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팀x쉰에서 매핑하고 처음으로 최고속 테스트를 했습니다
순정은 계기속 y40km/h에 리밋이 걸려있는데
매핑을 통해 해제하였습니다
4속 6500rpm y30km/h에서 5속으로 변속후
4500rpm y41km/h에서 체크엔진이 뜨더군요.. ;;
다음날 동내 그린에서 하이스켄으로 진단해 보았습니다
에러코드 "P0101 AFS 한계초과/성능이상"이 뜨더군요
일단 에러코드는 삭제했습니다
에어플로우 센서가 노후된걸까요?? T_T
x50km/h 이상 크루징시에도 연비가 10~10.5km/L정도 나와주고
그전까지 별다른 이상징후가 없었기에 전혀 감이 오지 않네요
맵핑을 한 목적이 속도제한 때문이었는데
속도제한은 풀렸다지만 체크엔진이 들어와 대략 난감해 하고 있습니다.. -_-;;
순정은 계기속 y40km/h에 리밋이 걸려있는데
매핑을 통해 해제하였습니다
4속 6500rpm y30km/h에서 5속으로 변속후
4500rpm y41km/h에서 체크엔진이 뜨더군요.. ;;
다음날 동내 그린에서 하이스켄으로 진단해 보았습니다
에러코드 "P0101 AFS 한계초과/성능이상"이 뜨더군요
일단 에러코드는 삭제했습니다
에어플로우 센서가 노후된걸까요?? T_T
x50km/h 이상 크루징시에도 연비가 10~10.5km/L정도 나와주고
그전까지 별다른 이상징후가 없었기에 전혀 감이 오지 않네요
맵핑을 한 목적이 속도제한 때문이었는데
속도제한은 풀렸다지만 체크엔진이 들어와 대략 난감해 하고 있습니다.. -_-;;
2008.04.10 16:34:23 (*.6.39.71)

에어플로우 방식의 경우 오염된 경우에도 같은 에러코드가 뜹니다.
오일 혹은 기타 이물질에 오염된 경우일수도 있으니
세척을 해보시고 다시 최고속 측정시 에러코드 뜨는지 살펴보세요
그나저나 함 봅시다 얼굴 대학원생 돼더니 ㅎㅎ 음
오일 혹은 기타 이물질에 오염된 경우일수도 있으니
세척을 해보시고 다시 최고속 측정시 에러코드 뜨는지 살펴보세요
그나저나 함 봅시다 얼굴 대학원생 돼더니 ㅎㅎ 음
2008.04.10 20:26:55 (*.60.107.30)

리밋푼 330들이 그런문제가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에어플로우센서의 용량이 작다는겁니다...
한계값이 낮아서 리밋걸린시점을 넘기면 에러코드가 발생합니다..
380의 에어플로우센서로 교체하시고 맵값을 다시 설정하셔야할듯합니다...
문제는 에어플로우센서의 용량이 작다는겁니다...
한계값이 낮아서 리밋걸린시점을 넘기면 에러코드가 발생합니다..
380의 에어플로우센서로 교체하시고 맵값을 다시 설정하셔야할듯합니다...
2008.04.10 21:34:23 (*.133.138.117)

저도 에러코드를 보면서 "에어플로센서 용량이 딸리는거??"라고
생각했으나 330, 380둘다 281643C100을 사용하고 있네요
남들 다하는 흡기마저 순정이라는.. T^T
생각했으나 330, 380둘다 281643C100을 사용하고 있네요
남들 다하는 흡기마저 순정이라는.. T^T
2008.04.10 23:11:35 (*.251.76.82)

음 에어플로우쎈서의 용량 문제는 아닙니다.
TG 의 경우는 델파이 ECU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INCA 를 사용하고
대다수의 델파이 계열들이 에어플로우 쎈서 오류가 뜨는 과정이
있는데 거의 대부분 습식에어필터를 사용할때 그런 문제가 생깁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k&n 도 드라이 상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습식입니다. 보쉬 타입의 경우는 그런일이 드문데 델파이 이씨유의
경우 에어플로우쎈서가 예민해서 약간의 오일 이물질로도
오류가 뜹니다. 윤명근군의 차가 에어플로우쎈서 계측범주를 벗어날
정도로 하드코어튠이 된것도 아니고 동일 엔진의 3.8도 그 이상의
출력을 보여도 동일넘버이기 때문에 그런 오류는 드물지요
아까 통화를 통해서 현재 사용중인 드롭인 k&n 을 제거하고
순정을 끼운후 쎈서 세척후 주행하면 문제 없을거라고
조언을 주었습니다만 정보공유를 위해서 올립니다.
과거 h2 험비에 약 100마력 상승 수퍼챠저킷을 사용했는데
그 때도 동일한 증상이 나왔고 k&n 을 제거후 증세가 사라졌습니다.
간혹 보쉬의 에어플로우 타입에서도 이런 증상이 나오는데
그 경우는 과급으로 수백마력이 올라간 상태에서 종종 나오더군요
그때는 쎈서의 안쪽 알맹이만 s500 등의 하이버젼으로 교체해서
증상을 잡은 경험도 있습니다.(그때도 수퍼차져입니다 k&n 필터구요)
람다쎄팅 후 이런 증상에 시달리는 분들은 건식에어필터로
교환 해보시면 답이 나올듯 합니다. 이는 미국쪽 포럼에도
종종 보고되는 경우고 한결같이 에어크리너의 문제였던걸로
보고 되었습니다. 참조하세요 ^^;;
TG 의 경우는 델파이 ECU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INCA 를 사용하고
대다수의 델파이 계열들이 에어플로우 쎈서 오류가 뜨는 과정이
있는데 거의 대부분 습식에어필터를 사용할때 그런 문제가 생깁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k&n 도 드라이 상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습식입니다. 보쉬 타입의 경우는 그런일이 드문데 델파이 이씨유의
경우 에어플로우쎈서가 예민해서 약간의 오일 이물질로도
오류가 뜹니다. 윤명근군의 차가 에어플로우쎈서 계측범주를 벗어날
정도로 하드코어튠이 된것도 아니고 동일 엔진의 3.8도 그 이상의
출력을 보여도 동일넘버이기 때문에 그런 오류는 드물지요
아까 통화를 통해서 현재 사용중인 드롭인 k&n 을 제거하고
순정을 끼운후 쎈서 세척후 주행하면 문제 없을거라고
조언을 주었습니다만 정보공유를 위해서 올립니다.
과거 h2 험비에 약 100마력 상승 수퍼챠저킷을 사용했는데
그 때도 동일한 증상이 나왔고 k&n 을 제거후 증세가 사라졌습니다.
간혹 보쉬의 에어플로우 타입에서도 이런 증상이 나오는데
그 경우는 과급으로 수백마력이 올라간 상태에서 종종 나오더군요
그때는 쎈서의 안쪽 알맹이만 s500 등의 하이버젼으로 교체해서
증상을 잡은 경험도 있습니다.(그때도 수퍼차져입니다 k&n 필터구요)
람다쎄팅 후 이런 증상에 시달리는 분들은 건식에어필터로
교환 해보시면 답이 나올듯 합니다. 이는 미국쪽 포럼에도
종종 보고되는 경우고 한결같이 에어크리너의 문제였던걸로
보고 되었습니다. 참조하세요 ^^;;
2008.04.10 23:49:55 (*.193.141.132)

sm5도 동일문제로 애를 먹은적 있습니다. ecu가 덜 똑똑해서인지 엔진경고등은 안떴지만 연비와 출력이 줄어들어서 스캔해봤는데 원인은 양상규님 말씀하신대로 k&n 세척후 오일링을 많이해서 에어플로우 센서에 오일이 뭍어 카본이 흡착되어 에어플로우 센서에러가 검출되더군요. 그때해준 조치는 간단하게 카뷰레터 세정제로 세척하고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터보같은 고출력차들은 산소센서 하나만 고장나도 출력을 엄청 까먹더군요^_^;
AFS 하우징을 확장하고 재맵핑하거나, EMS의 AFS 입력-공기량 테이블을 수정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