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에서 6단변속기를 작게 만들었다길래 생각을 해 봤습니다.
동력축에 기어 6개가 달려 있고, 전달쪽 축에 다시 6개의 기어가 달려있어서 순서대로 변속이 되겠지요. 1-2-3-4-5-6.
시내 주행 가감속 상황이면 2-3-4-3-4-3-4-5-4-3-2 이렇게 연속적으로요.

갑자기 18단기어 자전거가 생각나더군요. 18단이 연속으로 있는 게 아니라, 3*6단 아닙니까.
즉, 2*3단은 종감속을 2개 두는 것이죠.
1-2-3단은 기존 메커니즘대로 변속을 하고, 클러치는 종감속과 기존 기어 사이에서 동력을 끊었다가 이었다가 합니다. 4단 이상 올라갈 경우 종감속이 낮은 비율에서 높은 비율로 옮아감과 동시에 다시 기존 기어는 3단에서 1단으로 돌아가는 것이죠.
문제를 생각해 보니, 3단과 4단 사이 변속할 때 hysterisis가 우려되고, 클러치를 2개 쓴다는 게 DSG마냥 병렬이 아니라 직렬로 존재하는 게 가능할까 등이 되더군요.

18단기어야 옛날부터 있었던 것이니 이런 생각은 수 십 년 전에 누군가가 했을 것이고, 제가 기계를 잘 모르다 보니 이런 류의 변속기가 이미 나왔다가 사라졌을 수도 있겠지요.
어쨌든 이런 메커니즘이 잘 구현되면 8단도 쉽게 나올 수 있겠죠. 4*2단이니까요.

이런 변속기가 존재했나요? 만약 안 된다면 제가 생각했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