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HD에 말 5~60마리만 더 붙여줘야 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장착한 인커스 킷과 브레이크에 약간의 보강만 하면 크게 밸런스 망가뜨리지 않으면서 재밌는 차를 만들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조금 더 부드러운 GTI 정도의 컨셉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생각해본 방법은 세타 엔진 스왑 혹은 감마 엔진에 터보를 얹는건데요, 생각보다 세타 엔진 스왑은 데이터가 거의 없네요. 개인적으로는 NA를 선호하는데, 여건 상 터보 인스톨이 훨씬 무난한 작업이 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조만간 세라토 후속에 터보 모델도 출시 될 것 같구요.
일단, 세라토 후속 모델에 얹혀 나온다는 감마 터보 모델은 일단 나와봐야 알 것 같고, 현재 나와있는 애프터 마켓 터보 패키지를 보니 170 마력 내외의 세팅에 순정 클러치 대응하는 패키지가 있더군요. 정확히 몇 bar에 세팅한다는 정보는 없는데, GT 2052 터빈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과급 쪽은 전혀 아는게 없어서 그러는데, 이러한 저압 터보 세팅의 내구성과 성향(터보랙이나 연비 등의 전반적인 느낌)이 궁금합니다.
많은 분들의 조언 부탁드려요..(__);;
2008.04.03 11:46:02 (*.254.112.153)

하이브리드 터보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근데, 또 다른 궁금증인데.. 터보는 꼭 오픈형 필터를 해야만 할까요? 엔진룸이 순정 NA만큼 깔끔하면 좋겠는데...ㅜ.ㅜ
2008.04.03 12:13:21 (*.47.100.11)

감마 슈퍼차져도 나온다는데 ㅎㅎㅎ. (i30에 올린 사진을 얼핏 본거 같으네요) 전 좀 특이한걸 좋아해서 그런지도 몰라도, 꼭 마이너하게 가고 싶더군요.
제차는 오토라서 특히 더 그쪽을 고려 중이거든요. (차는 투카 베타지만)
제차는 오토라서 특히 더 그쪽을 고려 중이거든요. (차는 투카 베타지만)
2008.04.03 12:22:20 (*.108.188.61)

제가 며칠전에 했는데요. 특징은 순정클러치,순정배기라서 터보의 튀어나가는 맛은 없구요
출력 그래프가 완만하게 올라가는 슈퍼차져같은 느낌입니다. 부스트도 후반에 걸립니다.
순정 배기이기 때문에, 초반에 걸리게 한다고 해도, 변비걸린 형상이라고 하네요^^;
출력 그래프가 완만하게 올라가는 슈퍼차져같은 느낌입니다. 부스트도 후반에 걸립니다.
순정 배기이기 때문에, 초반에 걸리게 한다고 해도, 변비걸린 형상이라고 하네요^^;
2008.04.03 12:22:32 (*.254.112.153)

감마 슈퍼차져 제품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가격대가 터보킷 + 인커스 풀셋 지를 돈이라서 관심 밖에 있습니다.^^;;
2008.04.03 12:25:09 (*.254.112.153)

앗..설현환님. P사에서 작업하신거 맞나요?^^;; 터보의 튀어나가는 맛보단 지긋이 상승하는 출력을 좋아해서요. 한 번 구경이라도 해보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배기는 샤인 듀얼로 바꿀 의향도 있습니다만.. 엔진룸은 좀 깔끔했으면 좋겠어요. 오픈형 흡기 싫은데..ㅜ.ㅜ
2008.04.03 12:33:06 (*.108.188.61)

네 그업체에 작업사진 1.6감마가 제 차량입니다. 사진 구경해보세요~
감마엔진 특성상(흡배기가 바뀌어서...) 엔진룸이 터보차같지 않아보여요...
감마엔진 특성상(흡배기가 바뀌어서...) 엔진룸이 터보차같지 않아보여요...
2008.04.03 12:39:13 (*.254.112.153)

세라토 차주 분이시군요. HD/i30와는 조금 다른 레이아웃이라고 하던데.. 흠.. 순정 배기 이용하셨다고 하셨는데, 그럼 몇 마력으로 세팅된건가요? 자꾸 귀찮게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2008.04.03 13:03:23 (*.192.187.141)

다들 그렇게 시작하더군요... 5-60 마력만 올리자... ... 올리자....올리자... 하다가 ...
400은 채워야지... 이렇게 ;;;;
요즘은 500클럽에 가입하는 분들이 늘던데 -ㅇ-;;;
400은 채워야지... 이렇게 ;;;;
요즘은 500클럽에 가입하는 분들이 늘던데 -ㅇ-;;;
2008.04.03 13:26:05 (*.108.188.61)

0.5바 150~160정도요. 참 저는 마이티터빈입니다. 저두 첨에 터보랙, 순정클러치 이런거 땜에 여기저기 질문하고 난리쳤는데요.ㅎㅎ 부스트 0바 이전에서도 순정보다는 훨씬 잘나가더군요. 그리고 클러치 슬립도 없구요. 참, 저는 스틱입니다.
2008.04.03 13:58:17 (*.119.9.122)

오너의 취향따라 터빈이 결정이 되겠지요. 빠른 스풀업을 원하신다면 작고 반응이 빠른 터빈을.. 후반에 강하게 밀어주는것을 원한다면.. 조금 큰 터빈을 고르시면 될듯 합니다^^
2008.04.03 14:03:48 (*.20.192.139)

터보라고 해서 오픈형 에어필터 할 필요는 없습니다. 터보가 공기를 더 강하게 흡입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히려 에어필터에 의한 영향이 적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한데 실제로 순정치환형 고용량 에어필터를 써보면 저rpm 낮은 부스트에서 확실히 리스폰스가 다릅니다. 그래서 왠만한 순정타입 고용량 필터 사용하시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MAF 타입으로 공기 측정을 하는 경우 MAF 종류에 따라서 오픈형 에어필터가 되면 MAF 리딩이 좀 부정확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르멘 볼텍스 타입 MAF 바로 앞에다가 큰 오픈형 에어필터를 다는 경우) 그래서 제대로된 보정 없이 무조건 오픈형만 단다고 성능이 좋아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08.04.03 14:07:58 (*.20.192.139)

그리고 터보를 달면 부스트가 뜰 경우에만 출력이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평소에도 터빈은 낮은 속도긴 하지만 항상 배기가스에 의해서 돌면서 흡기를 압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게이지로 진공상태에 있더라도 실제 공기가 들어가는 양은 증가합니다. 스풀업이 빠르다는 말은 쓰로틀을 열기전에 천천히 돌던 터빈을 쓰로틀을 열면서 배기가스가 증가하고 증가한 배기가스로 부터 다시 터빈이 더 빨리 돌면서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많은 양의 공기가 높은 압력의 배기가스를 만들어내는 순환과정 (Positive Feedback)을 통해서 최대 부스트를 만들어낼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서 반응이 좋다는 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작은 사이즈의 터빈이 리스폰스에 유리한 것입니다. 대신 압축해서 넣을 수 있는 공기의 절대량은 큰 터빈들이 높기 때문에 많은 출력상승을 끌어낼 수 있는 것입니다.
2008.04.03 14:12:26 (*.20.192.139)

120마력 정도 엔진이 170정도가 되려면 아마도 터빈이외에도 ECU 맵핑은 물론이고, 연료펌프, 연료 인젝터등의 업그레이드가 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배기 시스템도 업그레이드를 해줘야 만족스러운 리스폰스를 얻으실 수가 있을 겁니다. 튜닝이라고 하는 것이 밸런스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솔직히 많은 출력상승은 그만큼 많은 파트교환과 셋팅등 비용이 들어가는 것도 사실입니다.
2008.04.03 14:57:49 (*.254.112.153)

조인성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터보킷 정보를 보니,
터빈, 매니폴드, 아울렛 파이프/다운 파이프, 인터쿨러, 인젝터, 실리콘 호스, ECU 매핑 등으로 구성되어 있네요. 배기 쪽도 추천 제품이 있긴 하던데.. 요건 아직 결정 못했습니다.
윤명근님/ 지금 당장 인스톨 할 계획은 아니구요~ 그냥 궁금해서 알아보는 단계 입니다.^^ 원래 궁금한게 있으면 참지를 못해서...>.<
터보킷 정보를 보니,
터빈, 매니폴드, 아울렛 파이프/다운 파이프, 인터쿨러, 인젝터, 실리콘 호스, ECU 매핑 등으로 구성되어 있네요. 배기 쪽도 추천 제품이 있긴 하던데.. 요건 아직 결정 못했습니다.
윤명근님/ 지금 당장 인스톨 할 계획은 아니구요~ 그냥 궁금해서 알아보는 단계 입니다.^^ 원래 궁금한게 있으면 참지를 못해서...>.<
2008.04.03 15:18:32 (*.20.192.139)

아주 잘 구성된 킷이네요. 국내 터보튠 킷들도 많은 경험을 통해서 아주 안정적으로 좋은 제품들이 나오고 셋팅도 잘하는 샵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아마 아시겠지만 터보 셋팅이 비싸보입니다만 자연흡기로 같은 마력을 끌어내는 것을 생각하면 훨씬 저렴하다고 봅니다. 터보엔진 맛들이면 왠만한 배기량의 자연흡기 엔진으로는 만족을 못하게 됩니다. ^^ 그리고 터보 업그레이드를 고민하는 날이 금방 옵니다. ^^
2008.04.03 15:29:22 (*.254.112.153)

앞으로 맘이 바뀔지는 모르지만, 마력은 좀 적어두 되니, 안정적인 세팅과 엔진룸이 깨끗하면 좋겠습니다. 조금 더 지켜보다가 지를 듯 합니다.^^;;
2008.04.03 15:34:40 (*.253.219.194)

음...
저는 터보차량은 디젤외에는 타본적이 없지만...
NA같이 리니어한 느낌을 즐기신다면 슈퍼챠저를 권하고 싶습니다...
저는 터보차량은 디젤외에는 타본적이 없지만...
NA같이 리니어한 느낌을 즐기신다면 슈퍼챠저를 권하고 싶습니다...
2008.04.03 16:18:12 (*.86.152.40)

국민터빈 T3급으로 한번에 가셔서 300마력대응 정도의 클러치까지만 하시고
200마력 언저리로 타시면 .. 셋팅에 따라 10만도 거뜬히 오버홀없이 타실수있습니다..
200마력 언저리로 타시면 .. 셋팅에 따라 10만도 거뜬히 오버홀없이 타실수있습니다..
2008.04.03 17:05:26 (*.47.100.11)

여러분은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뽐뿌를 받는 현장에 와 계십니다ㅎ ^^
현일님이 남겨주신 것과 같이 빠듯하게 올리는 것 보다 조금 상급으로 세팅하고(초반 출혈은 있지만서도) 출력을 낮게 뽑아 안정적으로 출력을 내면 좀더 내구성을 끌어내고 여차하면 금방 출력을 더 뽑을 수 있는 방식을 추천하시더라구요. ^^ 업글로 인한 대량 중복투자를 막는다는 측면도 있구요
현일님이 남겨주신 것과 같이 빠듯하게 올리는 것 보다 조금 상급으로 세팅하고(초반 출혈은 있지만서도) 출력을 낮게 뽑아 안정적으로 출력을 내면 좀더 내구성을 끌어내고 여차하면 금방 출력을 더 뽑을 수 있는 방식을 추천하시더라구요. ^^ 업글로 인한 대량 중복투자를 막는다는 측면도 있구요
2008.04.03 17:15:32 (*.254.112.153)

HD 터보로 뽑아낼 최대 출력은 감마 순정 터보의 예상 스펙(183마력) 보다 적게 잡고 있습니다. 제 머리엔 순정 >> 애프터마켓이라는 공식이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어서요.^^;;
2008.04.03 17:59:20 (*.47.100.11)

오호, 일단 감마 터보가 나오면 상당히 보강되어 나올테니까 더 수월하지 않을까 합니다. 쇼트엔진 Assy사서 착~ 하고 올리면 어떨까요? 레이아웃은 같지 않을까요? ㅎㅎ. 안정적일진 몰라도 비용은 많이 들겠네요, 뒷부분 전파난 차량이 공짜로 굴러들어오면 모를까;;
2008.04.03 20:23:15 (*.192.187.141)

하..고민하지 마시고...몇달만 그대로 더 타시다가 BK로 -_-;;; 순정 200마력이면 꽤 스트레스없이 탈한만데..
2008.04.04 01:09:33 (*.127.21.148)

전 T3터보입니다. 전 올릴때부터 230마력을 정하고 그이상도 그이하도 안하겠다며 다짐을했습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지금 280마력이나 되었구 아직도 이제그만!!이라는생각을하지만 쉽지않습니다 ㅠ_ㅠ 윤성님도 애프터마켓이라는 공식이확고하지만 언젠가는 업글을 생각하게될꺼같습니다.(아닐수도있겠지만요^^)이왕 올리게된다면 조금더 좋은 출력을얻을수있는 선택이 괜찮을거같다는 저의생각입니다.-_-;; 요즘엔 작업깔끔하게하는곳이 많아서 걱정없을듯하구여 차후는 역시 관리가아닐까하네영..내구성또한 요즘 데이터와 기술이많아서 괜찮을것같습니다.좋은 선택에 도움이됐으면 좋겠네영^^
2008.04.04 10:01:11 (*.20.193.118)

헉 올뉴아반떼에 280마력입니까? 그 가벼운 차체에 280마력이면 날아다니겠군요. 최대 부스트는 어느 rpm쯤에서 터지나요? 그리고 1.8리터 베타에다가 올리신건가요? 아니면 2.0을 넣으신건가요. 대단합니다.
2008.04.04 10:26:53 (*.254.112.153)

드래그에도 관심 없고, 최고속에도 관심 없고... 그냥 좀 더 여유 있는 주행을 하고 싶어서 터보까지 생각해봤거든요.^^ 순정 HD 2.0 보다 조금만 더 잘 나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170마력 세팅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엔진룸이 순정 같이 깨끗할 수 있으면 10마력쯤 포기할 수도 있구요.ㅎㅎ 그냥 제가 꿈꾸는 카라이프에 200마력씩은 필요하지 않을 것 같아요. 추후에 결혼하고 아이까지 생기면 제네시스 한 대 사보고 싶은 마음은 있습니다.
2008.04.04 10:45:30 (*.108.188.61)

저두 윤성님 같은 생각으로 이코노미 올렸습니다. 순정클러치,순정배기에 2.0보다 쫌만더 나가면서 무리없는.어른들 모셔두 스트레스 없는 그런 세팅이요^^
일주일도 안지난 지금 "배기를 해볼까?"라는 고민과 배기 튜닝 사이트를 뒤지고 있더군요.... ㅡ.ㅡ
일주일도 안지난 지금 "배기를 해볼까?"라는 고민과 배기 튜닝 사이트를 뒤지고 있더군요.... ㅡ.ㅡ
2008.04.04 11:22:35 (*.254.112.153)

설현환님... 무섭습니다. 저도 그럴까봐..ㅡㅡ;; 전 배기까지는 처음에 같이 세팅할 생각입니다. 대신 흡기는 순정형으로 하고 싶은데, 일단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지켜봐야겠습니다~
2008.04.06 17:44:12 (*.86.152.40)

예전에 .. xd로 400마력 언저리 정도 탔었는데요 ..벌써 몇년이 지난지는.. ㅎㅎ..
지금 si의 크랭크 200마력이지만..
저압터보 200마력언저리에서 안정적으로 올라운드플래이어인 셋팅이 최고더군요..
스트레스 거의 없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지금 si의 크랭크 200마력이지만..
저압터보 200마력언저리에서 안정적으로 올라운드플래이어인 셋팅이 최고더군요..
스트레스 거의 없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가솔린차량의 경우 0.4바 정도 셋팅 + 배기 까지 해서 170마력 내외의 출력을 뽑을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순정배기사용할경우 0.3바 150마력 내외..정도. 저압터보를 사용하는만큼 내구성에는 영향이 많이 주지는 않을테고요, 스몰터빈을 사용하는만큼 스풀업도 빠를테고, 연비는 절대적으로 맵핑에 좌우되니, 정답은 없습니다. 저도 터보차량을 운행중이지만.. 연비는 잘나옵니다. 단 무지막지하게 밟지만 않으면요. 연비는 또한 운전습관과 좌우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