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카툰은 고유가 시대의 아픔.]
제차 지금 제차 뉴이엡 1.8을 처음 몰던 당시에... 연비가 좋은 쪽으로 길들이지 못한 것은 사실입니다. 지방에서 다닐일이 많았고 고속도로도 많이 달리는 패턴이었죠.
영업사원이라 빨리 가는 것이 중요했고 기름값 걱정은 적었었습니다.
나름 기계를 잘 다루는 편이라 생각하고고, 차도 완전 순정상태에서 잘 길들이긴 했습니다.
처음엔 주유량과 트립에 찍힌 km수로 연비를 계산해보니 13km정도가 나와서 "그럭저럭 OK이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혼자 다니긴 해도 트렁크에 뭔가 많이 싣고 다니는 편이었으니까요.
5년 동안 몰면서 큰 사고를 세차례 냈고, 연비쪽은 솔직히 신경 잘 안쓰고 다녔습니다.
그러는 동안 연비가 뚝뚝 떨어진것을.. 잘몰랐다고 해야할까 애써 외면했다고 해야할까요..
이제 내돈으로 기름값을 내야하는 요즈음에 와서 차의 연비가 너무 낮아서 안습압박이 매일 어퍼컷입니다. 기름값이 히말라야 등정을 시도하니 저는 피말라얍니다.
매번 주유 계산서에서 들어간 리터수 적어놓고 트립 리셋하고 하면서, 악셀 한번 쎄게 밟지도 못하고 다녀도... 10여회 측정해본 결과, 아무리 긍정적으로 계산해봐야 리터당 6~7키로 정도가 나오고 있는데... 친구들과 이 얘기를 해보니 이런 말을 해주기도 하네요.
o. 내가 전에 지방에서 다니고 고속도로만 다녀서 기대치가 높아서 상심이 큰거다.
o. 원래 도심 출퇴근 주행은 현실적으로 측정하면 소나타 기준 7키로정도밖에 안나온다.
o. 차가 1.8이라서 더 그런거다. 그렇게 생각하면 지금 낙심한만큼 크게 떨어지는 연비 아니니까 상심마라.
하지만 테드에 와서 보면 숫자 기준이 너무나도 틀리지요 ^^;;;; 그래서 저는 질문이 세가지 있습니다.
1. 사고 많이 내고 주행수 18만에 소나타 바디에 1.8인 차량치고는 시내주행 리터당 6.5키 연비가 비정상까지는 아닌걸까요?
2. 이런 제 상황에서 연비 개선을 시킬 수 있는 방안이 있을런지요?
3. 걍 팔고 프라이드나 골프 등 딴차 사는게 나을런지요?
4. 장가이버님께 이런 차 끌고 가면 봐주실까요? (센터가 하남 어디라고 하셨드라..;;; )
이렇게 저급 질문 드려 죄송합니다 ^^.. 도와주세요.
2008.01.10 00:36:27 (*.133.99.150)

5년전에 뉴EF 2.0 오토를 타고 다닐때 출퇴근 러시아워때 세검정에서 우면동까지 도심을 통과하는 코스를 다녔는데 그때 기록한 연비가 평균 9.5였습니다. 비결은 정말 가속페달 살살 밟고 급가속 절대 안했습니다. 지금 세컨드카 쏘나타3 1.8은 시내50%, 간선도로 50%일 때 11 정도 나오더군요. 순전히 시내나 동네만 다니면 역시 9-9.5 나오는 듯 합니다.
보통 중형차 시내연비가 아무생각없이 운전하면 8이 평균적이고 거기서 1~2 정도까지는 운전자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차가 정상적이라는 전제 하에서죠^^ 일단 기본정비와 각종 센서류를 체크해보고 이상이 없다면 운행패턴이나 운전습관에 달린 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대표적으로 연비가 나쁘기로 유명한 차종(ex 누비라, 에스페로 등)은 제가 운전해봐도 어쩔 수 없더군요.
보통 중형차 시내연비가 아무생각없이 운전하면 8이 평균적이고 거기서 1~2 정도까지는 운전자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차가 정상적이라는 전제 하에서죠^^ 일단 기본정비와 각종 센서류를 체크해보고 이상이 없다면 운행패턴이나 운전습관에 달린 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대표적으로 연비가 나쁘기로 유명한 차종(ex 누비라, 에스페로 등)은 제가 운전해봐도 어쩔 수 없더군요.
2008.01.10 00:49:23 (*.149.113.162)

아 답변 감사합니다. 흠 암래도 장가이버님께 가뵙고 싶은데, 솔직히는 "차를 이렇게 막 썼냐"고 끌탕치실까봐 겁난다는... (장센터 위치 좀 자세히 알려주세요 ^^)
2008.01.10 08:06:40 (*.243.216.30)

모토딕(http://www.motordic.com/)에서 자동차의 관리 > 고장과 수리의 첫 글 "[김용운의 자동차이야기] 내차는 왜 점점 시끄러워지고 성능이 떨어지며 연비가 나빠지는걸까?"라는 글에서는 라디에터 및 냉각계통을 의심하네요. 한번 가서 글 보시고 판단해 보실 수도 있겠네요...
2008.01.10 09:41:50 (*.134.225.3)
혹시 오토라면 납득이 갈수도 있는 글인데요... 시내에서 느릿하게 다니는 코란도나 무쏘 따라다니면 연비 상승합니다 ㅡ,ㅡ;
2008.01.10 09:48:58 (*.82.97.231)

저도 요즘 16만km뛴 제차 sm525v의 연비가 별로 않좋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처음엔 잘 몰랐는데... 평소 비슷한 코스를 뛰는 s500 4matic에 들어가는 휘발유 값과 거의 같아졌다는...- -
2008.01.10 11:12:43 (*.20.191.17)

밑에 김윤성님 글에도 답글을 달았지만, 몇가지 신경 쓰시면 연비는 나아집니다. (물론 신차보다 더 좋아지긴 힘들겠지요)
"일단 타이어 공기압을 충분히 높입니다. 규정치가 크게 벗어나면 접지력이 약해지므로 안되겠지요. ^^ 그리고 무게를 최대한 줄입니다. 트렁크 정리가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점화계통, 연료계통을 항상 최고의 상태로 유지합니다. 플러그는 자주 체크하셔서 전극 상태를 보시고 제 때 교환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만약 구리 플러그를 사용하신다면 저렴하므로 자주 교환을 하셔도 큰 경제적인 무리가 없으실 겁니다. 그리고 연료계통에는 연료필터가 인-탱크 타입이라면 연료 시스템 클리너만 정기적으로 사용해 주셔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엔진오일은 규정 등급을 만족하는 오일중에서 제일 낮은 점도를 사용하십시요. 최근 현대 엔진들은 5W20 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고rpm을 장시간 사용하신다면 조금 불안한 점도이지만 연비를 생각하신다면 도움이 됩니다. 에어필터 교환도 중요합니다만, 국내에서는 오일교환시 보통 에어필터를 교환하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실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다만 여기서 다른점은 엔진오일은 5W20 점도를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순정 점도 (아마도 10W30이나 5W30?)를 사용하시구요, 기회가 되신다면 주행거리가 있기 때문에 High mileage용 오일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타이어 공기압을 충분히 높입니다. 규정치가 크게 벗어나면 접지력이 약해지므로 안되겠지요. ^^ 그리고 무게를 최대한 줄입니다. 트렁크 정리가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점화계통, 연료계통을 항상 최고의 상태로 유지합니다. 플러그는 자주 체크하셔서 전극 상태를 보시고 제 때 교환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만약 구리 플러그를 사용하신다면 저렴하므로 자주 교환을 하셔도 큰 경제적인 무리가 없으실 겁니다. 그리고 연료계통에는 연료필터가 인-탱크 타입이라면 연료 시스템 클리너만 정기적으로 사용해 주셔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엔진오일은 규정 등급을 만족하는 오일중에서 제일 낮은 점도를 사용하십시요. 최근 현대 엔진들은 5W20 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고rpm을 장시간 사용하신다면 조금 불안한 점도이지만 연비를 생각하신다면 도움이 됩니다. 에어필터 교환도 중요합니다만, 국내에서는 오일교환시 보통 에어필터를 교환하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실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다만 여기서 다른점은 엔진오일은 5W20 점도를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순정 점도 (아마도 10W30이나 5W30?)를 사용하시구요, 기회가 되신다면 주행거리가 있기 때문에 High mileage용 오일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08.01.10 17:45:28 (*.133.99.150)

주행거리가 반드시 연비와 비례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7년전에 타던 16만키로 된 쏘나타2 골드 수동의 경우 국도 12.5, 시내 9 정도 나왔고 10만키로 된 지금의 옵티마도 역시 국도 13, 시내 9.5 정도 나오네요. 안종연님 차가 오토인지 수동인지 모르겠지만 오토라면 오토의 슬립이나 다른 문제일 수도 있으니 일단 각 부품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아보는 종합점검이 필요하겠죠.
2008.01.10 22:22:29 (*.114.62.39)

연비문제에 대한 접근은 일단 가장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방법부터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이나 기타 눈에 띄는 확실한 이상이 육안으로 감지 안된다면 하이스캔을 통해 각종 센서의 이상유무를 파악하시는 것이 첫째이겠고, 모든 센서들이 모두 정상작동한다면, 자동변속기의 상태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연비가 나쁜차는 대부분 성능도 떨어집니다. 그 성능이 떨어지는 원인은 엔진 아니면 변속기가 문제이지요.
변속기가 이상이 없고 센서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해도 산소센서나 수온센서, 에어플로우 센서들은 10만킬로 이상을 사용하게 되면 그 정밀도나 피드백 속도(특히 산소센서)가 느려 신품 센서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파워저하나 연비악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센서를 포함한 전자장비쪽의 문제가 아닌 경우 실린더의 압축이 떨어졌는지 한번 점검하는 것도 좋겠네요.
그 다음으로 인젝터의 성능이 떨어져도 연비와 성능이 낮아집니다.
인젝터의 분사가 미세하지 못한 경우도 있으니 뭔가 증명하기 위해 엔진에 큰 돈을 들여야한다면 일단 인젝터를 점검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보통 순정 차량이 18만킬로를 고속도로에서 탔으면 인젝터의 상태가 좋을 경우와 나쁠 경우는 반반정도의 확률이 됩니다.
센서들의 작동이상이나 엔진의 압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배기가스 냄새도 일단 나빠집니다. 물론 배출량도 안좋게 나오지요.
단 언급하신대로 시가지 주행에서 6.5가 과연 같은 차종 완벽한 상태의 차와 비교했을 때 과연 나쁜 것인지 먼저 판단해야하는데, 동종 테스트 드라이브가 어려우니 고속주행시 연비가 잘 나오는지를 토대로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을 잡을 수 있겠습니다.
만약 엔진 상태가 좋지 않아져 시내 연비가 나쁘다면 고속주행 연비도 나쁘게 나와야 정상입니다. 만약 고속정속 주행 연비가 여전히 좋다면 엔진의 상태가 갑자기 나쁜쪽으로 변했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어집니다.
타이어 공기압이나 기타 눈에 띄는 확실한 이상이 육안으로 감지 안된다면 하이스캔을 통해 각종 센서의 이상유무를 파악하시는 것이 첫째이겠고, 모든 센서들이 모두 정상작동한다면, 자동변속기의 상태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연비가 나쁜차는 대부분 성능도 떨어집니다. 그 성능이 떨어지는 원인은 엔진 아니면 변속기가 문제이지요.
변속기가 이상이 없고 센서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해도 산소센서나 수온센서, 에어플로우 센서들은 10만킬로 이상을 사용하게 되면 그 정밀도나 피드백 속도(특히 산소센서)가 느려 신품 센서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파워저하나 연비악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센서를 포함한 전자장비쪽의 문제가 아닌 경우 실린더의 압축이 떨어졌는지 한번 점검하는 것도 좋겠네요.
그 다음으로 인젝터의 성능이 떨어져도 연비와 성능이 낮아집니다.
인젝터의 분사가 미세하지 못한 경우도 있으니 뭔가 증명하기 위해 엔진에 큰 돈을 들여야한다면 일단 인젝터를 점검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보통 순정 차량이 18만킬로를 고속도로에서 탔으면 인젝터의 상태가 좋을 경우와 나쁠 경우는 반반정도의 확률이 됩니다.
센서들의 작동이상이나 엔진의 압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배기가스 냄새도 일단 나빠집니다. 물론 배출량도 안좋게 나오지요.
단 언급하신대로 시가지 주행에서 6.5가 과연 같은 차종 완벽한 상태의 차와 비교했을 때 과연 나쁜 것인지 먼저 판단해야하는데, 동종 테스트 드라이브가 어려우니 고속주행시 연비가 잘 나오는지를 토대로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을 잡을 수 있겠습니다.
만약 엔진 상태가 좋지 않아져 시내 연비가 나쁘다면 고속주행 연비도 나쁘게 나와야 정상입니다. 만약 고속정속 주행 연비가 여전히 좋다면 엔진의 상태가 갑자기 나쁜쪽으로 변했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어집니다.
2008.01.11 01:31:34 (*.120.9.122)
10만키로뛴 옵티마 운행중입니다.
2리터, 오토미션이구요 시내주행60%, 고속주행40%입니다.
연비는 잘 모르겠고.. 5만원주유(약 23~24리터)하면 대략 230~260Km정도 운행합니다.
2리터, 오토미션이구요 시내주행60%, 고속주행40%입니다.
연비는 잘 모르겠고.. 5만원주유(약 23~24리터)하면 대략 230~260Km정도 운행합니다.
2008.01.13 02:45:35 (*.47.130.115)

많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차는 오토미션, 그리고 스노우 타이어 장착중입니다.
답변을 조로록 정리 메모해서 하나하나 살펴나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을 조로록 정리 메모해서 하나하나 살펴나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지시겠지만 그 비용이면 기름을 더 넣을수 있기에 -_-;;
추천 드릴수는 없구요 일단은 가까운 그린 가셔서 "하이스켄" 찍어보시고
이상있는 부품교환, 엔진플러싱, 스로틀바디 청소,
타이어 공기압체크 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