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일단 질문글을 너무 자주 올려서 죄송(__);;
병상에 누워 할것도 없고 앉아서 이런 저런 생각하고 향후 카 라이프에 대해
심층 분석및 생각을 해보다 휠에 괜해서도 심각하게 고민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우선 현재 휠은..
버디 클럽의 P-1레이싱이고
앞,뒤 옵셋및 휠 림폭은
전륜 8J32(225-45-17)(금호 SPT)
후륜 9J37(235-40-17, 이건 조만간 전륜과 같은 225-45-17로 교환예정)(요코하마 Sdrive)
이정도 입니다.
이번에 전륜에 네오바를 끼울 생각이고요.
전륜구동인 투스카니에게는 후륜보다 전륜의 림폭이 더 커야 운동성능이 배가 된다고
알고 있고 개인적으로도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가지고 있는 휠도 이쁘고 해서 계속 써볼까도 고민을 해보는데요.
(스페어로 16인치에 7.5J 25옵셋을 가진 휠도 있기는 합니다.)
전륜에 비해 후륜이 그냥 봐도 지나치게 넓은데.
혹 서킷에서는 어떠한지요 ?..
제가 알기론 서킷에선 리어를 능동적으로 날려야할경우가 많아서
역시 후륜이 전륜보다는 그립이 떨어지는 셋팅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FF는 서킷에서 무조건 전륜이 크던가,혹은 앞-뒤 동일 스펙이 정답인가요 ?^^)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
지금의 휠을 그대로 사용할런지..
아님 16인치(나름대로 경량)을 쓰는게 옳은건지^^;;
혹은 17인치의 다른 앞,뒤 동일 스펙의 휠로 가는게 옳은건지...^^;;
서킷을 기준으로 어떠한 선택이 전륜구동 투스카니에게
유리한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병상에 누워 할것도 없고 앉아서 이런 저런 생각하고 향후 카 라이프에 대해
심층 분석및 생각을 해보다 휠에 괜해서도 심각하게 고민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우선 현재 휠은..
버디 클럽의 P-1레이싱이고
앞,뒤 옵셋및 휠 림폭은
전륜 8J32(225-45-17)(금호 SPT)
후륜 9J37(235-40-17, 이건 조만간 전륜과 같은 225-45-17로 교환예정)(요코하마 Sdrive)
이정도 입니다.
이번에 전륜에 네오바를 끼울 생각이고요.
전륜구동인 투스카니에게는 후륜보다 전륜의 림폭이 더 커야 운동성능이 배가 된다고
알고 있고 개인적으로도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가지고 있는 휠도 이쁘고 해서 계속 써볼까도 고민을 해보는데요.
(스페어로 16인치에 7.5J 25옵셋을 가진 휠도 있기는 합니다.)
전륜에 비해 후륜이 그냥 봐도 지나치게 넓은데.
혹 서킷에서는 어떠한지요 ?..
제가 알기론 서킷에선 리어를 능동적으로 날려야할경우가 많아서
역시 후륜이 전륜보다는 그립이 떨어지는 셋팅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FF는 서킷에서 무조건 전륜이 크던가,혹은 앞-뒤 동일 스펙이 정답인가요 ?^^)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
지금의 휠을 그대로 사용할런지..
아님 16인치(나름대로 경량)을 쓰는게 옳은건지^^;;
혹은 17인치의 다른 앞,뒤 동일 스펙의 휠로 가는게 옳은건지...^^;;
서킷을 기준으로 어떠한 선택이 전륜구동 투스카니에게
유리한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2008.01.10 17:28:27 (*.162.58.146)

현재 전륜이 205-50-15 rs2, 후륜이 195-50-15 ad07입니다.
랩타임을 측정해 보진 않았지만, 후륜이 205-50-15 일때가
랩타임은 더 빠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타이어 사이즈는 동일하게 하고 차고 조절이나 스프링 레이트로
본인에 맞게 조절하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어떤 서킷이냐에 따라도 달라질것 같고.. 복잡하네요..^^;
랩타임을 측정해 보진 않았지만, 후륜이 205-50-15 일때가
랩타임은 더 빠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타이어 사이즈는 동일하게 하고 차고 조절이나 스프링 레이트로
본인에 맞게 조절하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어떤 서킷이냐에 따라도 달라질것 같고.. 복잡하네요..^^;
2008.01.10 17:42:18 (*.132.208.39)

전,후 같은 규격의 타이어를 써도 문제는...
앞,뒤 휠의 옵셋과 림폭이 틀려서요..
이걸 이대로 써도 되는지(이론or서킷)가 가장중요한
관건이겠네요.
아님 전,후 같은 타이어를 넣고 전륜에
아이박 스페이서 10mm정도를 넣으면 그나마 괜찮을까요 ?^^;
앞,뒤 휠의 옵셋과 림폭이 틀려서요..
이걸 이대로 써도 되는지(이론or서킷)가 가장중요한
관건이겠네요.
아님 전,후 같은 타이어를 넣고 전륜에
아이박 스페이서 10mm정도를 넣으면 그나마 괜찮을까요 ?^^;
2008.01.10 18:35:33 (*.86.152.40)

간단합니다..
앞뒤를 바꿔서 껴보세요
앞에도 간섭없는 옵셋이니까요 ^^..
저도 투카에 가끔 쓰던 셋팅인데..
출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
앞 8.5j 30 235 40 17 : 샥에 스트로크와 댐핑 수치에 따라 간섭유무가 있습니다 : 휀더라인! 그런데 거진 무간섭입니다.. 9j+35도 거진 간섭없으실듯
뒤 7.5j 30 215 45 17 : 전혀 무간섭.. 8j 32도 간섭없지요 ^^..
저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안정적으로 탈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겨울이 아닌이상 거진 저 셋팅으로 탔는데 겨울엔 오히려 불안감이 엄습하더군요 ^^.. 정신적 불안감..실제로 겨울에는 비가 많이 오는관계로 215가 훠~얼~씬~ 나이스하구요 ^^..
앞뒤를 바꿔서 껴보세요
앞에도 간섭없는 옵셋이니까요 ^^..
저도 투카에 가끔 쓰던 셋팅인데..
출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
앞 8.5j 30 235 40 17 : 샥에 스트로크와 댐핑 수치에 따라 간섭유무가 있습니다 : 휀더라인! 그런데 거진 무간섭입니다.. 9j+35도 거진 간섭없으실듯
뒤 7.5j 30 215 45 17 : 전혀 무간섭.. 8j 32도 간섭없지요 ^^..
저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안정적으로 탈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겨울이 아닌이상 거진 저 셋팅으로 탔는데 겨울엔 오히려 불안감이 엄습하더군요 ^^.. 정신적 불안감..실제로 겨울에는 비가 많이 오는관계로 215가 훠~얼~씬~ 나이스하구요 ^^..
2008.01.10 19:10:04 (*.132.208.101)

그럼 앞을 235-40-17로 셋팅하고(9J37)..
뒤를 225-45-17로 셋팅하면(8J32)..
마른노면의 서킷에선 이것이 더 안정적일까요 ?..
그 셋팅이 될때쯤엔 대략 NA로 150마력대 정도의 출력이 될거구요^^;;
비오거나 겨울엔 반대로 끼우면 될듯^^;;; 핫..감사합니다.
우선 그렇게 한번 해보도록 하죠^^;
뒤를 225-45-17로 셋팅하면(8J32)..
마른노면의 서킷에선 이것이 더 안정적일까요 ?..
그 셋팅이 될때쯤엔 대략 NA로 150마력대 정도의 출력이 될거구요^^;;
비오거나 겨울엔 반대로 끼우면 될듯^^;;; 핫..감사합니다.
우선 그렇게 한번 해보도록 하죠^^;
2008.01.10 19:14:33 (*.86.152.40)

분명 비용지출이 생기겠지만
중고로 구하실수있다면 225/45r17를 설치후에 테스트 해보시고
본인의 감각에 맞는가에 중점을 두시면 어떨가 싶습니다.
중고로 구하실수있다면 225/45r17를 설치후에 테스트 해보시고
본인의 감각에 맞는가에 중점을 두시면 어떨가 싶습니다.
2008.01.11 01:52:29 (*.229.116.62)

강성환님 투스카니는 롤케이지와 리어 보강킷까지 적용돼 전후 하중발란스가 많이 보충되어있습니다. 하중으로만 보면, 통상적인 언더스티어 성향 샷시가 오버쪽으로 조금 가까워진거죠. 여기에 후륜이 전륜대비 광폭으로 가서 다시 본래 투스카니 운동성에 가까운 세팅쪽이 되었으리라 보여집니다.
또한, 전륜 타이어폭이 좁은대신 옵셋이 커서 윤거(트레드)가 넓어져, 후륜 광폭으로 인한 언더성이 극복되어..제가 보기엔 무리없는 셋업이 되어있는 상태 같습니다. 후륜 요꼬하마 S drive 의 그립력은 잘 모르겠는데, 말씀대로 전륜 네오바로 갔을때, 드라이그립의 전후밸런스는 잘~맞으리라는 예측이 됩니다.
그러나.. 가능한한 전후륜 타이어의 그립이 같은 컴파운드의 타이어를 장착하고, 앞뒤 공기압차이를 이용한 세팅을 하는게 제일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계획대로 전륜 네오바, 후륜..지금타이어를 그대로 사용해 트랙드라이빙을 해보시고요. 공기압차이와 얼라인먼트를 이용해, 본인의 스킬방법론을 정착해 가시면서 세팅을 맞추어가시면 됩니다.
이현일님 말씀대로 전후륜을 교환 장착해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지만, 말씀하신 출력대에서 전륜 235 는 오버스펙이라 순발력이 많이 떨어질껄로 예상됩니다. 구동계에 무리가 갈거고요..^^ 생각대로 진행하시고, 트랙주행 하시면서 또 의논해봐요. ㅎ
또한, 전륜 타이어폭이 좁은대신 옵셋이 커서 윤거(트레드)가 넓어져, 후륜 광폭으로 인한 언더성이 극복되어..제가 보기엔 무리없는 셋업이 되어있는 상태 같습니다. 후륜 요꼬하마 S drive 의 그립력은 잘 모르겠는데, 말씀대로 전륜 네오바로 갔을때, 드라이그립의 전후밸런스는 잘~맞으리라는 예측이 됩니다.
그러나.. 가능한한 전후륜 타이어의 그립이 같은 컴파운드의 타이어를 장착하고, 앞뒤 공기압차이를 이용한 세팅을 하는게 제일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계획대로 전륜 네오바, 후륜..지금타이어를 그대로 사용해 트랙드라이빙을 해보시고요. 공기압차이와 얼라인먼트를 이용해, 본인의 스킬방법론을 정착해 가시면서 세팅을 맞추어가시면 됩니다.
이현일님 말씀대로 전후륜을 교환 장착해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지만, 말씀하신 출력대에서 전륜 235 는 오버스펙이라 순발력이 많이 떨어질껄로 예상됩니다. 구동계에 무리가 갈거고요..^^ 생각대로 진행하시고, 트랙주행 하시면서 또 의논해봐요. ㅎ
2008.01.11 07:33:22 (*.59.144.85)

이익렬님 말씀대로
베타 n/a 앞 235는 굉장한 스트레스를 줄수있는 사이즈 입니다.
물론 이득도있지만 잃어버리시는것도 많지요.
김광삼님의 애마처럼 고마력/토크 차량같은경우는 235도 모잘란다 라는 생각입니다만.
본인의 셋팅을 찾아내시는게 젤 좋은 방법인듯합니다.
베타 n/a 앞 235는 굉장한 스트레스를 줄수있는 사이즈 입니다.
물론 이득도있지만 잃어버리시는것도 많지요.
김광삼님의 애마처럼 고마력/토크 차량같은경우는 235도 모잘란다 라는 생각입니다만.
본인의 셋팅을 찾아내시는게 젤 좋은 방법인듯합니다.
2008.01.11 18:29:57 (*.133.138.117)

서킷전용차량에는 의미있는 시도라 사료 됩니다만
공도용차량, 더군다나 FF차량의 경우에는
익렬님 말씀대로 앞뒤 동일스팩에서 공기압과 얼라인먼트를 변경하여
자신만의 세팅값을 찿아 가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
공도용차량, 더군다나 FF차량의 경우에는
익렬님 말씀대로 앞뒤 동일스팩에서 공기압과 얼라인먼트를 변경하여
자신만의 세팅값을 찿아 가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
저도 앞 205, 뒤 195 셋팅을 해 본 경험이 있는데, 빗길 외에는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대신 빗길에서는 신중하지 않게 조작하면 쉽게 꼬리가 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