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사진은 하얗게 태워버리는 불꽃 사나이)
집정리를 하다보니까 어느 구석에서 불투명 하얀색 정육면체 젓갈말통이 나왔습니다. 정체를 알수없는 투명한 액체가 반가량 차있는데... 감은 잘 안오지만 뭐 10리터 안될까 싶은 용량 - -;;;
뚜껑에 손을 휘휘 저어서 냄새를 맡아보니... 기름이더군요.
아무래도 등유같습니다. 아무런 색깔이 없고... 부모님께서 작은 석유난로를 쓴적이 있었으므로 등유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이제는 뭐 등유를 쓸일이 전혀 없어서 골칫거리가 되어버렸습니다.
(오히려 화재 사고 걱정거리나 되면 되었지 - -)
그래서 제가 며칠전 냈던 만우절 퀴즈를 맞추셨던 강석윤님께 퀴즈 상품으로 드릴까 잠시 고민도 해보고 하다가... ^^;;;
어제 서핑중 이런걸 보게 되었습니다.
"디젤 차량에 등유 섞어 써도 됨. 25%는 문제없음. 심지어 엔진에 따라 반까지 섞어도 되기도 함"
허거.. 이거.. 정말인가요? 그렇다면 당장에 시도해봄직한데 ^^;;;
어떨까요?
그외, 자가 배합 스킬과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 있는대로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08.04.06 05:26:52 (*.47.100.11)

오래전에 등유, 경유 문제로 하이텔 카란에서도 한번 시끌시끌 했었지요. 그중 한분이 울릉도에서 발전기 관리하시는 분 이셨는데(아따 내 기억력도 참 ㅋㅋ) 구형 스포티지 디젤 타셨구요. 100% 등유로만 주유하고 다니셨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 짧은 지식에 의하면, 시중에 파는 경유도 실은 등유가 절반 가까이 섞여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추운 지역에 가면 비율이 더 높구요(강원도 같이) 그 이유가, 등유의 저온시동성이 좋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경유의 경우는 저온이 되면 응고되어 왁스(파라핀)가 생기는 반면 등유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ㅎㅎ. 다만 인젝션 펌퍼의 노즐이 경유로써 윤활이 되기 때문에 경유를 가급적 섞어줘야 한다고 하더군요. 적당량 섞으면 겨울용 경유가 되는 셈이니까 크게 문제 없으리라 봅니다. 오토바이 오일(2사이클)이야기도 있었는데, 오토바이가 어차피 휘발유용 엔진꺼라 도움이 있을까~ 싶긴 했었습니다 ㅎㅎ.
다만 오래된 경유를 넣어도 되는진 모르겠네요 ㅋ.
음.. 안종연님, 테드 MT가서 캠프파이어 할 때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ㅋㅋㅋ. 불꽃사나이는 정말 멋지군요;;;; (웃을 상황은 아니지만)
그리고 제 짧은 지식에 의하면, 시중에 파는 경유도 실은 등유가 절반 가까이 섞여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추운 지역에 가면 비율이 더 높구요(강원도 같이) 그 이유가, 등유의 저온시동성이 좋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경유의 경우는 저온이 되면 응고되어 왁스(파라핀)가 생기는 반면 등유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ㅎㅎ. 다만 인젝션 펌퍼의 노즐이 경유로써 윤활이 되기 때문에 경유를 가급적 섞어줘야 한다고 하더군요. 적당량 섞으면 겨울용 경유가 되는 셈이니까 크게 문제 없으리라 봅니다. 오토바이 오일(2사이클)이야기도 있었는데, 오토바이가 어차피 휘발유용 엔진꺼라 도움이 있을까~ 싶긴 했었습니다 ㅎㅎ.
다만 오래된 경유를 넣어도 되는진 모르겠네요 ㅋ.
음.. 안종연님, 테드 MT가서 캠프파이어 할 때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ㅋㅋㅋ. 불꽃사나이는 정말 멋지군요;;;; (웃을 상황은 아니지만)
2008.04.06 12:19:36 (*.124.179.171)
난방용 등유가 20리터 한통이 남아서 도 경유40프로에 난방유60프로 정도로 한번
써봤습니다.... 차량은 2001년식 싼타페인데 처음에는 진동과 소음이 엄청나게
줄어서 가격도 싸고하니 가끔 이렇게 넣고 다닐까 했는데
써봤습니다.... 차량은 2001년식 싼타페인데 처음에는 진동과 소음이 엄청나게
줄어서 가격도 싸고하니 가끔 이렇게 넣고 다닐까 했는데
2008.04.06 12:24:32 (*.124.179.171)
절반정도 사용했을때 어느순간부터 신경이 쓰이는 진동이 생겼습니다... 일반 경유에서 느끼는 정차시의 털털 거리는 진동이 아니라 제차에서 느껴본적이 없는 특이한 진동이 느껴져서 '아~~ 커먼레일 엔진에는 쓰면 않좋구나' 하고서 그뒤로는 사용을 안했습니다....
2008.04.06 12:29:56 (*.124.179.171)
제가 예민해서 그럴수도 있지만 평상시에 느끼던 진동과 다르게 느껴지는 진동에 혹시 차가 빨리 고장이라도 날까봐서 사용을 중단했습니다.... 진동의 증상은 예를 들어서 경우만 쓸때는 1분에 100번의 진동이 온다면 난방유를 썼을때는 130번의 진동이 오는거 같은데
2008.04.06 12:33:59 (*.124.179.171)
경유는 덜덜 거린다면 난방유의 증상은 디젤차의 털털거림 보다는 엔진이 시동이 걸려서 요동을 친다는 느낌이들어서 그후로는 경유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2008.04.06 13:03:29 (*.47.100.11)

차 외관의 먼지를 빨아들이는 기름걸레로 만들어도 되겠네요 ㅎㅎ. 잘 뿌려서 잘 건조시키면 됩니다.
등유가 유종 자체는 경유보다 고급(?)으로 제트유도 엄밀하게 말하면 등유계입니다. 다만 자동차 엔진의 설계는 경유에 맞춰져 있다는 것~~~
등유가 유종 자체는 경유보다 고급(?)으로 제트유도 엄밀하게 말하면 등유계입니다. 다만 자동차 엔진의 설계는 경유에 맞춰져 있다는 것~~~
2008.04.06 14:10:57 (*.64.232.157)
글쎄요. 경유에 등유가 반쯤 들어가면 이미 경유라 할수없습니다. 등유의 함량이 5%를 넘어가면 왁스성분이 맛탱이가 가기 시작하죠.
2008.04.06 20:04:38 (*.91.118.135)
등유가 경유보다 고급으로 제트유에 가까운거 사실입니다. 주영님이 잘 아시네요. 이거 아는 사람 기름업계 아니면 거의 없는데..ㅋㅋ
2008.04.06 22:39:21 (*.232.107.48)

제가 몇 번 넣어봐서 아는데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 차가 좀 힘이 없고 조용하다는 느낌이 난다는 것 외에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참고하세요~
2008.04.07 01:49:46 (*.47.130.115)

와우! 수많은 여러분들의 많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
역시 재미있는 여러가지 얘기를 다양하게 접하게 되어 뿌듯합니다.
친구에게 이 얘기를 해보니까, 경유값 계속 오르니까 나중에 시도하면 나중에 할수록 더 이득일거라는 대답이 오더군요 ^^;;;
역시 재미있는 여러가지 얘기를 다양하게 접하게 되어 뿌듯합니다.
친구에게 이 얘기를 해보니까, 경유값 계속 오르니까 나중에 시도하면 나중에 할수록 더 이득일거라는 대답이 오더군요 ^^;;;
2008.04.07 11:28:47 (*.100.186.136)

스타렉스 인터쿨러로 버전으로 장거리갈때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경유 30,000원 등유 30,000원 셋팅이면 진동도 출력도 그리 나쁘지않은 셋팅입니다.... 일단은 진동이 없어서 엔진음만 조용하면 휘발유엔진필이 나오기도하니다... 또한 매연도 줄어드니 가속시 뒷차에 신경도 덜쓰이고요..... 그리고 나서 100% 경유만 사용하니 힘은 좋느나 진동이나 매연에 영신경이 쓰이네요.....커먼엔진버전은 아직은 시도를 안해서 뭐라 할수는 없지만 구형인터쿨러터보엔진에는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자주애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혼합은 잠칸에 기름통 2개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요즘 시골에서는 디젤엔진들은 거의 100% 보일러유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정부정책이 잘못된것 같아요
2008.04.07 11:57:25 (*.62.199.245)

말씀하신 대로 미군은 통합 유류로 JP-8을 쓰고, 등유계입니다. 정확하진 않지만 98% 등유에 2%의 첨가물이라고 하더군요. (뭐 이것도 나름 군사 기밀-_-;이라고 하던데ㅋ) 여기저기 다 쓰지요. 주한미군에 들어가는 포터에도 JP8쓰니까요 ㅎㅎ. 헬리콥터, 전투기에도 JP-8쓰는데, 보통 출동 대기로 주입했다가 뽑은 JP-8은 다시 안 넣고 지상장비에 쓰더군요. (혹시 모를 불순물 때문이라고...)
다 좋은데 휘발성이 너무 떨어져 환경오염과 인체 유해성을 제기하던데, 그래도 군작전상 통합 유류 보급선의 구축이 꽤나 도움을 주기 때문에 2025년까지인가 그대로 쭉 쓴다고 합니다. ^^
다 좋은데 휘발성이 너무 떨어져 환경오염과 인체 유해성을 제기하던데, 그래도 군작전상 통합 유류 보급선의 구축이 꽤나 도움을 주기 때문에 2025년까지인가 그대로 쭉 쓴다고 합니다. ^^
2008.04.07 14:24:23 (*.173.9.18)

등유를 디젤엔진에 사용했을 경우 인젝션 펌프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흔히 '브란자가 나간다'고 하죠.
경험상 쌍용차(액티언 이전 모델)의 경우 등유를 넣어도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인의 무쏘에는 몇 년째 등유 98~99%에 1~2% 콩기름이 들어가고 있습니다만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현대나 기아차의 경우 등유를 넣으면 인젝션 펌프에 무리가 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험상 쌍용차(액티언 이전 모델)의 경우 등유를 넣어도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인의 무쏘에는 몇 년째 등유 98~99%에 1~2% 콩기름이 들어가고 있습니다만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현대나 기아차의 경우 등유를 넣으면 인젝션 펌프에 무리가 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기 구형디젤은 7:3 정도로 섞는다고
들었습니다..
넣고 오토바이오일을 종이컵으로 반컵 넣는다고
했는데요...
주변에 쌍용차에 그렇게 쓰는사람도 있는데.
연비는 경유보다 좀 떨어지고 힘도 부족하다고합니다.
커먼레일이나 vgt 에는 넣으면 안된다고 들었습니다.
전에 투싼에 실험하던 분이 있었는데... 어찌되었는지
결과를 못들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