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고유가 시대와는 별개로 가끔씩 운동 삼가 타려고 합니다.
운전만 하다보면 귀차니즘과 늘어나는 살..
사실 저번주에 한 친구가 서울에서 내려왔습니다.자전거타고..
일명 생활차(인터넷검색중)라고 하는 20만원대의 자전거를 타고 3일만에 왔습니다.
부추깁니다. 같이 타자고.
시내주행용이라..그리고 열악한 도로환경과..고가의 MTB에 유지관리면에서는 폴쉐GT3에 오토미션을 달고 오프에어링하며 유유자적하는 꼴이 될거 같아 고가의 제품은 필요없을듯합니다.
20~40만원대 쓸만한 제품있으면 추천부탁드리겠습니다.
종류가 엄청나서 뭘사야할지..차보다 고르기 어렵네요.^^;
운전만 하다보면 귀차니즘과 늘어나는 살..
사실 저번주에 한 친구가 서울에서 내려왔습니다.자전거타고..
일명 생활차(인터넷검색중)라고 하는 20만원대의 자전거를 타고 3일만에 왔습니다.
부추깁니다. 같이 타자고.
시내주행용이라..그리고 열악한 도로환경과..고가의 MTB에 유지관리면에서는 폴쉐GT3에 오토미션을 달고 오프에어링하며 유유자적하는 꼴이 될거 같아 고가의 제품은 필요없을듯합니다.
20~40만원대 쓸만한 제품있으면 추천부탁드리겠습니다.
종류가 엄청나서 뭘사야할지..차보다 고르기 어렵네요.^^;
2008.05.21 11:22:25 (*.116.196.225)

먼저 타셔야할 종류를 고르셔야 합니다.
MTB , 하이브리드 , 싸이클 , 미니벨로
MTB는 산에 가는 자전거이며, 하드테일과 풀샥으로 나뉘어집니다.
하드테일이란 앞에만 샥이 있는걸 의미하며, 풀샥은 앞뒤로 모두 샥이 있습니다
풀샥은 다운힐에 쓰이는 구조이며, 힘을 분배시켜, 업힐이나 도로에선 불리 합니다.
흔히 보이는게 하드테일인데, 저가형은 유사 MTB란 말을 달고 나오며, 산에 갈수 없습니다.(내구성) , 그러나 일상생활에는 전혀 지장없습니다.
싸이클은 잘아시죠? ^^
하이브리드는 , MTB + 싸이클 ...의 장점만 둔것입니다.
MTB 프레임 형태에, 싸이클 과 같은 얇은 바퀴로. 상당히 빠르고, 도시에서 타거나 여행용으로 좋습니다. 다만 어케 따지면 이도 저도 아닌;;;
요즘은 20만원대 하이브리드 많습니다. ^^
미니벨로는 .20인치 이하의 작은 자전거 입니다. 이것도 ...산에 갈수있는놈,
빠른 미니스프린터 , 혹은 폴딩형 등등 많고. 가격대도 ...다양합니다. ^^
제생각엔. RCT마스터 시리즈 같은 하이브리드형이 좋을거 같네요.
MTB , 하이브리드 , 싸이클 , 미니벨로
MTB는 산에 가는 자전거이며, 하드테일과 풀샥으로 나뉘어집니다.
하드테일이란 앞에만 샥이 있는걸 의미하며, 풀샥은 앞뒤로 모두 샥이 있습니다
풀샥은 다운힐에 쓰이는 구조이며, 힘을 분배시켜, 업힐이나 도로에선 불리 합니다.
흔히 보이는게 하드테일인데, 저가형은 유사 MTB란 말을 달고 나오며, 산에 갈수 없습니다.(내구성) , 그러나 일상생활에는 전혀 지장없습니다.
싸이클은 잘아시죠? ^^
하이브리드는 , MTB + 싸이클 ...의 장점만 둔것입니다.
MTB 프레임 형태에, 싸이클 과 같은 얇은 바퀴로. 상당히 빠르고, 도시에서 타거나 여행용으로 좋습니다. 다만 어케 따지면 이도 저도 아닌;;;
요즘은 20만원대 하이브리드 많습니다. ^^
미니벨로는 .20인치 이하의 작은 자전거 입니다. 이것도 ...산에 갈수있는놈,
빠른 미니스프린터 , 혹은 폴딩형 등등 많고. 가격대도 ...다양합니다. ^^
제생각엔. RCT마스터 시리즈 같은 하이브리드형이 좋을거 같네요.
2008.05.21 11:47:08 (*.22.116.168)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예전에 정경복님의 자전거 투어를 잘봤습니다.
친구는 가격대/시간 부족으로 빠듯하게 고려를 한지라 저한텐 돈을 조금더 쓰라고 하네요.
타고 가는 차 등어리에 더 비싼 자건거를 모시고 다니는 모습들이 심심찮게 볼수있는데..그 종류가 너무 많아서 삽질안하고 좋은거 사려고 하니 어렵습니다.
너무 저가형은 0.1톤이 약간 모자라는 무게를 못 버틸까..생각도 듭니다.
예전에 정경복님의 자전거 투어를 잘봤습니다.
친구는 가격대/시간 부족으로 빠듯하게 고려를 한지라 저한텐 돈을 조금더 쓰라고 하네요.
타고 가는 차 등어리에 더 비싼 자건거를 모시고 다니는 모습들이 심심찮게 볼수있는데..그 종류가 너무 많아서 삽질안하고 좋은거 사려고 하니 어렵습니다.
너무 저가형은 0.1톤이 약간 모자라는 무게를 못 버틸까..생각도 듭니다.
2008.05.21 12:31:09 (*.78.245.47)
미니벨로로 가세요.^^ 일단.. 이쁘다는 장점이..
비토나 우베공 같은 스프린터 형은.. 나름 빠르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산에는... 글쎄요...
비토나 우베공 같은 스프린터 형은.. 나름 빠르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산에는... 글쎄요...
2008.05.21 12:59:31 (*.114.52.114)

게리피셔 와후 살짝 추천해봅니다. 입문형 엠티비입니다. 20만원대의 국산 하이브리드도 괜찮은 선택일듯하네요 어차피 자전거로 산을 탈일은 거의 없으니까요
2008.05.21 14:07:36 (*.196.244.247)

타고가는 차를 넘는 비싼 자전거는 굉장히 드물답니다 :)
0.1톤이 약간 모자라는 무게시라면, 내구성보다 다른 문제가 있을것도 같긴 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키도 제법 되실텐데, 그럴경우 시중의 저가형 자전거는 몸에 안 맞을수도 있고요. MTB/사이클은 소량 다품종이라 사이즈별로 선택의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요즘은 제가 입문하던 시절과는 사정이 많이 달라서 경복님이나 현식님이 추천하신 것 같은 대안들도 존재하고요. 하이브리드들은 시각적 문제도 있어서 그런지 제법 크기가 성인 남성에 맞게 나오더군요.
target=_blank>http://www.scott.co.kr/goods/p_view.php?arg_goods_no=2025&arg_cate=1002004
가격대는 안 맞습니다만, 대충 이런 컨셉이면 목적하시는 바를 이루는데에는 충분할겁니다. 이 가격은 수입상의 권장 가격으로, 시중에서는 20% 이상 싸게 구입이 가능하다는건 염두에 두시면 좋겠습니다.
산을 가는건 좀 어려운 모델입니다만...
target=_blank>http://www.altonsports.co.kr/html/sub02_2008_view_rct_master_turbo_700c.asp
이런 녀석이 저런 컨셉의 생활차 버전이고, 가격대를 아마 맞출수 있을겁니다.경복님이 말씀하신 모델이고요.
0.1톤이 약간 모자라는 무게시라면, 내구성보다 다른 문제가 있을것도 같긴 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키도 제법 되실텐데, 그럴경우 시중의 저가형 자전거는 몸에 안 맞을수도 있고요. MTB/사이클은 소량 다품종이라 사이즈별로 선택의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요즘은 제가 입문하던 시절과는 사정이 많이 달라서 경복님이나 현식님이 추천하신 것 같은 대안들도 존재하고요. 하이브리드들은 시각적 문제도 있어서 그런지 제법 크기가 성인 남성에 맞게 나오더군요.
target=_blank>http://www.scott.co.kr/goods/p_view.php?arg_goods_no=2025&arg_cate=1002004
가격대는 안 맞습니다만, 대충 이런 컨셉이면 목적하시는 바를 이루는데에는 충분할겁니다. 이 가격은 수입상의 권장 가격으로, 시중에서는 20% 이상 싸게 구입이 가능하다는건 염두에 두시면 좋겠습니다.
산을 가는건 좀 어려운 모델입니다만...
target=_blank>http://www.altonsports.co.kr/html/sub02_2008_view_rct_master_turbo_700c.asp
이런 녀석이 저런 컨셉의 생활차 버전이고, 가격대를 아마 맞출수 있을겁니다.경복님이 말씀하신 모델이고요.
2008.05.21 14:13:42 (*.196.244.247)

음... 그리고 역설적입니다만.
도로 환경이 나쁘니까 MTB가 유리한겁니다.
MTB는 사이클에 비해 타이어가 크고 서스펜션을 갖추고 부품 자체가 좀 무겁고 튼튼한 경우가 많고, 기어비도 최고속이 아닌 가속과 오르막용 기어가 갖춰져 있어, 도로 환경이 나쁘면 나쁠수록 MTB가 유리해집니다.
MTB를 비교하실거면 폴쉐 GT3 보다는 카이엔을 떠올려주시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GT3는 비싼 사이클하고 비교해주시면 될것같고요.
도로 환경이 나쁘니까 MTB가 유리한겁니다.
MTB는 사이클에 비해 타이어가 크고 서스펜션을 갖추고 부품 자체가 좀 무겁고 튼튼한 경우가 많고, 기어비도 최고속이 아닌 가속과 오르막용 기어가 갖춰져 있어, 도로 환경이 나쁘면 나쁠수록 MTB가 유리해집니다.
MTB를 비교하실거면 폴쉐 GT3 보다는 카이엔을 떠올려주시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GT3는 비싼 사이클하고 비교해주시면 될것같고요.
2008.05.21 14:14:45 (*.196.244.247)

그리고... 유유자적하게 시내를 자전거로 타고다닌다. 라는건 21세기 한국에선 거의 꿈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자동차들이 심하게 밀고 들어오는 경우도 많고 해서, 나름 이쪽도 "전투적인 자세" 로 "최대한의 출력" 으로 달려주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건 제 스타일인만큼 뭐라 말씀드리긴 어렵지만요.
이건 제 스타일인만큼 뭐라 말씀드리긴 어렵지만요.
2008.05.21 16:58:13 (*.163.188.204)

저도 한마디 거들자면 저렴하건 고가이건 간에 몸에 맞게 맞추어 타셔야 합니다
몸에 맞지 않으면 운동 안하느니만 못하고 피로가 누적되어 결국은 창고행 입니다
제가 쓰고있는 mtb는 포장도로 40km+산을 누비고 다녀도 그닥 피로하지 않습니다만, 공장에서 쓰는 신문보면 주는 폴딩 미니벨로는 100m를 가도 다리가 아픕니다
몸에 맞지 않으면 운동 안하느니만 못하고 피로가 누적되어 결국은 창고행 입니다
제가 쓰고있는 mtb는 포장도로 40km+산을 누비고 다녀도 그닥 피로하지 않습니다만, 공장에서 쓰는 신문보면 주는 폴딩 미니벨로는 100m를 가도 다리가 아픕니다
2008.05.21 17:08:09 (*.181.191.250)
가끔씩 운동삼아 타시고 일반 도로나 자전거 전용 도로만 이용하시며 자전거 보관 및 도난 문제에 크게 신경쓰지 않으시려면 정경복님 말씀대로 RCT 마스터 시리즈가 적절한 선택이 되실 것 같습니다.
2008.05.21 17:20:21 (*.219.0.69)

저도 게리피셔 와후 추천합니다. 아팔란치아 계열도 30만원 언더에 좋은 자전거 많습니다. 게리피셔는 프레임이 고가 제품과 같기 때문에 나중에 업글을 하시는게 가능합니다. 저도 와후 사서 시트, 핸들바, 앞 샥, 하이브리드 타이어로 천천히 업글해 잘 타고 있습니다. 평지 30km 이상도 쉽게 나옵니다.
2008.05.21 17:26:14 (*.180.44.218)
저는 mtb에 한표 보냅니다.
rct마스터.. 몸무게가 0.1톤에 가깝다고 하셨는데 요철 몇번 넘나들면 휠이 잘 휘어집니다. 샵에가면 짝당 5000원이면 잡아주는데 좀 번거로우실수도 있지요. (저는 0.75톤이구요.)
그렇다고 무조건 포장도로만 달릴수는 없는 노릇이구요.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나지만 mtb 만큼 이길 저길 맘놓고 다니지는 못해봤던거 같네요.
rct마스터.. 몸무게가 0.1톤에 가깝다고 하셨는데 요철 몇번 넘나들면 휠이 잘 휘어집니다. 샵에가면 짝당 5000원이면 잡아주는데 좀 번거로우실수도 있지요. (저는 0.75톤이구요.)
그렇다고 무조건 포장도로만 달릴수는 없는 노릇이구요.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나지만 mtb 만큼 이길 저길 맘놓고 다니지는 못해봤던거 같네요.
2008.05.21 19:46:10 (*.109.154.240)

아팔란치아 콤프 3.1 타고 있습니다만, 우악스럽게 튼튼해서 0.15 ton 정도까지는 잘 버티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산에 안가시는 조건으로요. ㅋㅋ
그런데 mtb는 너무 광폭 타이어라서 노면 저항이 장난 아니더군요. 그래서 오늘 퇴근하고 타이어 바꾸기로 했습니다. 좀 얇은걸로요. ^^ㅋ
그런데 mtb는 너무 광폭 타이어라서 노면 저항이 장난 아니더군요. 그래서 오늘 퇴근하고 타이어 바꾸기로 했습니다. 좀 얇은걸로요. ^^ㅋ
2008.05.21 21:51:29 (*.108.123.149)
ㅋㅋ 수민님 저도 자전거 한 대 있습니다^^
구입하시면 같이 투어나 가시죠^^
(2003년 구입 KHS.......구형모델이라 할인받아 40만원 가량 줬던 것
같습니다...그러나 5년동안 주행거리는 10km남짓...주인으로서 부끄럽
습니다.T_T)
구입하시면 같이 투어나 가시죠^^
(2003년 구입 KHS.......구형모델이라 할인받아 40만원 가량 줬던 것
같습니다...그러나 5년동안 주행거리는 10km남짓...주인으로서 부끄럽
습니다.T_T)
2008.05.21 23:33:19 (*.22.116.168)
많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7살 때쯤 오락실 한판하려다 람보자전거(7~10세용) 도난당해 부모님께 맞아 죽을뻔하곤 오랜만에 다시 접하게 될거 같습니다.
블랙켓3.0 을 염두에 두었는데..게리피셔 와후로 결심한 상태입니다.
이젠 좋은 샾을 찾아 다니는 일만 남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7살 때쯤 오락실 한판하려다 람보자전거(7~10세용) 도난당해 부모님께 맞아 죽을뻔하곤 오랜만에 다시 접하게 될거 같습니다.
블랙켓3.0 을 염두에 두었는데..게리피셔 와후로 결심한 상태입니다.
이젠 좋은 샾을 찾아 다니는 일만 남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008.05.22 00:40:46 (*.91.121.235)

저도 윤길님과 같은 아팔란치아 팀콤프 3.1 타고 있습니다.. 여기에 켄다 1.5인치(폭) 로드타이어로 바꿨는데 잘나가고 급제동시에도 안 밀리고 와이어비드 타입이라 터질 염려도 없어 아스팔트용으로는 최적인듯 합니다..
이미 게리피셔 와후를 선택하신데에 찬물을 끼얹는것 같아 죄송합니다만, 게리피셔 와후는 24단(알리비오급)이고 블랙캣3.0은 27단(데오레급)인데다가 게리피셔시리즈가 프레임 무게도 좀 있어서 속도면에서 블랙캣이 훨씬 빠릅니다.. 또한 게리피셔 와후는 제가 앉아본 바에 의하면 탑튜브(윗쪽뼈대)의 위치가 높아서 제꺼랑 같은 17.5인치인데도 승하차가 좀 불편합니다.. 아무래도 블랙캣 시리즈는 MTB 치고도 생활차에 가까운데다가 대만 메리다사의 설계라 동양인이 타기 편하고, 반면 게리피셔는 미국에서 디자인한거라 롱다리에 적합한듯 싶습니다.. (참고로 블랙캣, 게리피셔 둘 다 중국에서 제작됩니다)
아무튼 전문산악이라면 역사와 전통이 있는 회사라서 믿을 수 있는 게리피셔가 좋겠지만, 생활차로 쓰신다면 블랙캣을 추천합니다.. 산 타시려면 게리피셔 참 좋죠.. 저도 세컨바이크로 와후 익스퍼트 생각중입니다.. 암튼 테드에 잔차 타시는 분들 많네요.. 그럼 즐라(즐거운라이딩)하세요..^^
이미 게리피셔 와후를 선택하신데에 찬물을 끼얹는것 같아 죄송합니다만, 게리피셔 와후는 24단(알리비오급)이고 블랙캣3.0은 27단(데오레급)인데다가 게리피셔시리즈가 프레임 무게도 좀 있어서 속도면에서 블랙캣이 훨씬 빠릅니다.. 또한 게리피셔 와후는 제가 앉아본 바에 의하면 탑튜브(윗쪽뼈대)의 위치가 높아서 제꺼랑 같은 17.5인치인데도 승하차가 좀 불편합니다.. 아무래도 블랙캣 시리즈는 MTB 치고도 생활차에 가까운데다가 대만 메리다사의 설계라 동양인이 타기 편하고, 반면 게리피셔는 미국에서 디자인한거라 롱다리에 적합한듯 싶습니다.. (참고로 블랙캣, 게리피셔 둘 다 중국에서 제작됩니다)
아무튼 전문산악이라면 역사와 전통이 있는 회사라서 믿을 수 있는 게리피셔가 좋겠지만, 생활차로 쓰신다면 블랙캣을 추천합니다.. 산 타시려면 게리피셔 참 좋죠.. 저도 세컨바이크로 와후 익스퍼트 생각중입니다.. 암튼 테드에 잔차 타시는 분들 많네요.. 그럼 즐라(즐거운라이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