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간혹 뉴스를 보면 겨울철 졸음 운전의 원인이 히터로 인한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 때문이라 말하는데
히터는 히터 코어에서 엔진열을 받아 공기를 데우는 걸로 아는데 왜 히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 하는지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그냥 궁금해서요^^;
2016.01.09 20:47:54 (*.101.85.214)
저도 최근에 지인에게 똑같은 질문을 했는데
내기로 돌려서 산소농도 저하 + 히터로 따뜻해짐 두가지가 볻합으로 작용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한가지만 있어도 졸릴 조건인데 두개가 동시에 있으니 더 졸리다는거 아닐까 싶어요
히터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는 뉴스에서 흔히 잘모쓰는 표현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네요!
내기로 돌려서 산소농도 저하 + 히터로 따뜻해짐 두가지가 볻합으로 작용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한가지만 있어도 졸릴 조건인데 두개가 동시에 있으니 더 졸리다는거 아닐까 싶어요
히터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는 뉴스에서 흔히 잘모쓰는 표현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네요!
말씀하신대로 히터를 쓴다고 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올라갈리는 없죠.
아마 차내 온도를 빨리 끌어올리려고 내기순환모드를 주로 이용하는게 원인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