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어떤거 쓰시나요?
대략 알아보니 도로공사 영업소 판매제품은 전원 시가잭이 있는대신
가격이 조금 저렴한 편이고,
다른 제품들은 건전지를 넣는대신 가격이 조금 비싸더군요.
조금 비싸더라도 깔끔한 라인을 위해 그냥 건전지 방식을 구입하려고는 하나,
요건 또 다른 불편함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체크가 안되어서 불편했단 글도 본 적있고 해서..
좋은제품 있으면 추천좀 해주세요^^
대략 알아보니 도로공사 영업소 판매제품은 전원 시가잭이 있는대신
가격이 조금 저렴한 편이고,
다른 제품들은 건전지를 넣는대신 가격이 조금 비싸더군요.
조금 비싸더라도 깔끔한 라인을 위해 그냥 건전지 방식을 구입하려고는 하나,
요건 또 다른 불편함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체크가 안되어서 불편했단 글도 본 적있고 해서..
좋은제품 있으면 추천좀 해주세요^^
2008.01.02 14:00:30 (*.197.35.102)

아 그렇군요^^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현재 네비는 없고, GPS 만 사용중인데요, 요건 이미 선 처리를 마쳤지만, 하나 더 꽂을라면 선처리를 어찌해야할까요? ACC라인쪽에 물리자니 제 손으로는 안되겠고, 3구 짜리 달기는 싫고.. 고민을 하다가 그냥 건전지 방식을 사용할까 했었습니다.
현재 네비는 없고, GPS 만 사용중인데요, 요건 이미 선 처리를 마쳤지만, 하나 더 꽂을라면 선처리를 어찌해야할까요? ACC라인쪽에 물리자니 제 손으로는 안되겠고, 3구 짜리 달기는 싫고.. 고민을 하다가 그냥 건전지 방식을 사용할까 했었습니다.
2008.01.02 14:03:41 (*.240.144.220)

저는 손재주가 없어서 선을 뺄 자신이 없기 때문에 시가짹에서 뽑아 썼습니다.(전원이 2군데에서 나오는 차라...) 둔감한 체질이라 선 나오는 건 별로 신경 안 쓰거든요.
그러나 애마의 실내가 치렁치렁한 걸 못 보시는 분이라면 음... 봐보몰 같은 데 가면 대쉬보드로 전원 뽑는 kit이 있지 않을까요?
그러나 애마의 실내가 치렁치렁한 걸 못 보시는 분이라면 음... 봐보몰 같은 데 가면 대쉬보드로 전원 뽑는 kit이 있지 않을까요?
2008.01.02 15:51:34 (*.250.113.207)
휴즈박스로 연결하세요. 선안보이게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고 깔끔합니다.
도로공사서 파는 하이패스 구매 시 휴즈박스로 연결되는 전원선 달라고하시면 됩니다.
도로공사서 파는 하이패스 구매 시 휴즈박스로 연결되는 전원선 달라고하시면 됩니다.
2008.01.02 16:08:38 (*.137.131.79)

저는 도로공사에서 파는 하이온 씁니다. 액정없고 말소리로 알려주는데 별로 불편한거 못 느낍니다. 다만 선이 약간 보기 싫은데 업무용차에 쓰는거기 신경 껐습니다.ㅋㅋ
2008.01.02 16:20:02 (*.224.252.120)

건전지 넣는 제품쓰는데 매일출퇴근하면서 쓰면서 문제없고 외관상으로도 깔끔하니 좋네요. 밑의 링크 참고하세요.
http://www.yijoo.net/bbs/zboard.php?id=trial&page=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98
http://www.yijoo.net/bbs/zboard.php?id=trial&page=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98
2008.01.02 16:51:03 (*.46.117.69)

서울이동통신에서 판매하던 액정+소리+GPS 씁니다.
비싼거 말곤 불편한점 없습니다. 차에 손대기 싫어서 전원은 시거잭 전원 씁니다.
한참 썼는데 오류난적은 없습니다. 편해요 ^^
비싼거 말곤 불편한점 없습니다. 차에 손대기 싫어서 전원은 시거잭 전원 씁니다.
한참 썼는데 오류난적은 없습니다. 편해요 ^^
2008.01.02 18:41:34 (*.53.40.151)

건전지로 사용하는 제품은 소모전류를 확인해 보시고 사시면 좋을 듯 합니다.
소모전류가 낮으면 더더욱 오래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니까요.
소모전류가 낮으면 더더욱 오래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니까요.
2008.01.03 01:11:49 (*.212.116.77)
저는 초기에 5만원 보증금 내면 사용하는 건전지형 사용중입니다... 중간에 인식불량으로 기기 교체 받았었구요.. 이상 없이 잘 사용중입니다..
밧데리 1년 넘게 사용중이구요... 연결하는 선이 없어서 편합니다.. 지저분해보이지도 않구요..
밧데리 1년 넘게 사용중이구요... 연결하는 선이 없어서 편합니다.. 지저분해보이지도 않구요..
2008.01.03 09:55:06 (*.87.60.117)

저도 용재님이 쓰시는 방식의 건전지형 3년째 배터리교환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통행이 적다보니 오래가는듯하구요...
통행이 적으니 평상시 글러브박스에 넣어두다가... 하이패스 통과시에만 꺼내서 오른손으로 들고 통과하니 평상시 글래스가 깨끗하죠.
고속도로 통행이 적다보니 오래가는듯하구요...
통행이 적으니 평상시 글러브박스에 넣어두다가... 하이패스 통과시에만 꺼내서 오른손으로 들고 통과하니 평상시 글래스가 깨끗하죠.
2008.01.03 12:01:06 (*.197.35.102)

ㅎㅎ 손으로 들고 지나가는 방법도 있군요. '반자동' 이나 '미들패스'정도 되겠습니다.
저는 이제 매일 통과해야해서 장착할 예정이랍니다^^
저는 이제 매일 통과해야해서 장착할 예정이랍니다^^
2008.01.03 12:41:25 (*.52.80.86)
저도 5만원 보증금내고 사용하는 건전지 형인데. 1년은 훨씬 더갑니다.
한 3년정도 된거 같은데, 전지갈아달라고 비명을 지르고 있지만 아직도 작동은 잘되고 있습니다. 문젠 여름만 되면 유리와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서 다시 붙여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접착면이 너무 작거나, 접착테이프가 영 시원치 않나 보네요
한 3년정도 된거 같은데, 전지갈아달라고 비명을 지르고 있지만 아직도 작동은 잘되고 있습니다. 문젠 여름만 되면 유리와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서 다시 붙여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접착면이 너무 작거나, 접착테이프가 영 시원치 않나 보네요
- 적외선 방식은 초기 개발된 제품인데 아무래도 성능은 나중 개발된 RF식이 낫다고들 합니다. 제품 품질을 떠나, 서울통신기술이 사세를 확장시키고 있다고 하네요. 대중적인 게 무난하겠지요.
- 저는 하이게인 제품을 쓰는데 시가짹 방식입니다.
- 전원은 초기 방식이 건전지 방식인데, 9V 한 개를 넣고 1년을 씁니다. 나중에 삼성 SDI에서 나올 제품은 2년 간다고 합니다(적외선)
- 그러나 1년이건 2년이건 긴 시간은 아니며, 갈아주는 게 귀찮으실 듯 합니다. 그리고 한 번 인식오류가 나면 센터에 신고해서 '오류가 났소' 신고해야 하는데 그것도 한 번 겪으면 귀찮으실 겁니다. 그리고 선은 정리하면 되니 시가짹 방식이 더 reliable한 걸로 생각됩니다.
-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시가짹 방식이 제조비용이 낮아서가 아니라, 도공에서 2만원의 보조금을 얹어주기 때문입니다.
- 제품의 신뢰성은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도공 spec이 상당히 까다롭고, 만약 오류가 나면 회사가 뒤집어써야 하므로 그 까다로운 검증절차를 통과해야 하니 기본성능은 검증되었다고 봐야죠. 도공인증이 9000만원입니다. 아무나 못 들어가겠죠?
- 특별한 추천제품은 없습니다. GPS 경보기 들어간 제품은 어차피 필요 없으실 것이니, 제일 싼 것을 추천합니다. 보조금을 고려하신다면 제일 싼 게 사실은 싼 게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