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고수님들 오늘도 한가지 질문입니다.
제차는 구형sm5 가스차입니다. brc 시퀀트 lpg 기체직분사로 개조한 차량입니다...
요즘 나오는 액상직분사(lpi, lpli)차 처럼 정밀한 제어는 불가능 하겠지만 시퀀트 서브 ecu로 나름 가솔린과 비슷한 출력을 사용하며 재미있게 타는 차입니다..
잘타던차.. 이제 플러그를 교환할 시기입니다..
배전기 관련 소모품과 배선도 함께 갈아 주었죠..
그런데 문제는 플러그입니다.
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플러그는 삼성 lpg전용차(믹서+기화기방식) 순정플러그 입니다. 가격도 4개 만원인 저렴한 일반플러그!!
일반 가솔린 플러그에 비해 간극이 좁은 lpg용 플러그지요..
순정 메뉴얼상 4만키로에 교환인 그런 플러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자주 교환하는 것도 귀찮아~ 좋아! 백금으로 갈아보자'는 맘에 뉴sm5 lpli용 백금플러그로 교환하였습니다.
뭐 백금이 전극도 매우 적어서 스파크 편차도 적으니 여러모로 좋겠구나 생각했습니다.
일단은 차량별 플러그 호완표를 보니까 뉴sm5 lpli나 구형sm5lpg나 같은 플러그를 쓰더군요(ngk, denso등등)
음 그럼 동일한 열가 동일한 저항으로 생각하고 뉴sm5 lpli 순정품을 썼습니다..(엔젤센터에 문의하니 모른다는.. 그냥 차종에 맞춰쓰라는^^)
이제는 2~3배의 주기로 교환하면 되겠구나 생각했죠..^^
하지만
문제는 차량의 특성이 현저하게 차이가 납니다.. 아니 둔한 사람은 못느끼지만 오너는 충분히 느낄만큼 차가 굼뜬 반응을 보입니다. 차가 안나가요..ㅜㅡ
토크감도 약하고 연비도 약간 하락한듯 합니다.. 개선 방안이 있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문제는
1. 플러그 간극 차이 (백금과 일반플러그 전극은 전도도 차이가 있으므로 일방적으로 일반형 플러그와 백금플러그의 간극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봄) 하여간 간극 조절
2. 구형 방식의 기화기 방식에 맞춰 설계된 플러그가 lpli용 플러그보다 더 나은 연소를 유도한다.. (교체)
3. 기타.... ig 부스터 같은 전압 상승 제품으로 연소 효율의 증가를 노린다
쓰고 보니 넉두리 비슷하지만 플러그에 관한 고수님들의 의견을 여쭙습니다..^^
제차는 구형sm5 가스차입니다. brc 시퀀트 lpg 기체직분사로 개조한 차량입니다...
요즘 나오는 액상직분사(lpi, lpli)차 처럼 정밀한 제어는 불가능 하겠지만 시퀀트 서브 ecu로 나름 가솔린과 비슷한 출력을 사용하며 재미있게 타는 차입니다..
잘타던차.. 이제 플러그를 교환할 시기입니다..
배전기 관련 소모품과 배선도 함께 갈아 주었죠..
그런데 문제는 플러그입니다.
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플러그는 삼성 lpg전용차(믹서+기화기방식) 순정플러그 입니다. 가격도 4개 만원인 저렴한 일반플러그!!
일반 가솔린 플러그에 비해 간극이 좁은 lpg용 플러그지요..
순정 메뉴얼상 4만키로에 교환인 그런 플러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자주 교환하는 것도 귀찮아~ 좋아! 백금으로 갈아보자'는 맘에 뉴sm5 lpli용 백금플러그로 교환하였습니다.
뭐 백금이 전극도 매우 적어서 스파크 편차도 적으니 여러모로 좋겠구나 생각했습니다.
일단은 차량별 플러그 호완표를 보니까 뉴sm5 lpli나 구형sm5lpg나 같은 플러그를 쓰더군요(ngk, denso등등)
음 그럼 동일한 열가 동일한 저항으로 생각하고 뉴sm5 lpli 순정품을 썼습니다..(엔젤센터에 문의하니 모른다는.. 그냥 차종에 맞춰쓰라는^^)
이제는 2~3배의 주기로 교환하면 되겠구나 생각했죠..^^
하지만
문제는 차량의 특성이 현저하게 차이가 납니다.. 아니 둔한 사람은 못느끼지만 오너는 충분히 느낄만큼 차가 굼뜬 반응을 보입니다. 차가 안나가요..ㅜㅡ
토크감도 약하고 연비도 약간 하락한듯 합니다.. 개선 방안이 있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문제는
1. 플러그 간극 차이 (백금과 일반플러그 전극은 전도도 차이가 있으므로 일방적으로 일반형 플러그와 백금플러그의 간극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봄) 하여간 간극 조절
2. 구형 방식의 기화기 방식에 맞춰 설계된 플러그가 lpli용 플러그보다 더 나은 연소를 유도한다.. (교체)
3. 기타.... ig 부스터 같은 전압 상승 제품으로 연소 효율의 증가를 노린다
쓰고 보니 넉두리 비슷하지만 플러그에 관한 고수님들의 의견을 여쭙습니다..^^
2008.02.15 12:31:09 (*.63.169.53)
감사합니다.. sm5는 비싼 케이블에도 트러블이 있는 차도 있다하여^^ 그냥 순정을 씁니다.. 터보차도 순정을 많이 쓰구요.. 케이블을 괜찮은데.. 플러그가~~
2008.02.15 12:55:42 (*.193.141.132)

구 sm5의 순정제원과 뉴 sm5가 호환이 될려면, 플러그의 나사선 지름과 나사선 길이가 같아야하고, 간극도 맞아야 합니다. 같은 sr20de 엔진이라 지름은 같더라고 하더라도 길이가 틀린경우도 있을수 있구요. 이건 확인해 보시고, 제원이 같은데 문제가 있는경우 간극이 틀린경우에 느낌이 틀려질수 있습니다. 또 열가가 덴소와 ngk는 열가표기가 틀리기 때문에 제원에 맞는걸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lpg라도 lpi엔진과 연소환경이 틀리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는 있구요. 교환주기 믿고 제원에 맞지않는 플러그를 사용하면, 오히려 수명이 더 떨어지고 플러그 팁이 날아가는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덴소 제품이라도 엔진마다 품번이 틀린만큼 제원에 맞는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는경우 순정보다 못한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2008.02.15 13:14:49 (*.229.116.62)

순정->백금->이리듐->레이싱용, 을 열가맞춰 순서대로 사용해봤는데, 백금, 이리듐의 경우.. 홍기환님 말씀처럼 뭔가 쫀쫀한(답답한) 느낌이 드는걸 체감했습니다. 고알피엠 영역의 내구성(지속성)만 중시하다 보니 그냥 무시하고 탔는데요.. 제 생각엔, 귀찮으시더라도 스페어 플러그 하나 구입하는셈 치고 순정을 다시 꼽아 정밀 비교해보시고, 신중히 선택하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순정을 선택하게 되시면, 백금은 호환되는 차종 가지신분께 저렴하게 팔거나 선물 하세요.ㅋ 백금 플러그가 아까워 다른방식으로 보완하려면, 점점 스트레스 받으실 듯 합니다. ^^
순정을 선택하게 되시면, 백금은 호환되는 차종 가지신분께 저렴하게 팔거나 선물 하세요.ㅋ 백금 플러그가 아까워 다른방식으로 보완하려면, 점점 스트레스 받으실 듯 합니다. ^^
2008.02.15 13:53:42 (*.20.191.21)

간극을 조정해주셔야 될 것 같습니다. 간극이 과도하게 좁아지면 토크가 떨어지는 느낌이 납니다. 너무 넓어지면 점화가 안되서 공연비 진해질 때 미스파이어링 나구요.
2008.02.15 18:21:31 (*.134.98.32)

저도 순정... 제 차 좋은거라고 플러그 바꿔 뀐 다음 교체시기가 와서 빼보니 플러그 끝부분에 까만 카본이 많이 끼어 있드라구요... 그전까지는 플러그 빼면 깨끗했거든요.. 우연일수도 있지만 그 다음 순정을 끼어도 카본이 계속 생기더라구요.... 한번 생긴 카본은 그다음에 계속 영향을 주거든요
2008.02.16 16:29:39 (*.123.179.177)

SR엔진 LPG타입 플러그가 아무래도 호환여부가 다른모양입니다... 전에 있던회사에서 플러그 수입할때 국내차종은 거의 호환이되나 삼성차종은 별도모델로 존재하구요.... 억지로 사용해서 테스트해도 좀 시원치않은 반응에 바레이션 늘리기가 싫어서 포기를 했씁니다... 다만 샘플용으로 있던 제품은 순정보다도 나은것 같았는데... 플러그저항값이 좀 다르던군요
자기차에 잘 맞는 제품이 가장 좋은듯.. 사제플러그달고 트러분생긴분들은 대부분 순정 교체후 증상이 나아지더라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