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양산 메이커의 테스트시 고려치 않으므로 순정대비
안전성이 대등하리라곤 생각하지 않지만...
왠지 땡기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해서 문의 드립니다.
차종은 mk5 GTI 이며 펜더는 생각이 거의 없고,
본닛만 생각중입니다.
경량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왠지 검은색차에
카본 후드가 매칭이 잘 되어 보여서 생각 중입니다.
경험하시거나 고려하시는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
안전성이 대등하리라곤 생각하지 않지만...
왠지 땡기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해서 문의 드립니다.
차종은 mk5 GTI 이며 펜더는 생각이 거의 없고,
본닛만 생각중입니다.
경량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왠지 검은색차에
카본 후드가 매칭이 잘 되어 보여서 생각 중입니다.
경험하시거나 고려하시는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
2008.04.23 17:18:59 (*.251.76.82)

종영님 오랫만이네요 ^^;;
제가 경험해본 업체의 경우는 소량생산업체인데 나름 괜찮습니다.
충돌테스트는 장착 차량이 전면충돌 사고가 나서 실차로
입증했는데 리얼카본의 경우는 충격흡수도 좋더군요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 안전했고 깨지긴 했지만 휘었다 펴지면서
충격흡수도 괜찮았던듯합니다. 다른업체의 경우 종종 달리다
올라온 사례가 있는데 제가 아는 업체는 그런 경우 전혀 못보았습니다
200키로 넘는 속도에서두요 검정차였는데 카본 의외로 포스가 대단합니다
저는 추천드립니다 ^^;;
제가 경험해본 업체의 경우는 소량생산업체인데 나름 괜찮습니다.
충돌테스트는 장착 차량이 전면충돌 사고가 나서 실차로
입증했는데 리얼카본의 경우는 충격흡수도 좋더군요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 안전했고 깨지긴 했지만 휘었다 펴지면서
충격흡수도 괜찮았던듯합니다. 다른업체의 경우 종종 달리다
올라온 사례가 있는데 제가 아는 업체는 그런 경우 전혀 못보았습니다
200키로 넘는 속도에서두요 검정차였는데 카본 의외로 포스가 대단합니다
저는 추천드립니다 ^^;;
2008.04.23 18:07:55 (*.149.144.79)

헉...이런 긍정적 반응은 지름신을.....ㅠ.ㅜ
떼어넨 후드를 집에 어디다가 놓을까란 생각이....
상규님 제가 본건 세x본과 OSxR제품인데 여러곳에서 나오나요?
가격도 궁금하고...업체도...쪽지로 알려주세요...^^
궁금할뿐 안할꺼에요.....아마 안할꺼에요....
떼어넨 후드를 집에 어디다가 놓을까란 생각이....
상규님 제가 본건 세x본과 OSxR제품인데 여러곳에서 나오나요?
가격도 궁금하고...업체도...쪽지로 알려주세요...^^
궁금할뿐 안할꺼에요.....아마 안할꺼에요....
2008.04.23 18:30:55 (*.132.166.163)

끄허 저도 이부분이 항상 궁금했었답니다~
탄성이야 좋지만, 부러져 버리면 그 조각들이 매우 날카로운데, 윈드실드를 뚫고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 생각했었답니다~
탄성이야 좋지만, 부러져 버리면 그 조각들이 매우 날카로운데, 윈드실드를 뚫고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 생각했었답니다~
2008.04.23 18:39:40 (*.144.250.185)
차량의 외부를 둘러싼 모든 판넬들은 충격 흡수보다는 그냥 외관을 위해 존재하는게 아닌가요? 충격 흡수를 위한 구조물은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는 눈에 안보이는 부분으로 알고 있어서요.
2008.04.23 18:47:15 (*.111.249.174)

음 카본후드 장착 차량의 전면충동 사진이 있는게
개인의 프라이버시라 올리진 못하구요 충돌시 생각 하시는
것처럼 산산조작 나진 않습니다. 물론 300키로로 박으면 어떨진
모릅니다만...., 암튼 그 차의 본넷을 보면 중간이 구부러졌다
다시 펴진 흔적이 있습니다. 그냥 접히는건 스틸 소재일테구요
암튼 머..., 참 사고는 남산에서 와인딩중이었습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라 올리진 못하구요 충돌시 생각 하시는
것처럼 산산조작 나진 않습니다. 물론 300키로로 박으면 어떨진
모릅니다만...., 암튼 그 차의 본넷을 보면 중간이 구부러졌다
다시 펴진 흔적이 있습니다. 그냥 접히는건 스틸 소재일테구요
암튼 머..., 참 사고는 남산에서 와인딩중이었습니다.
2008.04.23 19:02:16 (*.141.188.2)
물리적으로 반으로 접힌다는 것은 힘이 작용했다는 거고, 그 힘 만큼 후드가 흡수하는거 아닌가요? 요즘 댓글들 까칠하네요......
2008.04.23 21:14:07 (*.117.99.154)
김종철님....후드가 흡수하는 충격이라면 사고시에는 전혀 아무런 도움이 안될껍니다... 차량의 외피(?)는 생각하시는것만큼 강하지않습니다.
정말로 별 도움 안됩니다-_-
그런데 어떤 댓글에서 말씀하신 '까칠함'을 느끼신건가요? 제가 볼땐 그런 까칠한 댓글이 없는데말이죠....
정말로 별 도움 안됩니다-_-
그런데 어떤 댓글에서 말씀하신 '까칠함'을 느끼신건가요? 제가 볼땐 그런 까칠한 댓글이 없는데말이죠....
2008.04.23 21:41:22 (*.155.111.179)
후드를 반으로 접을려면 어느 정도의 운동 에너지가 필요할까요?
예를들어 중량 1500kg의 차량이라면 얼마의 속도로 충돌해야할까요?
시속 5킬로일지..10킬로 일지는 모르지만..(명색이 철판인데 시속 1킬로는 넘겠지요?)
하지만 최소한 그정도의 에너지는 흡수했다고 볼 수 있을겁니다.
그렇다면..그만큼의 도움은 된게 아닌가 싶네요...
예를들어 중량 1500kg의 차량이라면 얼마의 속도로 충돌해야할까요?
시속 5킬로일지..10킬로 일지는 모르지만..(명색이 철판인데 시속 1킬로는 넘겠지요?)
하지만 최소한 그정도의 에너지는 흡수했다고 볼 수 있을겁니다.
그렇다면..그만큼의 도움은 된게 아닌가 싶네요...
2008.04.23 22:44:48 (*.22.116.168)
빨간차량이나 흰색차량에 더욱 어울리는거 같습니다.^^
검은차량은 색이 비슷해서..밤에는 강한포스가 덜 하지요.
후드가 날아간다는 설이 있기는한데...본넷고리 장착하시면..
분명 퀄리티는 두 유명제품이 높아보이기는한데..익스테리어 효과라면 다른 루트(?)나 다른업체도 고려해보시면 좀 저렴해 지지 않을까합니다.
검은차량은 색이 비슷해서..밤에는 강한포스가 덜 하지요.
후드가 날아간다는 설이 있기는한데...본넷고리 장착하시면..
분명 퀄리티는 두 유명제품이 높아보이기는한데..익스테리어 효과라면 다른 루트(?)나 다른업체도 고려해보시면 좀 저렴해 지지 않을까합니다.
2008.04.24 10:07:21 (*.192.187.141)

저도 한번쯤 해보고 싶은 아이템이긴한데 지름신을 물리치기위한 억지하나 적겠습니다..
FF차량의 경우 프론트가 가벼워지면서 그립이 약해지더라..라는 카더라 소문이 있더군요.
특히 미끄러운 오르막길에서 힘을 못쓰고 조금 빨리 출발하면 휠스핀만 난다고 하던데.. 뭐 배터리까지 옮긴 케이스여서 그랬을꺼란 생각이 듭니다.
FF차량의 경우 프론트가 가벼워지면서 그립이 약해지더라..라는 카더라 소문이 있더군요.
특히 미끄러운 오르막길에서 힘을 못쓰고 조금 빨리 출발하면 휠스핀만 난다고 하던데.. 뭐 배터리까지 옮긴 케이스여서 그랬을꺼란 생각이 듭니다.
2008.04.24 10:47:54 (*.127.196.64)
주영님 말씀대로 코너 탈출할때 앞쪽이 쉽게 들려서 그립이 약해지는것을 경험합니다만... 그래서 탈출가속에서 처음에는 손해보는 느낌이었으나...
적응하고 나면 코너링 한계가 경량화만큼 커지기 때문에 이 여유를 이용해서 적절하게 가속페달을 밟게 됩니다 ^^ 결국 적응되면 탈출가속에선 큰차이는 없는듯합니다
좋은건 코너진입속도가 높아집니다
직선 가속에서도 차가 가볍다는게 느껴지고요
적응하고 나면 코너링 한계가 경량화만큼 커지기 때문에 이 여유를 이용해서 적절하게 가속페달을 밟게 됩니다 ^^ 결국 적응되면 탈출가속에선 큰차이는 없는듯합니다
좋은건 코너진입속도가 높아집니다
직선 가속에서도 차가 가볍다는게 느껴지고요
2008.04.24 10:56:19 (*.127.196.64)
양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업체는 카본만으로 만들어지는것이 아니고 안쪽에 알미늄하니콤이 들어갑니다 (전 이걸보고 끌렸습니다)
자주 y00km 이상 달리지만 본넷이 불안한적은 없었습니다...(다만... 언젠가 본넷이 덮친다...는... 자꾸 옆에서 쇄뇌를 시키고 있어서... 맘편하게 다니려면 본넷고리 하는게 정신건강에 좋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그리고 저도 지름신을 물리치기 위한 억지하나를... ^^
카본 소재가 만들때 줄어든다고 합니다... 순정 휀더 처럼 휀더 라인에 딱맞아 떨어지거나 휀더와의 홈 간격이 환상적으로 맞지는 않습니다
자주 y00km 이상 달리지만 본넷이 불안한적은 없었습니다...(다만... 언젠가 본넷이 덮친다...는... 자꾸 옆에서 쇄뇌를 시키고 있어서... 맘편하게 다니려면 본넷고리 하는게 정신건강에 좋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그리고 저도 지름신을 물리치기 위한 억지하나를... ^^
카본 소재가 만들때 줄어든다고 합니다... 순정 휀더 처럼 휀더 라인에 딱맞아 떨어지거나 휀더와의 홈 간격이 환상적으로 맞지는 않습니다
2008.04.24 12:39:44 (*.132.162.19)

강우님 제가 궁금한게 바로 그점입니다~ ㅎ
금속이라면 찌그러진채로 붙어있겠지만
카본은 그 조각이 크건, 작건간에 부러진 조각이 떨어져나갈테고 오질나게 운나쁘다면 운전자에게까지 상해가 생기지 않을까 궁금했답니다~ ㅎㅎ
RC카를 하다보면 빅점프에 카본 쇽타워가 가끔 부러지는데 그 단면이 날카롭드라구요~
그나저나 카본 본닛의 그 ㅎㄷㄷ한 포스를 저도 다음차에는 꼭 한번 입혀보고 싶습니다 ㅎ
금속이라면 찌그러진채로 붙어있겠지만
카본은 그 조각이 크건, 작건간에 부러진 조각이 떨어져나갈테고 오질나게 운나쁘다면 운전자에게까지 상해가 생기지 않을까 궁금했답니다~ ㅎㅎ
RC카를 하다보면 빅점프에 카본 쇽타워가 가끔 부러지는데 그 단면이 날카롭드라구요~
그나저나 카본 본닛의 그 ㅎㄷㄷ한 포스를 저도 다음차에는 꼭 한번 입혀보고 싶습니다 ㅎ
2008.04.24 12:59:34 (*.148.252.161)

순정본넷의 변경은 벨런스에 영향을 끼칠정도로 상당히 무거운 부품이라 봅니다.. 카본으로 장착하게 되면 차고나 댐핑압을 조정하여 벨런스를 본인에 맞게 맞추는 작업도 필요하리라 봅니다.. 결국엔 카본본넷뿐만 아니라 조절식쇽도 필요해지는...^^
2008.04.24 13:22:11 (*.39.213.85)

RSX 탈때 VIS Racing의 카본 후드를 구입해서 장착했었습니다...
순정과 동일한 모양의 제품이었고 후드핀은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자주 y20-y30으로 주행했지만 후드가 열리는 경우는 전혀 없었습니다...
북미에서 나오는 Seibon과 Vis Racing 제품은 피팅이나 퀄리티가 대단히 우수합니다...
국내에서 나오는 제품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순정과 동일한 모양의 제품이었고 후드핀은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자주 y20-y30으로 주행했지만 후드가 열리는 경우는 전혀 없었습니다...
북미에서 나오는 Seibon과 Vis Racing 제품은 피팅이나 퀄리티가 대단히 우수합니다...
국내에서 나오는 제품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2008.04.24 17:50:34 (*.6.39.71)

음 국내제품과는 어떻게 다른지 여쭤봐도 될런지요?
국내 모업체에서 f3 용 제품을 만들어 납품했는데 수철님이
말씀하시는 Seibon 과 Vis Racing 제품이 f3 용 제품보다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국산이라 다른건가요?
제가 생각할때는 포뮬라에 사용할 정도의 퀄리티면 양산차에
무리가 없을거라 생각되는데 혹시 단차문제라면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단차만 하겠습니까? 수철님께서는 그 국산제품을 사용해보시고
평가하시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단순 국산이라서 안된다는 생각은
조금 무리가 아닌가 합니다만....,
국내 모업체에서 f3 용 제품을 만들어 납품했는데 수철님이
말씀하시는 Seibon 과 Vis Racing 제품이 f3 용 제품보다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국산이라 다른건가요?
제가 생각할때는 포뮬라에 사용할 정도의 퀄리티면 양산차에
무리가 없을거라 생각되는데 혹시 단차문제라면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단차만 하겠습니까? 수철님께서는 그 국산제품을 사용해보시고
평가하시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단순 국산이라서 안된다는 생각은
조금 무리가 아닌가 합니다만....,
2008.04.24 20:06:47 (*.32.70.76)

이전 글들을 검색해 보셔도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쿠쿠.
제 차량 카본 보닛 사고사진은 'boards' 란에 있군여..훔.
다시보니 줌 우울하긴 하네요..(ㅡ,.ㅡ")
제 차량 카본 보닛 사고사진은 'boards' 란에 있군여..훔.
다시보니 줌 우울하긴 하네요..(ㅡ,.ㅡ")
2008.04.25 03:46:05 (*.79.156.51)

자동 변속기냐 수동 변속기냐에 따라 차량 중량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봅니다.
자동 변속기 차량에 카본이나 알미늄 본넷은 무게를 줄여주어 수동 변속기와 비슷한 무게 비율을 얻어낸다면 그만큼 밸런스에 유리할 것으로 짐작합니다.
본넷 그 자체는 충돌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진 않을 것입니다만, 접혀졌다면 그만큼 에너지를 흡수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접혔다 펴진 것 자체는 안전과는 별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고요.
(펴지지 않아도 충돌시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흡수해 주었느냐가 의미가 있겠지요.)
보행자 안전은 본넷의 재질 보다는 본넷 밑의 엔진의 단단한 구조물( 보통 에어 인테이크) 와 본넷과의 거리나 두부( head)의 충격량이 관건이 됩니다.
그래서 요즘 차들은 본넷 높이가 높아진 것이지요.( 인테이크와의 거리를 띄워놓아서 본넷이 완충역할을 하게 합니다. 본넷 높이가 높아진 것이 요즘 차들이 뚱뚱해 보이는 이유죠).
하지만 단단한 외피는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더라도 부분적으로는 분명히 기여합니다.
단단한 외피를 갖고 있는 차종은 경량화에는 위배되므로 무게가 무거워져 핸들링을에서 불리한 입장이 됩니다.
하지만 요즘 차량은 무겁다고 해서 핸들링이 나쁜 것은 아니죠.
상대적으로 타이어가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자동 변속기 차량에 카본이나 알미늄 본넷은 무게를 줄여주어 수동 변속기와 비슷한 무게 비율을 얻어낸다면 그만큼 밸런스에 유리할 것으로 짐작합니다.
본넷 그 자체는 충돌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진 않을 것입니다만, 접혀졌다면 그만큼 에너지를 흡수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접혔다 펴진 것 자체는 안전과는 별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고요.
(펴지지 않아도 충돌시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흡수해 주었느냐가 의미가 있겠지요.)
보행자 안전은 본넷의 재질 보다는 본넷 밑의 엔진의 단단한 구조물( 보통 에어 인테이크) 와 본넷과의 거리나 두부( head)의 충격량이 관건이 됩니다.
그래서 요즘 차들은 본넷 높이가 높아진 것이지요.( 인테이크와의 거리를 띄워놓아서 본넷이 완충역할을 하게 합니다. 본넷 높이가 높아진 것이 요즘 차들이 뚱뚱해 보이는 이유죠).
하지만 단단한 외피는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더라도 부분적으로는 분명히 기여합니다.
단단한 외피를 갖고 있는 차종은 경량화에는 위배되므로 무게가 무거워져 핸들링을에서 불리한 입장이 됩니다.
하지만 요즘 차량은 무겁다고 해서 핸들링이 나쁜 것은 아니죠.
상대적으로 타이어가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2008.04.25 11:46:31 (*.88.78.169)

어익후 이렇게 토론의 장(?)이 될지 몰랐는데....
사소한(?) 질문에 여러가지 현답들 주셔서 감사합니다 (--)(__)(--)
경량화가 목적은 아니라서...무딘편이라 느끼지도 못할듯하고ㅋㅋ
경량화 하려는 노력보다 경량인차를 한대 사는게 쉬울수도~~~^^;
사소한(?) 질문에 여러가지 현답들 주셔서 감사합니다 (--)(__)(--)
경량화가 목적은 아니라서...무딘편이라 느끼지도 못할듯하고ㅋㅋ
경량화 하려는 노력보다 경량인차를 한대 사는게 쉬울수도~~~^^;
2008.04.26 00:23:43 (*.186.47.65)

경량화가 목적이 아니라면 카본을 사용할 필료가 없을듯 합니다. CFRP의 장점은 경량에 고강성이니까요. 그리고 CFRP는 깨졌으면 깨졌지 휘어지지는 않습니다.탄성 구간에서 의 변형은 있을수 있지만 탄소섬유가 끊어진 후에는 복구가 불가능하죠. 작업할수 있는 업체가 있다면 본넷에 CFRP fablic prepreg를 접착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도 좋은 대안이라 생각합니다.
순정보닛에 비해 매우 우수한편입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것은 고속주행시 날라가 버릴수 있다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