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산간오지에 있어 모니터링을 위주로 하는 회원입니다^^;
궁금한게 문뜩 생겼습니다.
시동을 끌때 말이죠 스로틀을 열어 rpm을 일부러 높혔다가 끄는
경우(이른바 후까시)를 본적이 있는데요.
그건 왜그렇게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실제로 포뮬러 레이스에서 시동을 그렇게 끄는걸 본적도 있는데요..
아무 이유 없진 않을것 같아서요^^;
엔진에 좋은 영향이라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궁금한게 문뜩 생겼습니다.
시동을 끌때 말이죠 스로틀을 열어 rpm을 일부러 높혔다가 끄는
경우(이른바 후까시)를 본적이 있는데요.
그건 왜그렇게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실제로 포뮬러 레이스에서 시동을 그렇게 끄는걸 본적도 있는데요..
아무 이유 없진 않을것 같아서요^^;
엔진에 좋은 영향이라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2008.04.17 23:31:33 (*.243.207.234)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바로는, 예전 몇몇 종류의 경유차들은 연료가 엔진으로 주입되는 중간에 가끔 Air(공기)가 차서 시동을 걸 때 깔끔하지 못하곤 해서 시동을 끄기 전 스로틀을 한번 쭈욱~ 열어주어 연료탱크에서 엔진까지의 통로에 새로운 연료로 공기를 밀어내고 꽉 채운다고 합니다. (확실한 정보는 아닙니다.^^;)
2008.04.18 08:34:55 (*.22.116.168)
오래된 차들이 차후 시동성을 좋게 하기위해 연소실 내를 연료로 적셔둔다는 뜻에서 일명 후까시를 넣고 끄는것 같습니다.
그냥 폼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승나가다 보면 영업사원들이 일런 모습을 자주 목격합니다.
그냥 후열후 오프하는게 가장 좋을듯합니다.
그냥 폼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승나가다 보면 영업사원들이 일런 모습을 자주 목격합니다.
그냥 후열후 오프하는게 가장 좋을듯합니다.
2008.04.18 09:13:10 (*.192.187.141)

저도 항상 그렇게 해요... 뭐 그냥 기분일수도 있고.. 마지막으로 시동 끄기전 회전수를 높이면서 엔진 소리도 한번 더 들어보면서 이상한 소리가 나지는 않는지 확인도 할수있고..
2008.04.18 09:18:54 (*.149.144.79)

LPG의 경우 시동 끄기전에 LPG 버튼을 누르면 가스
공급이 차단됩니다. 그 이후에 그냥 두면 연료라인에
있는 가스가 다 연소된후에 시동이 꺼지는데
(이유는 겨울철 냉간 시동시 연료라인에 남은 연료가 동결되면
시동이 어려워서 입니다.)
알피엠을 높이면 더 빨리 시동이 꺼지니 그렇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급이 차단됩니다. 그 이후에 그냥 두면 연료라인에
있는 가스가 다 연소된후에 시동이 꺼지는데
(이유는 겨울철 냉간 시동시 연료라인에 남은 연료가 동결되면
시동이 어려워서 입니다.)
알피엠을 높이면 더 빨리 시동이 꺼지니 그렇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008.04.18 09:37:27 (*.104.184.54)

저도 타우너 탈 때 종영님의 말씀과 같은 이유로 그렇게 하긴 했습니다만, 가솔린 모델이나 디젤 모델에서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싶은데요? 그것보다는 시동 직후 예열과 시동 끄기 전의 후열이 더 중요한 듯...... .
2008.04.18 09:42:40 (*.161.237.86)

저도 군대에서 보고 버릇처럼 잠깐 그랬던 때도 있었는데
지금은 하지 않습니다. 그냥 집까지 천천히 와서 얌전히 시동끄는게
젤 나아 보여요.
지금은 하지 않습니다. 그냥 집까지 천천히 와서 얌전히 시동끄는게
젤 나아 보여요.
2008.04.18 09:53:55 (*.134.225.3)
뭐... lpg 차도 한겨울에 하루이틀 불안한 마음에 라인에
있는것까지 태우고 시동끄곤 했는데...
겨울에도 별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가스 안잠그고 막타고
그냥 시동꺼버리고 다음날 새벽에 시동걸어도 아무 이상없이
잘 걸리던데요 ^^;
결론은 이제는 아무 의미없는일...인가요.
있는것까지 태우고 시동끄곤 했는데...
겨울에도 별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가스 안잠그고 막타고
그냥 시동꺼버리고 다음날 새벽에 시동걸어도 아무 이상없이
잘 걸리던데요 ^^;
결론은 이제는 아무 의미없는일...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