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브레이크라고하면..
' 엔진의 압축 저항이나 엔진·변속기의 기계적 마찰 등에 의한 자동차의 제동 작용' 으로 정의합니다.

오늘 짧은 논쟁이 있었습니다.

친구1은 평소 200m내리막에서 브레이크만 이용하고, 친구2는 엔진브레이크를 이용합니다.
친구1 왈 "엔진브레이크 걸릴때 알피엠을봐봐. 연료가 얼마나 들어가는지를.."

친구2 " 알피엠은 상승하지만 연료소모량과는 차이없는거 아냐?"

제3자 입장에서..
"스로틀밸브도 닫혀 있고 연소과정이라고 보기는 좀 그렇고..피스톤 내부의 저항과 미션과 구동계간 저항이 병행되니 가속과정처럼 연료가 소모되는 것은 아닐거야..소모된다면 최소공연비정도가 아닐까?"
라고 답했습니다.

문제..

1.엔진브레이시의 연료소모량.

2.같은 구간(내리막200m 또는 시내의 짧은 공주거리구간)에서의 중립과 엔진브레이크사용시의 연료소모량차이.

명쾌한 답변기다리겠습니다.^^

추가로..직분사 기관에서의 엔진브레이크사용은 전자제어의 의존하게 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