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일단 제 차에 사용할 목적은 아니고요. (제 차는 일반유면 충분한 컴포트,,)
고급 휘발유의 고옥탄처럼 일반 휘발유에도 시중의 옥탄 부스터를 알맞은 용량으로 사용하면 고급 휘발유와 같은 고옥탄가를 가지게 되지 않을까 싶은 궁금증이 듭니다. 전에도 옥탄 부스터가 고급유만한 역활을 하지 못한다고 하시는 말씀을 본것도 같고요.
주유소하는 친척 말을 들어봐도 탱크로리로 오면 정유사에서 첨가하라고 준 첨가제를 넣고 혼합해서 탱크에 넣는다고 하는 말 때문에요. 아마도 정유사에서 보낸 첨가제가 MTBE 아닌가 싶거든요. (일반유만 파는 주유소라서 고급유도 그렇게 혼합하는지는 모르겠네요)
그러면 일반 무연휘발유에 MTBE 함량을 높이면 고옥탄 고급유와 같아지는거 아닌가하는 단순 무식한 궁금증이 듭니다. 아니면 옥탄 부스터의 성분이 MTBE와 같은 안티 노킹 지수를 높이는 성분이 아니라, 열량을 높이는 화력 부스터란 건지.. 알쏭달쏭합니다.
=_=;;;
고급 휘발유의 고옥탄처럼 일반 휘발유에도 시중의 옥탄 부스터를 알맞은 용량으로 사용하면 고급 휘발유와 같은 고옥탄가를 가지게 되지 않을까 싶은 궁금증이 듭니다. 전에도 옥탄 부스터가 고급유만한 역활을 하지 못한다고 하시는 말씀을 본것도 같고요.
주유소하는 친척 말을 들어봐도 탱크로리로 오면 정유사에서 첨가하라고 준 첨가제를 넣고 혼합해서 탱크에 넣는다고 하는 말 때문에요. 아마도 정유사에서 보낸 첨가제가 MTBE 아닌가 싶거든요. (일반유만 파는 주유소라서 고급유도 그렇게 혼합하는지는 모르겠네요)
그러면 일반 무연휘발유에 MTBE 함량을 높이면 고옥탄 고급유와 같아지는거 아닌가하는 단순 무식한 궁금증이 듭니다. 아니면 옥탄 부스터의 성분이 MTBE와 같은 안티 노킹 지수를 높이는 성분이 아니라, 열량을 높이는 화력 부스터란 건지.. 알쏭달쏭합니다.
=_=;;;
2008.01.05 21:17:22 (*.215.125.158)

아직 옥탄 부스터 써 본적이 없고, 또 쓴다한들 고급유에도 아무런 증상 변화가 없는 제 차로는 효과 유무를 알 수도 없을것 같아서요. (^^;;;
대체 애프터 마켓의 옥탄 부스터는 그럼 무엇을 위해서 존재하는걸까요..? 안티 노킹 지수가 오르지도 않는다면 옥탄 부스터가 무엇을 위해서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ㅡㅡa
아니면.. 레귤러유 기준으로 옥탄가 91~94 정도, 고급유 옥탄가 99 정도이니까.. 옥탄 부스터를 넣으면 옥탄가가 조금 올라서 고급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레귤러 보다는 좀 상승된다는건지 모르겠네요. (근데 그 정도 어중간한 약발을 필요로 세팅된 엔진이 있는지도 의문이고요.)
대체 애프터 마켓의 옥탄 부스터는 그럼 무엇을 위해서 존재하는걸까요..? 안티 노킹 지수가 오르지도 않는다면 옥탄 부스터가 무엇을 위해서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ㅡㅡa
아니면.. 레귤러유 기준으로 옥탄가 91~94 정도, 고급유 옥탄가 99 정도이니까.. 옥탄 부스터를 넣으면 옥탄가가 조금 올라서 고급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레귤러 보다는 좀 상승된다는건지 모르겠네요. (근데 그 정도 어중간한 약발을 필요로 세팅된 엔진이 있는지도 의문이고요.)
2008.01.05 22:45:49 (*.22.116.168)
일반유- 88~90 정도
고급유-91~94 정도..로 생각됩니다.
옥탄 부스터 넣으면 옥탄지수가 1~2정도 상승합니다.
요즘은 주유탱크에 MTBE(납성분)를 주입하지는 않는걸로압니다. 본사에서 혼유해서..
첨가제의 역할은 일시적인 노킹 방지역할뿐 인것같습니다.
고급유라고해서 높은 옥탄가를 가진 진짜 고급휘발유인지..아니면 오래전에 나왔던 저유황고급유인지..고급이라는 단어속에는 어패가 많은듯보입니다.
고급유-91~94 정도..로 생각됩니다.
옥탄 부스터 넣으면 옥탄지수가 1~2정도 상승합니다.
요즘은 주유탱크에 MTBE(납성분)를 주입하지는 않는걸로압니다. 본사에서 혼유해서..
첨가제의 역할은 일시적인 노킹 방지역할뿐 인것같습니다.
고급유라고해서 높은 옥탄가를 가진 진짜 고급휘발유인지..아니면 오래전에 나왔던 저유황고급유인지..고급이라는 단어속에는 어패가 많은듯보입니다.
2008.01.05 23:32:22 (*.215.125.158)

예전에 유연 휘발유가 안티 노킹을 위해서 납을 썼고, 무연 휘발유는 모두 납 대신 MTBE를 사용해서 옥탄가를 올립니다. 그리고 송유관을 이용해서 탱크로리가 시간대별로 가서 받아다가 각 주유소에 배송하기 때문에 주유소에서 각 정유사별로 만든 MTBE를 혼합해서 주유소 탱크에 채우는걸로 압니다. 또 GS의 경우 레귤러가 91 정도 됩니다. SK나 기타 프리미엄은 모두 옥탄가 99 이상이라고 주장하더군요. ㅡ_ㅡ;;
2008.01.05 23:35:48 (*.129.15.248)
제가 예전에 타던 매그너스는 고급유 주유하면 효과가 없지는 않던데요?!
확실히 회전은 더 부드러워지더군요.
엔진오일 막 갈았을 때보다 효과는 좀 더 있었던 듯..^^
물론, 성능 상의 차이를 체감할 수는 없었습니다만...
단순히 옥탄부스터나 첨가제를 좀 더 넣는다고 일반유의 옥탄가가 그렇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정유회사에서 옥탄가를 높이는 공정이 그리 단순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단순하다면, 엄청난 금액을 들여서 고도화 시설을 세우지는 않겠죠~^^
확실히 회전은 더 부드러워지더군요.
엔진오일 막 갈았을 때보다 효과는 좀 더 있었던 듯..^^
물론, 성능 상의 차이를 체감할 수는 없었습니다만...
단순히 옥탄부스터나 첨가제를 좀 더 넣는다고 일반유의 옥탄가가 그렇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정유회사에서 옥탄가를 높이는 공정이 그리 단순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단순하다면, 엄청난 금액을 들여서 고도화 시설을 세우지는 않겠죠~^^
2008.01.05 23:39:09 (*.129.15.248)
옥탄가의 기준이 아시다시피 미국과 국내는 다릅니다. GS도 프리미억엄의 경우, 100.2라고 광고하고 있는데, 미국 기준으로는 100이상은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한국 기준이 미국 기준대비 3-5정도 높게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충 유추해 보면, 한국 일반유가 미국 Regular인 87 정도, 고급유가 미국의 Premium인 92와 크게 차이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한국 기준이 미국 기준대비 3-5정도 높게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충 유추해 보면, 한국 일반유가 미국 Regular인 87 정도, 고급유가 미국의 Premium인 92와 크게 차이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08.01.05 23:47:10 (*.215.125.158)

전 회전감이나 그런거 잘 못 느끼겠더라구요. 일반유에서도 별다른 이상없이 잘 돌거든요. 호기심으로 두어번 넣어 본게 전부네요. ^^;;;
암튼.. 그렇다면 시중 옥탄 부스터의 정체는 과연 그럼 무엇일까요..? +_+
암튼.. 그렇다면 시중 옥탄 부스터의 정체는 과연 그럼 무엇일까요..? +_+
2008.01.06 00:26:02 (*.129.15.248)
매그너스의 XK엔진이 직렬6기통답게 원해 회전질감이 좋은 편이죠.
BMW의 실키 6에 비할 바는 아니겠습니다만..
고급유를 넣으면, 확실히 회전질감이 전 좋게 느껴지던데요~^^
뭐 개인차가 있는 것이겠지만..
옥탄부스터를 저는 써 본 적이 없습니다만, 효과가 없지는 않겠지요.
다만, 비용대비 가치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일테구요.
고급유 세팅 차를 가지고, 고급유를 넣을 수 없는 상황에서 비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BMW의 실키 6에 비할 바는 아니겠습니다만..
고급유를 넣으면, 확실히 회전질감이 전 좋게 느껴지던데요~^^
뭐 개인차가 있는 것이겠지만..
옥탄부스터를 저는 써 본 적이 없습니다만, 효과가 없지는 않겠지요.
다만, 비용대비 가치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일테구요.
고급유 세팅 차를 가지고, 고급유를 넣을 수 없는 상황에서 비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2008.01.06 00:32:55 (*.21.75.11)

정유회사에서 옥탄가를 높이는 공정은 사실 단순합니다. 옥탄가가 높은 성분을 얼마나 많이 섞느냐의 문제 이지요.
문제는 휘발유에 섞을 수 있는 옥탄가가 높은 성분들중 비교적 쉽게 생산할 수 있는 것들은 점차 법으로 제약되는 추세라는 것입니다.
정택순 님의 말씀처럼 옥탄가가 높은 가솔린을 합성 (정제가 아닌 합성입니다) 하는 알킬레이션 공정은 기술적으로도 어렵고 운전도 쉽지 않은 공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정유업계에서 고도화 시설이라고 하면 원유를 정제하고 남게 되는 가치가 낮은 Heavy Portion 에서 Sulfur 성분을 제거하고 Hydro Cracking, RFCC 등을 거쳐 Light Oil 로 바꾸는 시설을 말합니다.
휘발유의 옥탄가를 높이는 것과 고도화 시설의 관계는... 좀 먼 편입니다.
문제는 휘발유에 섞을 수 있는 옥탄가가 높은 성분들중 비교적 쉽게 생산할 수 있는 것들은 점차 법으로 제약되는 추세라는 것입니다.
정택순 님의 말씀처럼 옥탄가가 높은 가솔린을 합성 (정제가 아닌 합성입니다) 하는 알킬레이션 공정은 기술적으로도 어렵고 운전도 쉽지 않은 공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정유업계에서 고도화 시설이라고 하면 원유를 정제하고 남게 되는 가치가 낮은 Heavy Portion 에서 Sulfur 성분을 제거하고 Hydro Cracking, RFCC 등을 거쳐 Light Oil 로 바꾸는 시설을 말합니다.
휘발유의 옥탄가를 높이는 것과 고도화 시설의 관계는... 좀 먼 편입니다.
2008.01.06 10:17:24 (*.243.36.213)
한성님 말씀이 정확하네요.
제 글을 읽고 보니 고도화 시설이 마치 고급유 전용생산시설인 것처럼 오해의 소지가..^^
고도화 시설에 요즘엔 거의 고급휘발유 생산시설 공장을 추가해 놓다 보니 설명이 좀 그랬네요~^^
제 글을 읽고 보니 고도화 시설이 마치 고급유 전용생산시설인 것처럼 오해의 소지가..^^
고도화 시설에 요즘엔 거의 고급휘발유 생산시설 공장을 추가해 놓다 보니 설명이 좀 그랬네요~^^
2008.01.06 12:47:30 (*.146.242.45)

전 옥탄부스터 효과보고 있습니다. 뷔xx제품인데 확실히 넣었을때랑 안넣을때랑 차이 많아요, 근데 일일이 넣기 귀찮은 단점은 있습니다....
2008.01.16 23:37:56 (*.250.52.214)

메이커마다 옥탄부스터의 포인트 상승이 다릅니다. 낮은 옥탄가 상승의 제품은 큰 차이를 못느끼겠지만 4~5포인트 상승하는 리퀴몰리(독일)나 포트론(호주)의 옥탄부스터는 둔한 분이 아니라면 느낄 수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