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저번에 이어... 때놓쳐 질문하기 부끄런 기초질문 2탄을 올립니다. (사진은 내리막길 타성주행을 절대 안하시는 고수분 사진 ^^; )
흔히 내리막길 중립 기어 타성주행에 관해 제가 자주 들은 두가지 정론은 이렇습니다.
1. 안정상 위험이 크므로 하지 마라.
2. 연비도 기어넣고 가는것보다 더 나쁘므로 더더욱 하지마라.
저는 솔직히, 1번은 명확히 이해하고 있지만, 2번은 명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합니다. 제가 대충 아는 부분은...
A. 클러치를 꾹 밟아서 떼어내어도 "전체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B. 기어를 넣고 내리막을 가면 ecu가 자연히 fuelcut을 해주기 때문에.
그렇다는 정도인데...
약 5~6년 전에 에스페로를 몰던 당시에... 이 설명을 처음 듣고 "아, 그래? 난 잘모르고 있었네?" 싶었었는데 마침 그때 서해안 고속도로를 며칠 연달아 와리가리할 기회가 생겨서 이 부분을 나름지딴 심각하게 측정해보고 싶었습니다. 즉, 내리막에서 기어 중립 타성주행으로 가는 경우와 기어넣고 가는 경우의 연비를 비교해본 것이죠.
참고로 저는 당시에 기어중립 타성주행을 선호하여 왔던지라, 뭐랄까... 차도 그렇게 길들여져 있었다는 그런 느낌입니다.
처음 며칠간은 중립 타성주행의 연비가 더 좋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꽤 차이가 날 것으로 기대하던" 제 생각의 고집이 틀렸다는걸 알았습니다. 그리고 테스트를 마칠 무렵에는 양쪽 연비가 똑같아지더군요.
그래서 당시엔 "양쪽 방법엔 모두 다 요령이란게 있어서 요령을 잘 익히면 결국 어느쪽이든 비슷하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나중에 가끔씩 생각해보면서 추가로 들었던 생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ㄱ. 양쪽 방법의 전체속도가 틀렸을지 모르겠다. 왠지 타성주행쪽이 빨랐던 것 같은 느낌이랄까;
ㄴ. 내가 기어 주행쪽이 더 수련되어 있었다면 그쪽 연비가 더 좋았을지도..;;;
ㄴ. 도로상황이 시원하게 뚫려 있는지 혹은 약간씩 방해차량이 있는지도 변수가 될 수 있겠다.
결국, 저는 연비를 측정하겠다고 하면서 전체적으로 연비모드 주행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테스트 자체가 모순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글이 장황했네요 (죄송함담). 질문 드릴것이 몇개 있습니다.
Q1. 클러치를 다 밟아도 디스크가 완전히 다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부분을 매카적으로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인지요?
Q2. 그렇게 일부 연결되어 있는 상태와, 5단 기어가 물려 fuelcut되지 않고 연료를 물리는 상태의 연료소모량은 어느정도로 비교가 될런지요?
Q3. 그 외의 내리막길 타성주행에 관한 의견이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
2008.02.14 02:20:44 (*.13.72.177)
대충 배기량이 2리터급일때 아이들에서 시간당 1~1.5 리터정도 소모됩니다. 보통의 소형 가솔린 엔진들은 1500rpm 부근이 연료 재분사 회전수입니다. 저도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거립니다만. 공회전 중 엔진 off후 재시작하는 auto stop and go 같은 기능의 경우 웜업후 재시동인 경우 연료 소모량은 8초 배기가스 배출량은 23초의 공회전과 한 번의 시동이 비슷한 것으로 본 기억이 있습니다.
2008.02.14 03:28:10 (*.68.53.70)

돈영님 너무 빡쎄십니다...엔진오프라니ㅠ.ㅠ (저도 돈영님 생각과 마찬가지로) 엔진에 따라 다르지만 1500RPM 이상에서 액셀을 떼고 탄력으로 가면 연료분사가 중지되는 경우 속도가 너무 줄어들거나 해서 액셀을 밟아야할 때가 생기니 아예 중립으로 가는게 더 효율적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우 맵핑 때문에 와이드밴드 산소센서를 추가로 장착하고 있는데.... 연료컷 상태인 ---가 나오다가 순간적인 파샬 스로틀로 연료가 들어가게 되면 왠지 아낀 연료를 한 큐에 다 쏟아붓는 느낌입니다. (제 차가 저 RPM까지 점점 출력 공연비 맵핑으로 가고 있는 탓도 있겠습니다만...) 다만 그래도 제가 계속 중립으로 안빼고 퓨엘컷으로 다니는 이유는 중립에서의 브레이킹은 기어가 물려진 상태에서의 브레이킹과 다르게 왠지 헛발길질 하는 것 같은 필링이기 때문입니다.
2008.02.14 09:26:04 (*.87.60.117)

경모님께서 중요한 경험을 적어주셨네요.
중립으로 가면 안되는 이유가 바로 안전때문이죠. 브레이크의 진공이 훨씬 크기에 제동력이 다릅니다.
하지만, 최적경사로인 경우에 중립주행이 더 좋을수는 있습니다.
중립으로 가면 안되는 이유가 바로 안전때문이죠. 브레이크의 진공이 훨씬 크기에 제동력이 다릅니다.
하지만, 최적경사로인 경우에 중립주행이 더 좋을수는 있습니다.
2008.02.14 11:39:53 (*.134.98.32)

첫번째 질문은 그림을 보시든가 실물을 직접 보시는것이 이해가능이 할것같은데..말로는 한계가 있어서리요...
그 나머지 질문은 사실 질문 자체가 세분화 되어야 문제 제기가 되고 그에 대한 답도 나올것 같은데...(그것자체를 아시면 질문이 필요야 없겠지만요) 중부고속도로 처럼 끝보이는 고속에 긴 내리막길은 당근 중립이 좋겠죠... 함 해보세요.. 그냥 가속잘 됩니다. 연비절감 짱이죠... 승용차 처럼 소형차는 큰 트럭은 안전이라는 부분때문에 별개의 문제구요
근데 영동 고속도로 처럼 끝안보이는 내리막길이나 넘 가속이 잘 되서 카메라에 찍히든가하죠.. 안전에 문제가 되죠... 그래서 5단 기어를 풀지않고 내려가죠... 알피엠 영역이 높죠..연비 물론 중간정도 알피엠보다는 많죠..... 연비를 아낄려만 다른것 없읍니다.. 차 마다 영역이 다르지만 경제속도 준수 입니다... 부산 왕복 30%이상은 나드라고요...말이 길었읍니다.. 요즘 연비를 생각해서 경제속도 지키는 운전자가... 듬으로 그래는 속도 위반 과태료를 내 본적이 없어요...
그 나머지 질문은 사실 질문 자체가 세분화 되어야 문제 제기가 되고 그에 대한 답도 나올것 같은데...(그것자체를 아시면 질문이 필요야 없겠지만요) 중부고속도로 처럼 끝보이는 고속에 긴 내리막길은 당근 중립이 좋겠죠... 함 해보세요.. 그냥 가속잘 됩니다. 연비절감 짱이죠... 승용차 처럼 소형차는 큰 트럭은 안전이라는 부분때문에 별개의 문제구요
근데 영동 고속도로 처럼 끝안보이는 내리막길이나 넘 가속이 잘 되서 카메라에 찍히든가하죠.. 안전에 문제가 되죠... 그래서 5단 기어를 풀지않고 내려가죠... 알피엠 영역이 높죠..연비 물론 중간정도 알피엠보다는 많죠..... 연비를 아낄려만 다른것 없읍니다.. 차 마다 영역이 다르지만 경제속도 준수 입니다... 부산 왕복 30%이상은 나드라고요...말이 길었읍니다.. 요즘 연비를 생각해서 경제속도 지키는 운전자가... 듬으로 그래는 속도 위반 과태료를 내 본적이 없어요...
2008.02.14 15:49:34 (*.242.110.245)

파사트 TDI는 트립컴퓨터에서 보면 N에 놓고 공회전할때 시간당 0.7리터, D에 놓고 공회전하면 시간당 0.9리터 정도 연료를 소모한다고 나오네요..
클러치 페달을 밟는다면 압력판이 디스크를 눌러주는 압력이 줄어들어서 동력전달이 끊길 뿐이지 실제로 플라이휠과 클러치 디스크는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플라이휠과 클러치 디스크 사이의 접촉을 해제시켜주는 릴리즈 스프링 같은 구조물이 없기 때문이죠). 즉, 꾸욱 눌러주는 힘이 없기 때문에 차를 구동시키거나 클러치 디스크를 마모시킬 만큼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부 연결되어 있다'는 표현은 아마도 이렇게 '클러치 디스크과 플라이휠이 닿아있는 상태'를 이야기하신듯 싶습니다.
2. 으... 언어영역에 대한 이해가 짧아서 질문을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ㅡㅡ
중립으로 언덕을 내려갈때에는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은 양의 연료가 분사됩니다.
기어가 물려있는 상태에서도 일정rpm 이하로 내려가면 역시나 시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만큼의 연료가 분사됩니다.
엔진마다 다르겠지만 시간당 몇리터 이런거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저도 알고 싶습니다 ㅎ
3.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하지만 '내리막 주행에서는 기어가 물려 있는게 연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이곳 테드의 중론인것 같습니다.
탑 기어라 할지라도 기어가 물려 있는 상황이라면, 연료 소모가 없다 하지만 적게나마 작용하는 엔진브레이크의 영향때문에 내리막이 끝나기도 전에 속도가 너무 줄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시 스로틀을 열어서 연비주행용 정속으로 맞추어야 하는데 이 때 소모되는 연료의 양과 중립 주행시 소모되는 연료량은 후자가 더 적을 것이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간혹 고속도로의 긴 내리막에서 바람의 신이 방해만 하지 않는다면 중립 상태에서 오히려 속도가 더 붙는 구간들도 있습니다. 속도가 더 붙진 않더라도 긴 내리막에서는 중립에 놓고 관성을 최대한 유지하면 실제로 수 킬로미터를 활주할 수 있으니 엔진브레이크의 저항으로 다시 가속을 해야하는 상황 보다는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초긴축 모드일 경우엔 대관령->서울 방향의 내리막에서는 (옳지 않은 행동이지만) 아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조차 아까워서 엔진 오프 상태로 내려오곤 합니다ㅎㅎ
항상 올려주시는 ㅉㅂ은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