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rs4를 입양하여 약 3000키로 정도 운행하였습니다..총 주행거리는 9700키로 정도 되구요...출고된지는 6개월된 차량입니다. 임포터인 아우디코리아 소유의 차량을 인수했습니다.
나름 수동 운전에 자신이 있어서 인수하였고, 기존의 수동차들도 6~7만키로까지 디스크를 간적이 없었습니다.
반클러치를 잘 쓰지 않고 더블클러치로 쉬프트 다운하고....게다가 고가의 차라 정말로 조심조심 운전하였습니다..(겨울이어서 솔직히 쏠 시간도 없었습니다.)
저번주 목요일 아침 출근길에 갑자기 기어가 뻑뻑하더군요...
처음 겪는 일이라 '미션오일이나 갈아줄까??'하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약 10여분 운행을 더하자 아예 기어가 들어가지를 않는겁니다..
즉시 렉카차를 불러 서초 센터에 입고를 하였고, 서초센터에서는 클러치디스크가 나간것 같은데, 소비자 과실이니 돈을 내야 한다고 합니다.
약 1시간 반정도 항의를 했습니다... 아무리 고출력 차라 하여도 2~3만키로 안타고 디스크가 나가는게 말이되냐고...
어드바이저 분도 이런일은 처음이라고 하셨습니다.. TT나 s4 등 기타 다른 수동차도 이런일로 들어온적은 없다고...
한 3만키로 정도 타고난 후에 이런일이 발생했으면 제 과실일 수도 있겠구나 했을겁니다...
게다가 징후가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불과 10여분만에 완전히 맛이가서 기어가 들어가지 않는다는건 다른 문제가 있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제가 인수하기전에 벌써 2번이나 참존 송파서비스에서 클러치디스크판과 플라이휠을 교환했었습니다.
교환비용은 아우디코리아에서 처리했다고 하네요...보증수리건인지 애매한 상황입니다...
제 상식으로는 아무리 수동이 미숙하다하여도 만키로도 안된상황에 디스크를 3번이나 교환해야 하는것이 정상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정상이라면, 앞으로도 계속 이런상황이 반복될텐데....계속 차를 타야할지도 고민입니다.
현재 차량은 서초센터에 있는데, 송파 참존에서 뜯었던 차니 자기들은 AS를 해줄수 없다고 송파로 가지고 가라고 하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갑갑한 상황입니다.
회원님들중에 좋은 해결방안이 있으신분들의 도움을 기다리겠습니다.
나름 수동 운전에 자신이 있어서 인수하였고, 기존의 수동차들도 6~7만키로까지 디스크를 간적이 없었습니다.
반클러치를 잘 쓰지 않고 더블클러치로 쉬프트 다운하고....게다가 고가의 차라 정말로 조심조심 운전하였습니다..(겨울이어서 솔직히 쏠 시간도 없었습니다.)
저번주 목요일 아침 출근길에 갑자기 기어가 뻑뻑하더군요...
처음 겪는 일이라 '미션오일이나 갈아줄까??'하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약 10여분 운행을 더하자 아예 기어가 들어가지를 않는겁니다..
즉시 렉카차를 불러 서초 센터에 입고를 하였고, 서초센터에서는 클러치디스크가 나간것 같은데, 소비자 과실이니 돈을 내야 한다고 합니다.
약 1시간 반정도 항의를 했습니다... 아무리 고출력 차라 하여도 2~3만키로 안타고 디스크가 나가는게 말이되냐고...
어드바이저 분도 이런일은 처음이라고 하셨습니다.. TT나 s4 등 기타 다른 수동차도 이런일로 들어온적은 없다고...
한 3만키로 정도 타고난 후에 이런일이 발생했으면 제 과실일 수도 있겠구나 했을겁니다...
게다가 징후가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불과 10여분만에 완전히 맛이가서 기어가 들어가지 않는다는건 다른 문제가 있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제가 인수하기전에 벌써 2번이나 참존 송파서비스에서 클러치디스크판과 플라이휠을 교환했었습니다.
교환비용은 아우디코리아에서 처리했다고 하네요...보증수리건인지 애매한 상황입니다...
제 상식으로는 아무리 수동이 미숙하다하여도 만키로도 안된상황에 디스크를 3번이나 교환해야 하는것이 정상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정상이라면, 앞으로도 계속 이런상황이 반복될텐데....계속 차를 타야할지도 고민입니다.
현재 차량은 서초센터에 있는데, 송파 참존에서 뜯었던 차니 자기들은 AS를 해줄수 없다고 송파로 가지고 가라고 하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갑갑한 상황입니다.
회원님들중에 좋은 해결방안이 있으신분들의 도움을 기다리겠습니다.
2008.03.24 12:57:32 (*.229.116.62)

당연히 보증수리로 받아야 합니다.
반복적인 클러치교환이 필요하다면, 밋션 자체 결함일 수 있겠네요. 한번더 클러치와 플라이휠 교환을 해보고, 문제가 생긴다면 밋션 통째교환을 요구하세요. 클러치 마모로 인한 수리라면 모를까, 운행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한건 AS 요구를 해야합니다. E46 M3 엔진밋션 두세번씩 깨먹고(드라이버 문제였음에도)AS교환한 케이스도 봤습니다.
반복적인 클러치교환이 필요하다면, 밋션 자체 결함일 수 있겠네요. 한번더 클러치와 플라이휠 교환을 해보고, 문제가 생긴다면 밋션 통째교환을 요구하세요. 클러치 마모로 인한 수리라면 모를까, 운행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한건 AS 요구를 해야합니다. E46 M3 엔진밋션 두세번씩 깨먹고(드라이버 문제였음에도)AS교환한 케이스도 봤습니다.
2008.03.24 13:08:42 (*.229.116.62)

먼저 수리했던 지정공장에 보내는건 이해가 됩니다.
조립상에 하자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다른 AS에서 리스크를 안을 순 없거든요. 클러치의 경우, 먼저 운전자의 잘못일수도 있습니다. 열화가 심하게 진행되었던 클러치는 나중에라도 한방에 바그라질수 있어서요. 글치만 420 마력 RS4 의 클러치가 그정도로 서버리는건 밋션이 애초불량일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조립상에 하자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다른 AS에서 리스크를 안을 순 없거든요. 클러치의 경우, 먼저 운전자의 잘못일수도 있습니다. 열화가 심하게 진행되었던 클러치는 나중에라도 한방에 바그라질수 있어서요. 글치만 420 마력 RS4 의 클러치가 그정도로 서버리는건 밋션이 애초불량일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2008.03.24 13:32:57 (*.192.187.141)

아우디코리아의 차량을 인수하셨다면 PR용 시승차를 인수하셨다는 말씀인가요? 그렇다면 시승기 쓰는 각 미디어 담당자에게 시승대여해주는 차량들이라 클러치를 조심히 다루진 않았을껍니다.. 참고로 플라이휠이 제대로 조립되어 있는지도 같이 확인해봐야할듯합니다..
2008.03.24 13:37:24 (*.192.187.141)

즉, 위의 경우라면 곽게민님께서 인수하시기 전에 이미 클러치 상태가 안좋았을수 있기에, 이번에 보증수리받고 1인 운행을 하시면서 경과를 지켜봐야하지않을까싶네요..
2008.03.24 13:44:11 (*.229.116.62)

시승용차는 아니고 아우디 코리아 임원분이 소유했던 차라고 들었는데요.. 보통 시승차 운영이 어려운 고가 모델은, 임원들이 소유하면서 레어한 고객을 위해 시승용으로 내주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억대 차 산다는데..당근 협조하는거죠. But.. RS4 타보려는 시승요청자 분들은..얌전히 밟지 않을게 뻔하니.. ^^
주영님 의견처럼, 일단 AS 꼭 받으시면서.. 차기 문제발생시 밋션 풀교환을 요구하겠다고 인식을 주는게 필요할 듯 합니다.
주영님 의견처럼, 일단 AS 꼭 받으시면서.. 차기 문제발생시 밋션 풀교환을 요구하겠다고 인식을 주는게 필요할 듯 합니다.
2008.03.24 13:50:21 (*.183.139.52)

제 생각도 이전의 시승자가 있었다면, 그 분을 의심해보아야 하지 않나 싶네요. 클러치 교환때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겠구요. 순정클러치 내구성이 그정도밖에 안된다는건.. 좀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페라리라면 뭐 가능할수도 있겠지만요.
2008.03.24 14:29:25 (*.129.185.29)

리플달고 생각해보니 따로 돈 들일 필요가 없겠네요. 견인도 당연 그쪽에서 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흠.. 한두푼 하는 차도 아니고, 사용자 과실도 더더욱이 아닌 것 처럼 보이는데 말이지요. (차를 암만 험하게 몰았다고 해도 좀 상식선 밖이 아닙니까? 클러치 수명이;; 초보라면 클러치 태워먹을 수도 있지만 그것도 아니고..)
2008.03.24 14:29:54 (*.20.191.101)

당연히 정상적인 마모나 운전자의 잘못으로 인한 고장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주행거리가 아주 낮은 차량이 벌써 두번이나 클러치 교환을 했다면 뭔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보통 고출력 AWD 차량이 클러치에 무리가 가는 것은 사실입니다. 보통 FWD나 RWD는 왠만한 토크에서는 타이어가 밀리면서 구동계쪽 부담을 덜어주는데 AWD는 왠만해서는 타이어가 안밀리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보통 클러치의 조기 마모의 이유를 보면 잦은 드래그 스타트로 인한 과도한 반클러치 사용등의 운전자의 드라이빙에 인한 이유도 있습니다만, 클러치 유격 조정이 안되어서 클러치를 밟아도 클러치가 제대로 안떨어지거나, 반대로 클러치가 너무 유격이 없어서 클러치를 떼도 제대로 붙어있지를 않아서 평소 주행시에도 마모가 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들에서는 클러치 디스크만 간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구요, 클러치 페달 유격조정과 유압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레이싱 뛰는 차량도 아니고 만킬로도 안된차에 클러치 3번 교환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2008.03.24 16:03:25 (*.32.163.3)

아무리 험하게 차를 몰았다쳐도, 만키로도 안된 차가 인수하시기 전에 클러치셋을 두 번이나 교환하였다면 분명 작업상의 문제이든, 기계적인 결함이든 뭔가 하자가 있어보입니다.
300~400마력씩 터보튠된 국산 터보차량들도 클러치는 2만키로 이상 아무문제없이 타지않습니까..클러치셋을 두번씩이나 교환했던 이력을 잘 이용(?)하셔서 최대한 보증수리 쪽으로 유도하셔야겠네요.
300~400마력씩 터보튠된 국산 터보차량들도 클러치는 2만키로 이상 아무문제없이 타지않습니까..클러치셋을 두번씩이나 교환했던 이력을 잘 이용(?)하셔서 최대한 보증수리 쪽으로 유도하셔야겠네요.
2008.03.24 17:28:11 (*.110.246.152)
수리후 부품에 대한 보증은 6개월인가로 알고 있습니다. 클러치는 생각하기 나름 이겠지요... 참존송파로 가셔서 언제 마지막으로 손을 봤는지 알아보시고 .. 문제를 그쪽에서 해결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디스크 문제인지.. 다른 문제인지.. 어떤분은 수동클러치 디스크를 2-3000킬로에 작살을 내는경우도 봤습니다. 전 차주의 습성이 어떨지... 의심 스럽군요..
2008.03.24 19:00:15 (*.145.162.179)

뭐 1만K 는 커녕 갈고 나서 하루밤에도 다 태워먹을 수 있습니다. PR 차량으로 수동차량을 써보면 단시간내에 잘 하지도 못하면서 0-100k 열 몇번.. 힐앤토 수십번 삑사리.. 급가속하면서 리어가 흔들리는 것을 시도 수십번.. 등에 신호등에 걸리면 그냥 1단에 넣어놓고 반클리치.. 등 상상 이상의 일들이 비일비재합니다. 뭐 시승하는 분들도 마찬가지구요. 시승자 교체해가면서 운전하면 한 3시간이면 바로 클러치 다 쓸 수도 있습니다. (실제 시승회를 해봤더니.. 그렇더군요) 특히나 요즘엔 수동차도 별로 없고 해서 운전할 기회도 없으니 아예 어케 운전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젊은 매니아들도 많고 .. 예전에 수동 운전하시던 나이드신 분들도 많이 까먹고 .. 특히 이분들은 큰 토크의 수동차를 운전 안해봐서 반클러치를 오래 쓰면서 출발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느끼고 계시죠.. 예전에 1.5리터급 수동차들은 시동을 안 꺼트리려면 오래 반클러치를 쓰곤 했으니까.. 고배기량의 차일 수록 조금 충격이 가더라도 즉시 즉시 클러치를 붙여줘야 합니다. 고배기량 고토크 차량은 조금의 슬립으로도 타는 냄새는 흥건히 날 수 있습니다. 원만히 해결되길 기원합니다. 구매시 클러치 디스크는 1번 교환권을 달라고 했으면 좋았을 뻔 했습니다.
2008.03.24 20:22:06 (*.178.193.68)
뭐 아우디는 엔진이 450마력이면 600마력을 견디는 밋션이 있어야 올린다는다는 말이 있던데.... 요새 제 주변의 아우디 입김 들어간 차들이 맨날 뻑소리만 내더군요....뭐 뽑기운이 나쁘신건지는 모르겠지만 차량에 문제가 있어 보이네요. 물론 진짜로 살살 몰으셨는데 클러치가 뻘짓한다는 사실하에 말입니다.
2008.03.25 00:54:22 (*.229.116.62)

종권님 얘기 읽고보니, 진짜 그렇네요.
생각보다 시승할때 함부로 다루는 오너들이 꽤 많더라고요.. 아우디 드라이빙 행사등, 서킷이벤트에 노출됐던 차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이력을 다시한번 점검 해보셔야 할 듯.
생각보다 시승할때 함부로 다루는 오너들이 꽤 많더라고요.. 아우디 드라이빙 행사등, 서킷이벤트에 노출됐던 차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이력을 다시한번 점검 해보셔야 할 듯.
2008.03.25 14:53:09 (*.198.128.167)

RS4 무슨색 인가요? 위에 이종권님 말씀대로 RS4 같은 고출력 차들은 (PR용 시승차라면 저도 두번 정도 몰아봤지만..^^) 운전자에 따라서 클러치 바로 나갈 수 있습니다. 옛날에 Z8 국내 미디어 시승회때 새차였는 데 중간에 클러치 나갔었죠... 저 역시도 시승하시는 처지지만... 주변을 보면 클러치 냄새가 날 정도로 반클러치 쓰는 사람들도 많고... 단지 수동 운전을 '할 줄 안다'와 '다룰 줄 안다'의 운전자 개념과 차이가 RS4 같은 차에서는 크게 나타날 수도 있겠죠... 근데 문제는 교체를 했는데도 또 나간다는 것이겠죠... 아우디에 더 강력하게 문의하세요...
2008.03.25 18:44:08 (*.230.146.12)
RS4 쥐색입니다... 안그래도 영모터스에 전화해봤었는데... 거기 입고되어있던차는 미등을 흰색으로 교체하기 위한 차라더군요...^^
고출력이긴 한데, 순정클러치는 왠만하면 그리 빨리 가버리진 않을 것 같습니다. 미션 내릴 때 같이 보시면서 문제점을 짚어내는 방향으로 해야하지 않을까요? 어딘가 문제가 있어 클러치 부분에 손상이 빨리 오는게 아닌가 싶은데 말입니다.(정확히 클러치 디스크를 못 떈다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