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아파트버스를 요즘에 자주애용하는터라 거의 매일 기사아저씨랑 인사한답니다.
앞쪽좌석은 어르신들에게 양보하고 젤뒷자리를 이용하는 편이라서 평소엔 몰랐는데..
며칠전에 운전석 바로 뒷자리에 우연히 앉게 되었습니다.
60~70키로 정도로 운행중에 기사님이 우측레버(와이퍼조작하는그것이죠)
를 까딱까딱 하시던데요 계기판엔 불이 들어왔다 꺼졌다하구...
이게 뭐죠?
완전 궁금합니다~~
앞쪽좌석은 어르신들에게 양보하고 젤뒷자리를 이용하는 편이라서 평소엔 몰랐는데..
며칠전에 운전석 바로 뒷자리에 우연히 앉게 되었습니다.
60~70키로 정도로 운행중에 기사님이 우측레버(와이퍼조작하는그것이죠)
를 까딱까딱 하시던데요 계기판엔 불이 들어왔다 꺼졌다하구...
이게 뭐죠?
완전 궁금합니다~~
2008.02.14 06:37:41 (*.194.99.1)

의경이라 군시절 버스에서 먹고자고 했었습니다. ㅎㅎ. 탔던 차는 대우버스 였는데, 배기브레이크가 와이퍼 레버에 달려 있었습니다. ^^ 엔진 배기를 막아서 엔진브레이크를 유도하는(?)장치라고 간편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2008.02.14 08:27:29 (*.117.254.250)

주영님 말씀이 맞습니다. 버스나 트럭같은 대형차들은 큰 무게로 인한 모멘텀 때문에 풋브레이크에 걸리는 부하를 막기위해 위와 같은 방식을 쓰는데요, 가끔가다가 대형차들이 감속할때 자연스럽지 못한 배기음(?)이 바로 그것이랍니다.
2008.02.14 08:30:50 (*.117.254.250)

저 또한 얼마전부터 등하교시에 버스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여기 캐나다(오타와)의 버스들은 자동으로 배기브레이크가 걸리더군요. 버스 기사 아저씨가 풋브레이크를 밟으면 계기판에 배기브레이크 불이 들어오고 대략 속도가 20km/h 내외로 감속되면 꺼지더라구요.
2008.02.14 09:16:59 (*.87.60.117)

배기브레이크 레버를 작동상태로 놔두면 액셀오프 시에 자동으로 작동됩니다.
요즘의 신형엔진에 장착된 배기브레이크 작동레버는 4단까지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주로 리타더 옵션이 장착된 경우에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최고단수에서는 배기 브레이크와 리타더가 같이 작동하기에 풋브레이크의 부하를 줄여줍니다.
참고로, 리타더는 보조브레이크를 통칭하여 부르는 이름이고, 배기브레이크, 제이크브레이크, 인타더 등이 모두 해당됩니다.
요즘의 신형엔진에 장착된 배기브레이크 작동레버는 4단까지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주로 리타더 옵션이 장착된 경우에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최고단수에서는 배기 브레이크와 리타더가 같이 작동하기에 풋브레이크의 부하를 줄여줍니다.
참고로, 리타더는 보조브레이크를 통칭하여 부르는 이름이고, 배기브레이크, 제이크브레이크, 인타더 등이 모두 해당됩니다.
2008.02.14 10:14:46 (*.134.225.3)
테드 지식in을 보는 느낌 ^^
재미있는 정보 배웠습니다~
마을버스를 보니
하도 짧은거리에
계속 그쪽을 조작하시길레
비상등인줄 알고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정보 배웠습니다~
마을버스를 보니
하도 짧은거리에
계속 그쪽을 조작하시길레
비상등인줄 알고 있었습니다.
2008.02.14 14:00:05 (*.173.9.18)

부가적인 장치 설치로 인해 비용, 무게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겠지만 배기 브레이크 시스템을 승용차에 적용할 수는 없을까요? 더 나은 제동효율을 위해...
2008.02.14 16:04:45 (*.100.186.136)

아무래도 휘발유엔진에는 좀 무리가....그리고 배기계통에는 배기저항을 일으키는 큰저항물이니 무겁고 큰차에나 효과적입니다.... 경량차에는 큰 의미가 없네요
2008.02.15 09:44:57 (*.230.75.43)

배기브레이크를 온에 놔두면 엑셀오프시에 바로 작동되는군요. 오늘 역시 유심히 지켜본 결과 여기버스들은 풋브레이크를 밟을때만 배기브레이크 불이 켜졌습니다. 아마 풋브레이크와 배기브레이크가 연동할 수 있도록 세팅을 해놓은 것 같네요.
2008.02.15 10:01:11 (*.230.75.43)

주제를 벗어난 여담이지만, 레카로 시트와 ABS TCS등 전자 장비로 무장한 요즘 시내버스들이 대단함과 동시에 운전 또한 쉬워졌을거라 과감히 예상해봅니다. 하지만 눈길위에서 엑셀페달을 지긋이 누르시던 기사님과 현란하게 들리던 TCS 작동음이 약간은 낯설어 보이는건 저만 그런건지^^;
2008.02.15 13:02:08 (*.247.142.137)

대신 클러치 조작(변속)시 바로바로 풀리겠죠~
고속에서 걸었을 때 급울컥거림만 부드럽게 가능하다면
승용 차량에 적용해도 좋겠다라는 생각했었습니다.
마을버스(카운티 등)보다, 더욱 민감한 중대형 이상(라이노 등)
에어브레이크 사용 차량의 경험으로 보아 정말 필수 장비 같아요.
고속에서 걸었을 때 급울컥거림만 부드럽게 가능하다면
승용 차량에 적용해도 좋겠다라는 생각했었습니다.
마을버스(카운티 등)보다, 더욱 민감한 중대형 이상(라이노 등)
에어브레이크 사용 차량의 경험으로 보아 정말 필수 장비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