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테드에서 항상 글만 읽고 공부하고 있는 회원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오버헤드캠에서 직동식과 로커암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최근 63AMG 모델에 올라가는 V8 6.2리터 유닛의 그림을 보니 로커암식이던데요
두가지 방식이 가지는 이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
궁금한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오버헤드캠에서 직동식과 로커암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최근 63AMG 모델에 올라가는 V8 6.2리터 유닛의 그림을 보니 로커암식이던데요
두가지 방식이 가지는 이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
2008.01.26 21:30:13 (*.62.84.78)

흠... 이것은 머가 좋타 나쁘다 라는 다수의견이 충돌하는 부분이 많이있습니다..;; 직접적으로 자료를 찾아보심이..... 인터넷에도 많은 의견이 와따가따 하지요.. 누군 직동식이 리프트가 크다 튜닝효율성도 좋다고 하는반면 누구는 로커암방식이 리프트가 더크다 더좋타.. 말이 많습니다...ㅋ;; 전 개인적으로 전체적인 엔진설계에 마추어 따라가는것이지 꼭 정해서 이런저런 방식을 쓰진않을거 같네요. s2000이라는 차량의 엔진도 로커암방식이지요... 직동식많이 고알피엠실현 가능하다고 하시는분들에겐 그엔진은...어떻변명을 나을수있는지.. 롤로 로커암이라 그렇타!! 이런분 정말 ㅡ,.ㅡㅋㅋ 도움이 돼지못해 죄송하네요 ㅋ...
2008.01.27 01:22:51 (*.133.99.246)

로커암은 요즘은 거의 롤러 로커암입니다. 로커암에 볼베어링이 있어서 저회전이 공회전시 마찰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연비가 개선되지만 로커암이라는 구조때문에 실린더 헤드가 커지고 밸브기구의 경량화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죠.
반면에 직동식은 구조가 간단해서 강성이 높고 실린더 헤드를 작게 할 수 있으며(직동식인 베타엔진의 헤드와 롤러 로커암 방식인 시리우스 엔진의 헤드를 보면 쉽게 비교됩니다) 간단한 구조로 인한 밸브기구의 경량화로 고회전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밸브리프트 크기는 직동식이냐 로커암식이냐에 상관없는 것 같습니다.
반면에 직동식은 구조가 간단해서 강성이 높고 실린더 헤드를 작게 할 수 있으며(직동식인 베타엔진의 헤드와 롤러 로커암 방식인 시리우스 엔진의 헤드를 보면 쉽게 비교됩니다) 간단한 구조로 인한 밸브기구의 경량화로 고회전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밸브리프트 크기는 직동식이냐 로커암식이냐에 상관없는 것 같습니다.
2008.01.27 13:33:48 (*.64.242.67)

답변 감사합니다^^ 정답이 없는 튜닝의 일면이군요. 편견을 갖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습니다. 로커암방식의 장점이 저회전에서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