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이번에 차를 새로 장만하려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하루 주행거리가 50km정도되서 기름값의 압박이 살짝 심합니다. 디젤 소나타가 연비가 좋다고 해서 구입하려헀는데 아시는 공업사 사장님이 요즘 디젤은 한번 고장나면 수리비가 장난이 아리라고 하네요. 기름값아낀것 수리비로 다날라갈 수 있다고 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2008.03.26 15:10:17 (*.51.224.205)

디젤차량이 연비나 경유값을 따지면 가솔린 차량에 비해 싼건 맞습니다...
하지만 디젤차값이 일반 가솔린차값에 비해 많이 비싸죠...
그리고 휘발류값이나 경유값이나 별차이가 없어 더욱그렇죠
정말 주행거리가 많으신분은 이득이 될수도 있지만 고진님 처럼 하루 50km밖에 주행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손해가 날것입니다...1년에 2만키로도 안되는 주행거리는 오히려
손해일것입니다...뭐 10년넘게 오래동안 타신다면 모를까...그때되면 차가 돈달라고...^^
하루에 적어도 150키로이상 주행하셔야 차산금액에서 어느정도 뽑아낼수 있을껍니다.
정 디젤차가 타고 싶으시다면 새차보다 중고를 권해드립니다
하지만 디젤차값이 일반 가솔린차값에 비해 많이 비싸죠...
그리고 휘발류값이나 경유값이나 별차이가 없어 더욱그렇죠
정말 주행거리가 많으신분은 이득이 될수도 있지만 고진님 처럼 하루 50km밖에 주행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손해가 날것입니다...1년에 2만키로도 안되는 주행거리는 오히려
손해일것입니다...뭐 10년넘게 오래동안 타신다면 모를까...그때되면 차가 돈달라고...^^
하루에 적어도 150키로이상 주행하셔야 차산금액에서 어느정도 뽑아낼수 있을껍니다.
정 디젤차가 타고 싶으시다면 새차보다 중고를 권해드립니다
2008.03.26 15:36:33 (*.68.61.62)

디젤과 가솔린의 가격 차이가 많이 줄었다고 해도 여전히 연비가 디젤이 좋습니다. 특히나 시내구간의 운행이 많다면 더 차이가 나지요.
디젤 차량도 5년 10만km 보증이라면 고민이 살짝 되긴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50km 정도라면 매일 출근한다고 해도 생각보다 연료비 절약은 덜 될겁니다.
디젤 차량도 5년 10만km 보증이라면 고민이 살짝 되긴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50km 정도라면 매일 출근한다고 해도 생각보다 연료비 절약은 덜 될겁니다.
2008.03.26 15:38:08 (*.79.186.241)
고수님들의 조언 감사합니다.^^
그리고 궁금한게 있는데요... 렉서스나 인치니티는 고급휘발유를 꼭넣어야 하나요?
휘발유로는 중고로 골프GTI 또는 is250을 중고로 고려하고있습니다. 고급유를 넣어야 한다면 그냥 소나타를 살려그러거든요>.^^
그리고 궁금한게 있는데요... 렉서스나 인치니티는 고급휘발유를 꼭넣어야 하나요?
휘발유로는 중고로 골프GTI 또는 is250을 중고로 고려하고있습니다. 고급유를 넣어야 한다면 그냥 소나타를 살려그러거든요>.^^
2008.03.26 16:00:12 (*.68.61.62)

일단 기본적으로 말씀하신 차량은 고급 휘발유에 맞추어 ECU 캘리브레이션이 되어있으니 일반 휘발유를 넣으면 점화시기가 조금씩 뒤로 지각되면서 출력이 감소하겠지요. 터보차량인 GTI는 출력의 저하가 더 심할 것 같습니다만.. 딜러 시승차를 타보니 그래도 탈만하던데요..계속 해서 일반유만 넣어준다면 번갈아넣는 것보다 엔진에 더 좋겠죠. 혼자 즐기기엔 GTI가 원츄이나 편의 장비등을 생각하면 IS250이 더 좋을 듯 싶네요.
2008.03.26 16:13:30 (*.152.36.179)

일일 주행거리 200키로도 아니고, 50키로인데 그냥 휘발유는 어떨까요?
디젤차 수리견적액수를 듣는 순간, 욕나오려고 한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버릴 수도 없고, 뭐 고쳐 쓰는거죠. 마누라에게 구박당하면서.
저렴한 연료비의 메리트는 운전자가 아닌 자동차회사가 챙기는 형편이죠.
참 업체들 머리 좋지 않습니까? 난 그 머리가 없어 맨날 가난한지도...
디젤차 수리견적액수를 듣는 순간, 욕나오려고 한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버릴 수도 없고, 뭐 고쳐 쓰는거죠. 마누라에게 구박당하면서.
저렴한 연료비의 메리트는 운전자가 아닌 자동차회사가 챙기는 형편이죠.
참 업체들 머리 좋지 않습니까? 난 그 머리가 없어 맨날 가난한지도...
2008.03.26 16:25:21 (*.134.225.3)
제가 하루 주행거리가 거의 300인데요... 270~290 정도...
정말... 제가 타는정도 타면 연료에 따라
연료비가 다른게 좀 눈에 보이고... 그나마 좀 밟는다던가
막혀서 어영부영한다던가... 하면 그차이마저 사라집니다...
수리에 따른 스트레스도 무시할수 없구요...
실제로 평소에 하루 280을 나눠서 타고 슬슬다닐땐
가솔린대비 이득이지만 한번에 내리 밟아서 280을 타면
오히려 손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맘편히 가솔린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ㅡㅡ;
아... SUV와 LPG만 몰아보았구요... 디젤승용은 구경만...
정말... 제가 타는정도 타면 연료에 따라
연료비가 다른게 좀 눈에 보이고... 그나마 좀 밟는다던가
막혀서 어영부영한다던가... 하면 그차이마저 사라집니다...
수리에 따른 스트레스도 무시할수 없구요...
실제로 평소에 하루 280을 나눠서 타고 슬슬다닐땐
가솔린대비 이득이지만 한번에 내리 밟아서 280을 타면
오히려 손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맘편히 가솔린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ㅡㅡ;
아... SUV와 LPG만 몰아보았구요... 디젤승용은 구경만...
2008.03.26 18:28:57 (*.192.187.141)

초기차량가격 비싸고 수리비 비싸고 관리하기 더 까다롭고.. 타는 동안 디젤특유의 느낌으로 기분상하고 ... 유류비로 정말 3-4년 안에 본전 다 뽑는다..정도의 주행거리가 아니라면 휘발유가 아직은 더 좋은듯합니다..
2008.03.26 19:24:37 (*.36.129.44)
정부에서는 작년 7월에 휘발유:경유:LPG의 판매가격이 100:85:50의 비율이 되도록 유류세를 조정하였습니다만 최근 국제유가의 상승속에서 지난주 휘발유와 경유의 판매가격은 100:90으로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지역적으로 주유소판매가격이 비싸고 싼 곳이 존재하므로 출퇴근 동선상에서 잘 찾아보시면 타지역 경유판매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휘발유를 판매하는 곳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의 휘발유:경유의 가격격차가 어떻게 변화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현시점에서는 경유의 경제성은 더욱 감소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08.03.26 22:21:58 (*.41.34.1)
오늘 신문에 이런 기사가 있더군요. 같은 서울이라도 휘발유 값보다 경유값이 훨씬 비싼곳이 있다고요. 요즘에는 경유차량 유지=휘발유하고 거의 비슷합니다.
2008.03.26 22:47:20 (*.215.1.88)

근데 한가지 씁쓸한게.. 디젤승용차들이 막 나오기 시작할때 머지않아 이런상황이 올꺼다..라는 예상은 각 동호회에서 이미 제기됐었죠.. IMF 이후 위축된 신규소비를 늘리기위해 디젤을 띄워주다가 어느정도 팔리면 휘발유와 비슷한 상황으로 만든다..라는 음모론.
뭐 어쩌다맞아 떨어진거라고 볼수도 있지만.. 어쩌다가...흐음....
뭐 어쩌다맞아 떨어진거라고 볼수도 있지만.. 어쩌다가...흐음....
2008.03.26 23:50:29 (*.229.116.62)

제 생각엔..디젤차 구입을 고려할땐, 단지 연비뿐만 아니라 디젤차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중저속의 토크감이 유리한 운전이나, 즐기는 타잎이라면 부수적인 선택기준과 상관없이 구입할 수 있을거 같네요.
2008.03.27 00:12:08 (*.227.169.201)

익렬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개인적으로 변속기와 세팅이 잘된 기본기 탄탄한 디젤엔진과 상시4륜이 장착된 SUV는 과속을 하지 않아도 진정 거침없이 차를 몰고 간다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휘발유차와는 또다른 매력이죠..
더불어 엔진을 시원스레 회전시키면서 내달려도 휘발유엔진의 깃털엑셀링을 하는것보다 연비가 더 좋으니 타면탈수록 매력적으로 느껴지더군요..
더불어 엔진을 시원스레 회전시키면서 내달려도 휘발유엔진의 깃털엑셀링을 하는것보다 연비가 더 좋으니 타면탈수록 매력적으로 느껴지더군요..
2008.03.27 16:53:41 (*.152.36.122)

맞아요 디젤은 굵직한 힘을 내는것 같아요.
디젤 타다가, 휘발유를 타면...
베이스의 음질과 메조소프라노의 음질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그래도 팡팡 돌아가는 엔진이 재밌지 않나요?
디젤로 더블클러치를 해보니 엔진이 늦어서 전혀 안먹혀 놀랐어요
디젤 타다가, 휘발유를 타면...
베이스의 음질과 메조소프라노의 음질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그래도 팡팡 돌아가는 엔진이 재밌지 않나요?
디젤로 더블클러치를 해보니 엔진이 늦어서 전혀 안먹혀 놀랐어요
저도 하루주행거리 70Km정도 됩니다만...
그정도거리는 장거리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