이어로 단단히 조이고 쓰라는 기사도 봤지만
이래저래 귀찮아서 쓰진 않습니다.
Denso OEM이었던 HKS플러그도 이런이유로 NGK OEM으로 바뀌었습니다.
Denso가 아닌 열가만 맞다면 유명브랜드의 플러그는 신뢰할만 하고
플러그를 교채하기 힘든 구조의 차량엔 백금플러그추천드리구요,,,
특히 일본차량을 타시는 JDM 매니아들은 참고바랍니다.
엉뚱한부분 고치는걸 많이 봐서요..
파워가 나오는 시점에서 자주 찐빠가 나고 점화애러율이 매우 높습니다.
국내 유수의 유명 과급차량 전문튜닝샵이라면 플러그를 확인한 후
Denso라면 NGK(HKS,Greddy,Blitz,A'pexi외...OEM)계열로 바꾸고
셋팅을 시작하기도 하지요.
언젠가 일본 OPTION지에도 플라이어로 단단히 조이고 쓰라는 기사도 봤지만
이래저래 귀찮아서 쓰진 않습니다.
Denso OEM이었던 HKS플러그도 이런이유로 NGK OEM으로 바뀌었습니다.
Denso가 아닌 열가만 맞다면 유명브랜드의 플러그는 신뢰할만 하고
플러그를 교채하기 힘든 구조의 차량엔 백금플러그추천드리구요,,,
특히 일본차량을 타시는 JDM 매니아들은 참고바랍니다.
엉뚱한부분 고치는걸 많이 봐서요..
2007.12.28 09:02:51 (*.80.101.10)

과급차량은 아니지만 최근에 출력이 엔진회전도 좀 거칠고 출력도 조금 떨어진 느낌이 들어서 확인해보니 2번실린더에 약간 전기문제가 있어 플러그 배선을 순정품으로 교체했습니다. 기존 플러그가 덴소 이리듐이었는데 각 실린더마다 연소상태는 문제가 없었기에 케이블을 의심했었는데 대일님 리플을 보니까 이유를 알겠군요. 으~ 아까운 플러그 ㅠ.ㅠ
2007.12.28 13:47:55 (*.223.107.181)

그런 문제도 발생할 수 있나 보군요. 중요한 정보네요. 다만 최근 엔진들은 이그니션 코일을 기통별로 헤드커버에 고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정문제는 크게 문제될게 없을듯 합니다. HD의 감마도 이 타입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