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기아 슈마 1.8 99년 4월식입니다. 차량 튜닝내역이 있어서 좀 복잡하긴 합니다만, 증상이 발생한 뒤 일부 변경내역을 순정화하여도 증상이 동일한 상황입니다. 배터리는 트렁크에 이동되어 있습니다.
ECU 리셋후 냉간시동시, 시동이 걸리는 듯 하다가 잠깐 주저하는 듯 한 느낌을 주고 회전수가 붕하고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직후에 시동 끄고 다시 걸면 바로 잘 걸립니다.
그 상태에서 에어컨을 켜면, (ISC가 열리면서) 오픈 흡기필터에서 공기를 더 빨려는 소리가 나고, 컴프레서 클러치가 붙는 소리도 나고, 컨덴서 팬이 돌기 시작하다가 바로 시동이 꺼집니다.
다시 시동을 걸어서 열을 올려서 냉각팬이 돌 시점이 되어, (ISC가 열리면서) 공기 빨아들이는 소리가 나고 냉각팬이 돌기 시작하다가 바로 시동이 꺼집니다.
별도로 설치한 컨덴서팬 강제구동 스위치를 계속 돌려서 냉각팬이 돌지 않게 만들고 운행을 하면서 살펴보면, 주행중에는 특별한 이상감은 없고, 산소센서 출력을 보는 게이지로 피드백 제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주행후에는 정차하면서 시동이 조용히 꺼집니다. 다시 걸어도 회전수가 올라갔다가 떨어지면서 공회전 회전수에 잠시 멈췄다가 다시 조용히 꺼집니다. 이때 경고등이 들어오는데, 코드를 진단커넥터의 진단 단자를 쇼트시켜 계기판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방법으로 확인해보면, 배터리 전압 이상(99번)으로 나옵니다.
이렇다면, 알터네이터 이상으로 볼 수도 있을까요? 시거잭에 장착한 전압계로는 그냥 정상처럼 보입니다만, 뭔가 잠깐씩 이상이 생기는 듯 합니다. 배선이상인 경우가 가장 골치아픈데, 무작정 갈기도 애매해서 다음 행보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재 ISC, TPS, O2 센서는 (교체시기가 되어서) 교체해본 상태인데, 차이는 없었습니다.
PCV 라인 2개를 모두 막아보면 상대적으로 열간시 공회전 유지능력은 좋아집니다만, 그래도 시동이 꺼집니다. 특히 정지하려고 할 때나, 주차중 파워 스티어링 부하가 가해지면서 후진하는 경우에 잘 꺼집니다.
연료펌프는 강제구동을 시켜보면 구동음이 잘 들리며, IG1으로 릴레이가 계속 동작하도록 연결해봐도 시동은 꺼집니다.
ECU 리셋후 냉간시동시, 시동이 걸리는 듯 하다가 잠깐 주저하는 듯 한 느낌을 주고 회전수가 붕하고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직후에 시동 끄고 다시 걸면 바로 잘 걸립니다.
그 상태에서 에어컨을 켜면, (ISC가 열리면서) 오픈 흡기필터에서 공기를 더 빨려는 소리가 나고, 컴프레서 클러치가 붙는 소리도 나고, 컨덴서 팬이 돌기 시작하다가 바로 시동이 꺼집니다.
다시 시동을 걸어서 열을 올려서 냉각팬이 돌 시점이 되어, (ISC가 열리면서) 공기 빨아들이는 소리가 나고 냉각팬이 돌기 시작하다가 바로 시동이 꺼집니다.
별도로 설치한 컨덴서팬 강제구동 스위치를 계속 돌려서 냉각팬이 돌지 않게 만들고 운행을 하면서 살펴보면, 주행중에는 특별한 이상감은 없고, 산소센서 출력을 보는 게이지로 피드백 제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주행후에는 정차하면서 시동이 조용히 꺼집니다. 다시 걸어도 회전수가 올라갔다가 떨어지면서 공회전 회전수에 잠시 멈췄다가 다시 조용히 꺼집니다. 이때 경고등이 들어오는데, 코드를 진단커넥터의 진단 단자를 쇼트시켜 계기판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방법으로 확인해보면, 배터리 전압 이상(99번)으로 나옵니다.
이렇다면, 알터네이터 이상으로 볼 수도 있을까요? 시거잭에 장착한 전압계로는 그냥 정상처럼 보입니다만, 뭔가 잠깐씩 이상이 생기는 듯 합니다. 배선이상인 경우가 가장 골치아픈데, 무작정 갈기도 애매해서 다음 행보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재 ISC, TPS, O2 센서는 (교체시기가 되어서) 교체해본 상태인데, 차이는 없었습니다.
PCV 라인 2개를 모두 막아보면 상대적으로 열간시 공회전 유지능력은 좋아집니다만, 그래도 시동이 꺼집니다. 특히 정지하려고 할 때나, 주차중 파워 스티어링 부하가 가해지면서 후진하는 경우에 잘 꺼집니다.
연료펌프는 강제구동을 시켜보면 구동음이 잘 들리며, IG1으로 릴레이가 계속 동작하도록 연결해봐도 시동은 꺼집니다.
2008.02.15 14:13:43 (*.20.191.21)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시동시 현상은 마치 배터리가 약한거 처럼 들리네요? 그럼 충전시스템이나 배터리쪽은 아닐까요? 배터리만 쌩쌩해도 보통 전압이 떨어지면서 엔진경고등이 들어와서 그렇지 공회전은 계속 되어야 합니다. 배터리에서 엔진룸쪽으로 오는 배선도 한번 잘 살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쓰로틀 바디 청소 같은 것은 문제 해결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한번 하셔서 가능성을 없애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슈마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미쯔비시 엔진의 경우 (현대 엔진도 비슷한 증상이 있다고 들어본 것 같습니다만) 고정적으로 공기가 바이패스하는 볼트가 있습니다. 이걸 열고 닫으면 공회전시 rpm이 조금씩 변하는데요, 여기에 카본이 잔뜩 끼면 공회전이 불안해지고 급기가 시동이 꺼지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대신 이 경우는 공회전 rpm이 낮아지는 것이 보입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아니겠군요. -_- 그리고 아큐라 CL의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 (키 돌리는 곳)이 불량이라서 정말 아무런 이유가 없이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스위치 바꾸고 완전히 문제가 해결 된 적도 있구요. 연료문제라면는 일반 주행시에 확실히 더 심해질테니깐 아닐테구요, 공기 (진공관이나 카본축적으로 인한 막힘) 가 아니면 점화 및 전기 계통일 것 같습니다.
2008.02.15 14:22:01 (*.20.191.21)

혹시 엔진 경고등이 시동꺼진 후 들어오고는 시동을 켜면 다시 없어지나요? 보통 OBD-2 엔진 경고등이라면 문제가 해결이 되더라도 바로 안꺼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엔진이 껐다가 완전히 웜엄 상태로 이르는 사이클을 2~3회 반복할 때까지도 문제가 재발하지 않아야만 경고등이 꺼지는 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그래서 계속해서 경고등이 들어와 있다면 발전기 문제가 맞을 듯 하구요. 하지만 아까도 말씀 드렸듯이 발전기가 제 전압을 못준다고 하더라도 배터리가 계속 시동은 유지해줍니다. 그러므로 배터리 자체나 배터리 연결선도 정상은 아닐 것 같습니다. (충전과 배터리 쪽 문제라면 말이죠.) 큰 고생없이 문제 해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2008.02.15 14:26:10 (*.12.196.12)

쓰로틀 밸브 멈춤볼트를 돌려서 조정해 보면, 어느 정도 이상으로 개도시키면 바로 시동유지가 곤란해지는 지점이 있습니다. 그 지점까지 가지 않으면 적어도 시동이 유지되는, 경고등 들어오기 전의 열간 상태인데, 볼트를 돌려서 밸브를 조금 더 열면 조용히 꺼집니다. 혹은 풀리를 아주 살짝 돌려서 비슷한 수준으로 열어줘도 꺼집니다.
배터리가 그 숱한 재시동 조건에도 불구하고 살아 있는 것을 보면, 용량 자체는 문제가 없지 않나 생각이 드는데, 트렁크로 옮긴지 9년째이므로 배선에 문제가 생겼을지도 모를 일이긴 합니다.
배터리가 그 숱한 재시동 조건에도 불구하고 살아 있는 것을 보면, 용량 자체는 문제가 없지 않나 생각이 드는데, 트렁크로 옮긴지 9년째이므로 배선에 문제가 생겼을지도 모를 일이긴 합니다.
2008.02.15 15:07:56 (*.193.141.132)

아이들 센서가 정상이라면 그것을 피드백해주는 ecu가 문제가 있거나 배선이 중간에 단선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2008.02.15 15:25:36 (*.12.196.12)

ISC 커넥터를 빼면 시동이 꺼집니다. ISC 관련코드(단선,합선 등)는 들어온 적이 없고요.
ECU 2개가 동일증상입니다.
ECU 2개가 동일증상입니다.
2008.02.15 15:38:29 (*.20.191.21)

공기패스를 열어주면 오히려 rpm이 살아나면서 올라가야 하는 것으로 보아 일단 카본 축적이나 공기가 모자라서 생기는 현상은 아닌 것 같습니다. 오히려 공기가들어 올 때 공연비를 못맞춰준다면 연료계통일 가능성은 없는지요? 평소 주행에는 문제가 없는 것이지요? 에어 플로우 센서가 오염되거나 문제가 생기면 역시나 공회전 불안 내지는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하지만 아마도 주행중에도 영향이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체크해보셔서 나쁠 것은 없으니깐 에어플로우 센서 오염 정도나 제대로 동작 여부를 한번 보시지요. ^^
2008.02.15 15:54:05 (*.12.196.12)

주행 자체는 괜찮습니다. 만일 가속중 약간 저는 증세가 생길 때면 배터리 전압 이상 코드가 뜹니다.
MAF 센서는 어제 순정 하우징으로 되돌리면서 봤는데 깨끗했었고, 세척도 했습니다.
인젝터 문제가 아닌가 싶어서 용량 작은 (순정에 가까운) 인젝터로 바꾸면서 ECU 맵도 새로 바꿨는데 증상은 동일한 것으로 보아서 인젝터 단품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인젝터 배선도 점검했을 때 일단은 괜찮았었고요.
연료펌프가 문제라면 달릴 때 표시가 날텐데, 그렇지도 않네요.
배선이 낡은 것과 기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오비이락이 된 것 같은데, 차를 새로 만들 수도 없고, 고민입니다.
MAF 센서는 어제 순정 하우징으로 되돌리면서 봤는데 깨끗했었고, 세척도 했습니다.
인젝터 문제가 아닌가 싶어서 용량 작은 (순정에 가까운) 인젝터로 바꾸면서 ECU 맵도 새로 바꿨는데 증상은 동일한 것으로 보아서 인젝터 단품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인젝터 배선도 점검했을 때 일단은 괜찮았었고요.
연료펌프가 문제라면 달릴 때 표시가 날텐데, 그렇지도 않네요.
배선이 낡은 것과 기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오비이락이 된 것 같은데, 차를 새로 만들 수도 없고, 고민입니다.
2008.02.15 16:04:27 (*.20.191.21)

그렇군요, 정말 많은 고민을 하시면서 해결 시도를 하셨나 봅니다. 제 생각에 발전기를 일단 테스트 해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전압도 전압이지만 전류가 제대로 용량대로 나오는지 보셔야 될 것 같구요, 배터리쪽 배선도 노후했다면 큰 공사이긴 하지만 용량도 크고 절연이 잘 되어있는 것으로 교환을 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008.02.15 16:28:07 (*.12.196.12)

저도 발전기 용량에 의심이 갑니다. 대략 30A 넘는 수준까지도 직접 냉각팬 구동시켜서 돌릴 때는 괜찮습니다. 그러나, ECU에서 냉각팬 제어를 하게 되면 갑자기 전류계 바늘이 40A 이상으로 튀게 되는데, 이때 시동이 꺼집니다. 에어컨이야 켜지는 순간에는 거의 100A까지 바늘이 튀므로, 용량이 딸린다면 방법이 없겠죠.
2008.02.15 16:56:42 (*.20.191.21)

그렇군요. 트렁크에 배터리가 있으면 무게배분상 확실히 이득입니다만, 많은 양의 전류가 흘러야 하기 때문에 배선에 부담이 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순식간에 많은 전류가 필요하면 발전기가 감당을 못하더라도 배터리에서 도와줘야 하는데 그러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 기회에 오디오 하시는 분들처럼 엔진룸쪽에다가 전원부와 접지부 사이에 대용량 축전기 (캐패시터)를 달아보시면 어떨까요? ^^ 확실히 전류 펄스 부분에 대해서는 도움이 될겁니다.
2008.02.15 18:03:37 (*.20.191.21)

오! 훨씬 훌륭한 방법입니다. 오디오나 전기 장치가 많으시다면 트렁크에는 60~80Ah 짜리도 큰 무리는 없을 듯 보입니다. 어차피 무게 배분상 여전히 앞이 무거울 테니깐요. ^^ 오딧세이의 경우도 조그만 레이싱 배터리만 가볍지, 풀 사이즈는 여전히 무겁거나 더 무겁습니다. 하지만 확실히 갑작스런 전류 사용에 대한 능력은 뛰어났던 것 같습니다.
2008.02.15 22:03:32 (*.130.122.141)

크랭크각 센서는 06년 11월에 괜히 교체했었는데, 아직 배선이나 신호 파형 체크는 해 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베타 엔진처럼 크랭크각 센서에 관한 오류가 알려진 적은 없습니다.
2008.02.16 01:49:32 (*.129.242.238)
공자 앞에서 풍월 읊는 격이지만 ㅡㅡ; 저도 예전에 tsd엔진에 삽질 조금 해 본 경험으로는 비슷한 증상을 쓰로틀 밸브 스크류로 그냥 해결했었습니다. 당시에 겨울에 계속 강원도에 계속 머물고 하던 시절이라 요즘처럼 항상 기온이 영하인 것도 조건이 비슷하네요. 정비소 들르기도 마땅치 않아서 스크류를 확 열고 알피엠 오른 상태에서 다니다가 보면 아이들이 잡혀서 신경 껐던 기억이 납니다.(날씨 풀리고 다시 복구했고요) 당시에 아이들 잡는 알고리즘을 잘 몰라서 고민하다 관둔 기억이 나네요. 개인적으로 요즘 날씨가 조금 의심됩니다만..
2008.02.16 12:13:11 (*.13.104.102)
바테리전압이 과부하시 충분치 않아서 그런거 같은데요.
아날로그나 , 디지탈이나 그냥 볼트메타론 전압의 순간적인 변동을 찾을수 없읍니다.
로거 기능이 있는 DMM 으로 전압을 모니터링 해봐야 될거같습니다.
순간적인 돌입전류로 인하 전압강하, ecu 리셋 이 반복되는것이 아닌가 하네요.
오딧세이 바테리에 관한이야기 인데요.
이바테리는 사실은 딥방전시 조금더 다른 바테리에 비해 더 버틴다는 점말고
드라이셀이라 장착시 일반바테리에 비해 장착포지션이 자유롭다는것 말고는 특별히 다를게 없는 바테리입니다.
트렁크에 바테리 다셨으면 꽤 두꺼운 배선으로 해야 충분히 전력이 공급됩니다.
저도 바테리 옮긴지 5년도 더됬는데. 전혀문제가 된적은 없었습니다만,
저의 경우는 제일 두꺼운 배선을 사용했습니다. 외부에 노이즈 방출도 염려되어 쉴드선도 수작업으로 씌어놓고, 수축튜브로 마감을 했는데.(지금생각해도 닭질)
바테리를 알터에 가까운 쪽으로 이동을 시켜보시고 확인이 필요할듯 합니다.
아날로그나 , 디지탈이나 그냥 볼트메타론 전압의 순간적인 변동을 찾을수 없읍니다.
로거 기능이 있는 DMM 으로 전압을 모니터링 해봐야 될거같습니다.
순간적인 돌입전류로 인하 전압강하, ecu 리셋 이 반복되는것이 아닌가 하네요.
오딧세이 바테리에 관한이야기 인데요.
이바테리는 사실은 딥방전시 조금더 다른 바테리에 비해 더 버틴다는 점말고
드라이셀이라 장착시 일반바테리에 비해 장착포지션이 자유롭다는것 말고는 특별히 다를게 없는 바테리입니다.
트렁크에 바테리 다셨으면 꽤 두꺼운 배선으로 해야 충분히 전력이 공급됩니다.
저도 바테리 옮긴지 5년도 더됬는데. 전혀문제가 된적은 없었습니다만,
저의 경우는 제일 두꺼운 배선을 사용했습니다. 외부에 노이즈 방출도 염려되어 쉴드선도 수작업으로 씌어놓고, 수축튜브로 마감을 했는데.(지금생각해도 닭질)
바테리를 알터에 가까운 쪽으로 이동을 시켜보시고 확인이 필요할듯 합니다.
2008.02.16 14:18:30 (*.130.122.141)

저는 용접선으로 +, - 모두 연결해서 9년째 사용중인데, 작년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었죠. 내구연한에 다다랐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단 배터리는 문제 발생 초기에 60Ah 일반 배터리로 되돌려둔 상태입니다. 그래도 증세가 호전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서는 배선을 갈아볼 필요는 있는 듯 합니다.
일단 배터리는 문제 발생 초기에 60Ah 일반 배터리로 되돌려둔 상태입니다. 그래도 증세가 호전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서는 배선을 갈아볼 필요는 있는 듯 합니다.
2008.02.17 01:43:46 (*.176.80.123)
한조님.. 조금은 위험한(?) 행동일수 있겠는데요.... 다른차의 도움을 받을수 있는.. 즉 정차시에도 문제가 발생이 된다면... 다른차의 발전기의 도움으로 테스트 해보시는것은 어떨까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점프를 하면서 다른차의 RPM을 높혀서 충분히 발전을 시키고 그쪽에서 넘어오는 선을 한조님차의 발전기 부분의+ 선과 연결을 하면 어떨까요??
배터리의 선의 정상이라고 생각되시면 배터리에 점프를 하셔도 되구요... 꼭~ 다른차의 RPM이 높아야하며 점프 케이블은 좀 좋은것으로 쓰셔야 테스트가 될것 같습니다.
용접선의 내구연한문제는 아닌것 같은데요..^^ 아참.. 혹시 밧데리 케이블을 다시 설치 하실꺼라면 체어맨 순정밧데리 케이블도 한번 알아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차량용이고 순정제품이다보니.. 차량용이 아닌 용접선보단 검증이 되었을것 같아서요..
배터리의 선의 정상이라고 생각되시면 배터리에 점프를 하셔도 되구요... 꼭~ 다른차의 RPM이 높아야하며 점프 케이블은 좀 좋은것으로 쓰셔야 테스트가 될것 같습니다.
용접선의 내구연한문제는 아닌것 같은데요..^^ 아참.. 혹시 밧데리 케이블을 다시 설치 하실꺼라면 체어맨 순정밧데리 케이블도 한번 알아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차량용이고 순정제품이다보니.. 차량용이 아닌 용접선보단 검증이 되었을것 같아서요..
2008.02.17 03:06:06 (*.51.227.72)
질문과는 관련없는 답변입니다만은...
차에관한 울 횐님들 지식은 정말 쵝오입니다~~(다들 전공하신듯;;)
거기다 다른횐님들 문제점 해결해주실려는 애정은 더 쵝오~~^^
차에관한 울 횐님들 지식은 정말 쵝오입니다~~(다들 전공하신듯;;)
거기다 다른횐님들 문제점 해결해주실려는 애정은 더 쵝오~~^^
2008.02.17 11:24:40 (*.130.122.141)

드디어 원인이 나왔습니다. 시동이 꺼지는 상태에서, ECU 전원공급선이 키 온만으로 18V가 뜨더군요. 백업전원선은 12V인데 말이죠.
냉각팬 릴레이가 과열되어서 그쪽 배선을 퓨즈박스 외부로 돌렸었는데, 그 작업을 할 때 배선이 특이하게 합선된 모양입니다. 일단은 ECU 전원공급을 키박스쪽 IG1에서 빼서 연결했습니다. 정확한 합선부위는 차근차근 찾아봐야죠.
새벽에 삽질했더니 온몸이 쑤십니다. 조언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냉각팬 릴레이가 과열되어서 그쪽 배선을 퓨즈박스 외부로 돌렸었는데, 그 작업을 할 때 배선이 특이하게 합선된 모양입니다. 일단은 ECU 전원공급을 키박스쪽 IG1에서 빼서 연결했습니다. 정확한 합선부위는 차근차근 찾아봐야죠.
새벽에 삽질했더니 온몸이 쑤십니다. 조언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2008.02.17 19:27:25 (*.165.127.80)
배터리 배선의 경우 체어맨도 뒤에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동사의 이스타나는 순정이
뒤에 있습니다. 봉고차라 길이도 길테니 배터리 뒤로 옮기시는 분들은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듯 싶네요. 뭐 안정성 등에서는 묻지마 케이블보다 월등하다 봅니다.
뒤에 있습니다. 봉고차라 길이도 길테니 배터리 뒤로 옮기시는 분들은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듯 싶네요. 뭐 안정성 등에서는 묻지마 케이블보다 월등하다 봅니다.
2008.02.17 22:10:52 (*.172.222.119)

원인 찾으신거 축하드립니다. 전기 관련 문제는 항상 골치가 아픕니다. 배선이 어디 한두개라야 말이죠. 전기가 흐르는 것은 눈으로 보이지도 않고. 합선부분 잘 찾으셔서 버그박멸하시길 바랍니다. ^^
제껀 이제 카본 청소는 해봐야 효과도 없고.. 내일 스로틀 바디 모듈 교환하기로 예약되었습니다. 거기에 눌러붙은 휴즈박스까징... o(T^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