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클릭을 타고 있구요, 클릭페스티발 서스상태이고 7J휠에 195-50-15 블랙버드 V2 타이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상적으로는 냉간시 앞 34~36psi, 뒤 30~32psi를 넣고 주행합니다..
기분전환을 위해 홀로 산길을 달릴때는 공기압을 5psi이상 높여 달리곤 합니다. 이유는 사이드월이 되도록 덜접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주행시에도 깔끔하게 돌아나가는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공기압을 높이고 주행후 시내로 돌아오면 너무 높은 공기압에 차가 튀는 느낌이 들고 안좋은 노면이라도 밟으면 차가 아주 부서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요 ㅎㅎ
공기압 조절을 위해 발펌프도 구입해서 쓰고 있는데요, 공기압을 맞추는 것이 냉간시 이다보니 주행하고 나면 타이어 열 등으로 공기압은 더 높아져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와인딩 후에는 어쩔 수 없이 타이어가 열받은 상태에서 공기압을 낮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지요..
제가 궁금한 점은 보통 주행 후 보통 몇 psi정도 상승하는지 하는 것입니다.. 저는 운전을 잘 못하다보니 와인딩후(와인딩이라고 말하기도 부끄럽습니다. 그냥 꼬불꼬불한 길 주행후 ^^;) 상승하는 공기압이 여기 계시는 고수분들에 비하면 그리 높지는 않을 꺼 같습니다만..
보통 일반적으로 상승하는 값을 알려주시면 감안해서 타야 공기를 빼려고 하니 테드회원님들의 언급부탁드립니다.. 일상주행시 상승하는 공기압을 알려주셔도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
일상적으로는 냉간시 앞 34~36psi, 뒤 30~32psi를 넣고 주행합니다..
기분전환을 위해 홀로 산길을 달릴때는 공기압을 5psi이상 높여 달리곤 합니다. 이유는 사이드월이 되도록 덜접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주행시에도 깔끔하게 돌아나가는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공기압을 높이고 주행후 시내로 돌아오면 너무 높은 공기압에 차가 튀는 느낌이 들고 안좋은 노면이라도 밟으면 차가 아주 부서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요 ㅎㅎ
공기압 조절을 위해 발펌프도 구입해서 쓰고 있는데요, 공기압을 맞추는 것이 냉간시 이다보니 주행하고 나면 타이어 열 등으로 공기압은 더 높아져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와인딩 후에는 어쩔 수 없이 타이어가 열받은 상태에서 공기압을 낮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지요..
제가 궁금한 점은 보통 주행 후 보통 몇 psi정도 상승하는지 하는 것입니다.. 저는 운전을 잘 못하다보니 와인딩후(와인딩이라고 말하기도 부끄럽습니다. 그냥 꼬불꼬불한 길 주행후 ^^;) 상승하는 공기압이 여기 계시는 고수분들에 비하면 그리 높지는 않을 꺼 같습니다만..
보통 일반적으로 상승하는 값을 알려주시면 감안해서 타야 공기를 빼려고 하니 테드회원님들의 언급부탁드립니다.. 일상주행시 상승하는 공기압을 알려주셔도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
2008.03.31 15:01:40 (*.47.100.11)

햇빛의 여부, 주행한 노면의 온도 및 종류 등에 따라 틀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하나, 아침 냉간에 햇빛 받은 쪽과 안 받은 쪽의 공기압이 약 3~5psi정도 차이나더군요. (차를 항상 북이나 남향으로 대놔서^^;) 물론 햇빛 받은 쪽의 타이어는 따뜻하거나 뜨거웠죠.
또 하나, 아침 냉간에 햇빛 받은 쪽과 안 받은 쪽의 공기압이 약 3~5psi정도 차이나더군요. (차를 항상 북이나 남향으로 대놔서^^;) 물론 햇빛 받은 쪽의 타이어는 따뜻하거나 뜨거웠죠.
2008.03.31 17:07:58 (*.134.98.32)

내용과는 틀린 내용이지만 보통 공기압게이지 오차도 있고 게이지도 계속 리셋이라고 하나요. 세팅을 해주어야 합니다.. 쉬 쓰이는 게이지도 참 고장난것 많읍니다.. 타이어 전문점에서 쓰는 몇십만원짜리 (계속 세팅해주는것으로) 체크하면 제가 맞춘다고 맞추었는데 5이상 틀립니다.. 집에서 쓰시는 것이면 그리 정교한것이 아닐터.. 그 자체 오류테이터가 상당히 있읍니다.. 그래서 주행전후의 오차보다 게이지 오차가 더 클거라고 어느 전문가가 말씀하셨읍니다..
2008.03.31 17:35:53 (*.223.118.53)

제차는 클릭R인데 평상시에는 F:30, R:26~28 정도(승차감을 위해)의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고 와인딩을 달리게 되때는 F,R 모두 40~45 이상의 공기압을 셋팅합니다. 주행 후 공기압 상승폭은 정말 그때 그때 다른 것 같습니다. 저 역시 공기압을 높인 상태로 와인딩을 뛴 후 항상 바로 공기를 빼주는데 (저 역시 승차감이 짜증나서) 상승폭이 그때 그때 다르다 보니 대충 많이 빼버립니다. '에이 나중에 좀 더 넣지 뭐..' 라고 생각해버려요ㅠ
2008.03.31 19:19:39 (*.223.42.210)

클릭R로 시합 뛰어본 경험에 따르면(저보다 경험이 많으신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
뒷타이어는 거의 변하지 않는 편이고, 앞타이어의 경우 생각보다 상당히 많이 올라갔습니다. 당연히 주행패턴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납니다. 언더 내면서 무지 비비면서 타면 금방 10psi 정도까지 올라갑니다. (40 -> 50) 깔끔하게 잘 타면 그것보다는 적게 올라가더군요. 위에 동규님이 말씀하신거처럼 워낙 노면의 온도, 대기의 온도, 주행패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있어 그때그때 다릅니다. ^^
뒷타이어는 거의 변하지 않는 편이고, 앞타이어의 경우 생각보다 상당히 많이 올라갔습니다. 당연히 주행패턴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납니다. 언더 내면서 무지 비비면서 타면 금방 10psi 정도까지 올라갑니다. (40 -> 50) 깔끔하게 잘 타면 그것보다는 적게 올라가더군요. 위에 동규님이 말씀하신거처럼 워낙 노면의 온도, 대기의 온도, 주행패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있어 그때그때 다릅니다. ^^
2008.03.31 22:54:07 (*.229.116.62)

R 튠 클릭써스는 위에 말씀하신 공기압이면 조금 튑니다.
일상주행을 감안하면, F32 R 32~34 정도가 적당한거 같아요. 스피드웨이 기준으론 10psi 까지 주행뒤에 상승하는데,하드코어 주행뒤에 쿨다운주행을 하면 다시 돌아오니, 한동안만 방치하면 될거 같네요.
일상주행을 감안하면, F32 R 32~34 정도가 적당한거 같아요. 스피드웨이 기준으론 10psi 까지 주행뒤에 상승하는데,하드코어 주행뒤에 쿨다운주행을 하면 다시 돌아오니, 한동안만 방치하면 될거 같네요.
따라서 차를 운행해 카센터에 가서 타이어 공기압을 맞춘다면 냉간 기준보다 10%정도 더 넣는것이 올바른 공기압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