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k&n 습식 오픈 필터를 사용합니다..
동호회에서도 질문을 올려 어느 정도 주기에 세척하는 것이 좋을지 여쭈어 봤지만.. 각자가 다른 주기를 가진지라..^^(차정민님은 1년에 한 번 이라구 하셨지만..^^)
메뉴얼 상에는 16만키로까지 사용후 세척을 하라고 합니다..^^
근데 한국은 오염도가 심해서 주기가 3-4배 빨라야 한다는 의견도 있고
너무 신경 쓰지 않고 정말 차가 안나간다 느낄때 세척해도 된다는 의견이 있고..
다양한 의견이 테드의 고수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
어느 정도 주기가 적당할 지요?
동호회에서도 질문을 올려 어느 정도 주기에 세척하는 것이 좋을지 여쭈어 봤지만.. 각자가 다른 주기를 가진지라..^^(차정민님은 1년에 한 번 이라구 하셨지만..^^)
메뉴얼 상에는 16만키로까지 사용후 세척을 하라고 합니다..^^
근데 한국은 오염도가 심해서 주기가 3-4배 빨라야 한다는 의견도 있고
너무 신경 쓰지 않고 정말 차가 안나간다 느낄때 세척해도 된다는 의견이 있고..
다양한 의견이 테드의 고수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
어느 정도 주기가 적당할 지요?
2008.02.14 12:08:05 (*.20.191.218)

순정 필터의 경우 보통 미국에서 1만 5천마일 (2만4천 킬로)마다 교환하라고 하는 것을 보통 국내에서는 오일 교환시마다 교환을 하죠. -_- 8천으로 잡아도 3배 빠른겁니다. 제 생각에 K&N의 경우에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다만 K&N의 경우 어느정도 먼지가 묻어야 필터링을 더 잘해준다고 하니깐 너무 자주 세척을 하게 되면 오히려 먼지를 걸르는 능력이 조금이나마 떨어질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세척시 아주 조심해야 될 것은 새 오일을 바를 때 입니다. 과도하게 바르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과도한 오일도포는 에어플로우 센서및 에어 인테이크 오염을 유발합니다. 그것만 조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08.02.14 13:19:52 (*.155.138.149)

인성님 말씀에 덧붙이자면 2.0 na 에 k&n 대용량 타이푼필터를 한1년간 사용하였습니다. 주행환경은 경기지역 일반국도30, 중부고속도로50, 서울20 정도의 비율이었구요. 세척 후 오일도포한다음 주행하면 흡기음도 쉬잇~ 쉬잇~ 하며 거의 들리질 않지만 대략 5천킬로이상 타면 흡기음도 으러러렁~ 하고 거칠어지며 고알피엠에서도 왠지 좀 덜 뻗어나가는 느낌이었습니다. 흡기음 때문에 그렇게 느껴질 수도 있는 부분이라 확답은 드리지 못하지만 저는 대략 6~7천킬로 정도 주행 후에는 (아니면 오일 두번 교체할 때 한번정도) 세척후 재 오일 도포를 해줬습니다.
p.s 에어턱트를 다이렉트로 필터에 조준하고 있는 타입이라면(저처럼) 오염이 상당히 빨리
진행됩니다. 에어덕트쪽은 2천킬로정도만 주행해도 먼지로 떡져버려서 필터가 막히는게
보이더군요. 그래서 저의 세척 주기가 빨랐을 수도 있습니다.
p.s 에어턱트를 다이렉트로 필터에 조준하고 있는 타입이라면(저처럼) 오염이 상당히 빨리
진행됩니다. 에어덕트쪽은 2천킬로정도만 주행해도 먼지로 떡져버려서 필터가 막히는게
보이더군요. 그래서 저의 세척 주기가 빨랐을 수도 있습니다.
2008.02.14 16:42:07 (*.94.1.37)
K&N 필터는 그냥 본인이 보시고 많이 더러워졌다라고 생각하시면 세척하시면 됩니다..
오일교환시마다 에어건을 이용해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모래같은것은 꼭 청소해주시구요.. 그렇게 사용하시다보면 그냥 감이 오십니다..^^ 전민근님 말씀대로 에어덕트가 필터로 조준하고 있는경우 그 부분이 중점적으로 오염이 된답니다... 주기적으로 필터를 돌려가면서 사용하시면 좋구요... 그리고 중요한건 K&N 필터는 구입하셔서 새것으로 한참 사용하시다가 세척액을 이용해서 세척을 하기 시작하면 오염의 시간이 매우 단축됩니다. 도포한 오일로 인해서 더더욱 오염이 잘 되고 시커먼 먼지같은것이 더 잘 달라붙게 됩니다...
아마도 새것을 구입하셨다면 이거 언제 세척해야하나 걱정이 되시겠지만.. 공기로 잘 불어가면서 사용하시다가 크리닝킷을 이용하여 세척하시기 시작하면 그 뒤부터는 그냥 눈에 아~ 세척할때가 되었구나.. 라고 보입니다... (많이 더러워 지고 엔진이 답답해 하겠구나라고 느껴지더라구요..)
오일교환시마다 에어건을 이용해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모래같은것은 꼭 청소해주시구요.. 그렇게 사용하시다보면 그냥 감이 오십니다..^^ 전민근님 말씀대로 에어덕트가 필터로 조준하고 있는경우 그 부분이 중점적으로 오염이 된답니다... 주기적으로 필터를 돌려가면서 사용하시면 좋구요... 그리고 중요한건 K&N 필터는 구입하셔서 새것으로 한참 사용하시다가 세척액을 이용해서 세척을 하기 시작하면 오염의 시간이 매우 단축됩니다. 도포한 오일로 인해서 더더욱 오염이 잘 되고 시커먼 먼지같은것이 더 잘 달라붙게 됩니다...
아마도 새것을 구입하셨다면 이거 언제 세척해야하나 걱정이 되시겠지만.. 공기로 잘 불어가면서 사용하시다가 크리닝킷을 이용하여 세척하시기 시작하면 그 뒤부터는 그냥 눈에 아~ 세척할때가 되었구나.. 라고 보입니다... (많이 더러워 지고 엔진이 답답해 하겠구나라고 느껴지더라구요..)
2008.02.14 17:46:46 (*.147.3.120)

K&N 필터 메뉴얼에 보면 절대 압축공기를 사용하지 말라고 되어있던데요? 딴지는 절대 아니라..상관없나해서요? 저는 그냥 메뉴얼대로 청소합니다.
2008.02.14 18:35:43 (*.193.141.132)

조인성님 말씀처럼 k&n 필터의 구조상 먼지가 쌓이게 되면
그 먼지층이 또 다른 필터층을 형성하게 되어서 필터링 역활을
하게끔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어느정도는 괜찮은데, 주기가
너무 오래되면 필터링 성능보다는 흡입효율의 저하를 느낄수
있습니다. 일반 순정필터는 먼지가 쌓이면 홀이 막히는 구조라서
그 주기가 2500~5000km 사이에 이미 성능을 다했다고 보면되고,
k&n 필터는 세척이 필요한 시기까지 순정필터 새것의 80%의 효율을
보인다고 알려져있기 때문에 성능저하가 별로 몸으로 안느껴져서
세척주기가 길어질수도 있습니다. 어짜피 차 폐차할때까지 재세척
하면서 쓸수있기때문에 잘못된 사용으로 필터를 손상시키지 않는이상은
리스펀스가 좀 떨어진다고 느끼는 시점에서 오너가 스스로 주기를 찾아서
세척하는게 바람직한거 같습니다. 세척은 정말 쉬운작업이라...
힘드는것도 없구요^^ 다만 필터면을 상하게 할수있는 경유로 세척한던지
휘발성 물질이나 퐁퐁같은건 사용하면 안되고, 압축공기는 역시 쓰시면
필터망이 휘거나 필터면이 상합니다. 매뉴얼대로 하시면 필터가 자연건조
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여유가 있을때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 먼지층이 또 다른 필터층을 형성하게 되어서 필터링 역활을
하게끔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어느정도는 괜찮은데, 주기가
너무 오래되면 필터링 성능보다는 흡입효율의 저하를 느낄수
있습니다. 일반 순정필터는 먼지가 쌓이면 홀이 막히는 구조라서
그 주기가 2500~5000km 사이에 이미 성능을 다했다고 보면되고,
k&n 필터는 세척이 필요한 시기까지 순정필터 새것의 80%의 효율을
보인다고 알려져있기 때문에 성능저하가 별로 몸으로 안느껴져서
세척주기가 길어질수도 있습니다. 어짜피 차 폐차할때까지 재세척
하면서 쓸수있기때문에 잘못된 사용으로 필터를 손상시키지 않는이상은
리스펀스가 좀 떨어진다고 느끼는 시점에서 오너가 스스로 주기를 찾아서
세척하는게 바람직한거 같습니다. 세척은 정말 쉬운작업이라...
힘드는것도 없구요^^ 다만 필터면을 상하게 할수있는 경유로 세척한던지
휘발성 물질이나 퐁퐁같은건 사용하면 안되고, 압축공기는 역시 쓰시면
필터망이 휘거나 필터면이 상합니다. 매뉴얼대로 하시면 필터가 자연건조
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여유가 있을때 하시는게 좋습니다.
2008.02.15 01:37:35 (*.133.138.117)

예전에 K&N 오픈형 필터를 사용할적엔
평상시 5000km마다 황사때는 3000km마다 세척해 사용했습니다.. ^^;;
ps. 세척해서 100만마일 탄다는것은 8만마일마다 리차징을 해줬을때
이야기이고 한 20번쯤 빨면 버리시는게 좋습니다.. ㅎ
평상시 5000km마다 황사때는 3000km마다 세척해 사용했습니다.. ^^;;
ps. 세척해서 100만마일 탄다는것은 8만마일마다 리차징을 해줬을때
이야기이고 한 20번쯤 빨면 버리시는게 좋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