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제 차량은.. 프래임 바디의 SUV 렉스턴2입니다.
아시다 시피.. 아마도.. 국내의 승용차(?) 중엔 가장 높은 키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다 보니..
롤링이 좀 심합편입니다.(이전에 비해 좋아졌다지만..)
그래서..
혹시.. 순정 쇼바에 다운스프링(1인치 다운)으로 롤링을 좀 억제 할 수 있을까요?
렉스턴2로 나온 다운 스프링은.. 네오테크 다운스프링 뿐이라..
일체형은.. 경기용이라고 하고.. LE형의 쇼바는... 다운엔 전혀 도움이 안되다고 하고..
아이박이나.. 테인 등은.. 렉스턴2용이 없더군요.
말이 길어 졌습니다.
질문은 세 가지 입니다.
1. 다운스프링이 키가 큰 프래임 바디의 SUV의 롤링 억제에 도움이 될까요?
2. 네오테크라는 회사의 다운스프링이 아이박 등의 유명 스프링만큰 괜찮을까요?
3. 순정 쇼바 + 다운스프링을 쓰는 경우.. 순정 쇼바에 악영향을 없는지요?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시다 시피.. 아마도.. 국내의 승용차(?) 중엔 가장 높은 키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다 보니..
롤링이 좀 심합편입니다.(이전에 비해 좋아졌다지만..)
그래서..
혹시.. 순정 쇼바에 다운스프링(1인치 다운)으로 롤링을 좀 억제 할 수 있을까요?
렉스턴2로 나온 다운 스프링은.. 네오테크 다운스프링 뿐이라..
일체형은.. 경기용이라고 하고.. LE형의 쇼바는... 다운엔 전혀 도움이 안되다고 하고..
아이박이나.. 테인 등은.. 렉스턴2용이 없더군요.
말이 길어 졌습니다.
질문은 세 가지 입니다.
1. 다운스프링이 키가 큰 프래임 바디의 SUV의 롤링 억제에 도움이 될까요?
2. 네오테크라는 회사의 다운스프링이 아이박 등의 유명 스프링만큰 괜찮을까요?
3. 순정 쇼바 + 다운스프링을 쓰는 경우.. 순정 쇼바에 악영향을 없는지요?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8.05.28 22:29:24 (*.96.191.160)

롤링은 억제되지만 로드홀딩이 좋지않아 승차감이 저하되고 때에 따라서는 위험할수도 있습니다. 서스펜션은 조합이 중요하지요.^^
2008.05.28 22:32:22 (*.41.68.96)

스프링 레이트가 올라가야 롤 강성이 높아집니다. 단순히 차고를 낮추기만 하면 롤이 오히려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애프터마킷 제품들은 차고를 낮추면서 스프링 레이트를 올립니다만, 그러면 순정 댐퍼(쇽업소버)와의 매칭이 문제가 되기 시작합니다.
2008.05.28 22:43:46 (*.179.231.24)

1번 대부분의 다운스프링은 순정보다 스프링레이트가 높아 롤의 억제에
도움을 줄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순정샥과의 매칭이 차종에 따라 먼가
어색한 느낌을 받으실 수 도 있습니다. 렉스턴은 잘 모르겠네요..
2번 요즘 평이 나쁘지 않습니다.. 가격경쟁력도 있구요..
3번 순정댐퍼가 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전 차에 아이박 다운스프링만
적용하였을시 순정댐퍼가 견디지 못하고 터져서 누유가 발생했습니다..
도움을 줄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순정샥과의 매칭이 차종에 따라 먼가
어색한 느낌을 받으실 수 도 있습니다. 렉스턴은 잘 모르겠네요..
2번 요즘 평이 나쁘지 않습니다.. 가격경쟁력도 있구요..
3번 순정댐퍼가 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전 차에 아이박 다운스프링만
적용하였을시 순정댐퍼가 견디지 못하고 터져서 누유가 발생했습니다..
2008.05.28 23:01:07 (*.29.229.97)

솔직히 다운 스프링만 하는 경우는 '뽀대'만을 우선시 하는 셈이죠.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쇽업소버와 스프링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08.05.28 23:24:51 (*.176.95.227)

쏘렌토 오너입니다
딱 두가지 경우가 있겠습니다
혼자타면서 네오텍 일체형 낑구고 승차감 포기하고
휘감아돌리는맛에 타시던지
아님 그냥 포기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일체형하실꺼면 꼭 타보시고 하세요
렉스턴작업차 없음 타차량이라도 타보세요
제차 뒷자리에 사람타거나 조수석에 처음탄사람들 놀랍니다
다운스프링에 순정댐퍼는 금방터지고 중복투자 유발합니다
딱 두가지 경우가 있겠습니다
혼자타면서 네오텍 일체형 낑구고 승차감 포기하고
휘감아돌리는맛에 타시던지
아님 그냥 포기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일체형하실꺼면 꼭 타보시고 하세요
렉스턴작업차 없음 타차량이라도 타보세요
제차 뒷자리에 사람타거나 조수석에 처음탄사람들 놀랍니다
다운스프링에 순정댐퍼는 금방터지고 중복투자 유발합니다
2008.05.29 00:40:57 (*.218.52.117)

저는 X3 3.0d에 순정댐퍼에 아이박프로킷을 장착하고 1년반 35000Km째 타고있습니다. 제차는 다이나믹패키지가 적용되어있었구요. 순정때 승차감은 Z4와 비슷한 느낌이었고 E46 M3, E60 M5보다 딱딱한 느낌이었습니다. 별거 아닌 방지턱을 넘을때도 턱~ 하고 떨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아이박으로 앞 3.5Cm 뒤 3Cm정도 내려갔는데 오히려 순정보다 승차감은 자잘한 충격에는 더 부드럽고 고속에서 강한 바운싱때는 더 단단한 느낌입니다. 200Km/h이상에서 도로의 이음새 부분도 순정때보다 안정적으로 넘는느낌이구요. 아직 쇼바에 오일이 비치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하기전엔 다들 스프링만 바꾸는것은 말리는 분위기 였는데 막상 하고나서 제가 느끼는 만족감은 55만원 훨~씬~ 넘네요~^^ 단, 각 차종별로 다르고, 순정댐퍼와의 매칭과도 다르기 때문에 X3에서만 느껴지는 만족감일 수 있습니다.
2008.05.29 02:37:55 (*.229.103.85)

보통 로워링할때 우선순위는 스프링->댐퍼 순입니다. 순정대비 극심한 하드타잎이 아니라면, 차고가 낮아짐으로 발생하는 둔덕이나 오프로딩 빼놓곤, 롤링이나 안정감, 최고속등이 좋아집니다. 같은 레이트의 스프링이라도 길이가 달라지면 레이트가 올라감으로, 대체로 무리없이 주행성과 안정성이 좋아집니다. 로워링하면 댐퍼가 터진다는 경우는..글쎄요, 경험한적도..들어본적도 없는데요.^^;;
2008.05.29 04:25:06 (*.218.52.117)

아~ 그리고 차고는 겨우 3Cm낮아졌지만 원래 키가 큰 SUV에서 롤센터가 3Cm내려감으로 인해서 실내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안정감은 기대 이상입니다.
2008.05.29 08:20:36 (*.155.138.182)

구형아반떼 순정 쇼버에 테인 하드타입 다운스프링 조합으로 1년간 타본 결과(쇼바가 많이 무릅니다.) 오히려 노면 굴곡에 의한 상하 좌우 바운딩을 순정보다 못 잡아준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일체형 쇼바를 거쳐 지금 현재 다운스프링에 사제 쇼바 매칭입니다. 참 좋습니다. ^^ㅎ
2008.05.29 09:21:44 (*.192.187.141)

적당한 댐퍼와의 매칭이 안될경우... 노면이 좋은곳에서는 참 좋은데 노면이 안좋아지면 로드홀딩이 정말 안좋죠... 이런 경우에 댐퍼 수명도 급격하게 짧아지구요.. 예를 들자면 투스카니의 경우 아이박 스포트라인 스프링과의 조합에서 2.0 순정 댐퍼는 수명이 2만키로 이하, 2.7용 만도 댐퍼(후기형 oem)는 3만키로 정도 , 2.7용 샥스댐퍼(전기형 oem)는 4만키로 이상까지 탄다는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운용환경에 따라 많이 틀려지겠지만 일반적인 평균을 내자면 저정도로 나오는듯하네요..
아..참고로 아이박스포트라인 스프링은 국내 출시되어있는 컵킷용 로워링 스프링중 가장 강성이 강한편에 속합니다.. 그래서 그 차이들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경우이고.. 그보다 강성이 낮은 스프링들은 더 오래 쓸수있겠죠..
아..참고로 아이박스포트라인 스프링은 국내 출시되어있는 컵킷용 로워링 스프링중 가장 강성이 강한편에 속합니다.. 그래서 그 차이들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경우이고.. 그보다 강성이 낮은 스프링들은 더 오래 쓸수있겠죠..
2008.05.29 10:16:26 (*.220.59.26)
약간의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suv 차량은 순정쇼바 이외에 사제 쇼바가 많이 없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좁지요 그러한 특이성 때문에 다운스프링 제작 업체에서도 대부분 순정쇼바와 매칭이 비교적 잘되게끔 만든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매칭이 잘되어도 스프링 레이트가 올라가면 반드시 감쇠력이 매칭되는 쇼바를 함께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2008.05.29 15:43:44 (*.165.26.29)

차종에 따라서, 또 스프링 제품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순정댐퍼에 다나베 다운 스프링만 세팅한 채로 1년 넘게 아무 이상없이 잘 달리고 있습니다.
뉴프라이드 순정댐퍼가 일반적인 국산차들보다 아주 조금 더 하드한 면도 있고, 다나베 스프링 자체가 왠만한 댐퍼들에는 아주 훌륭하게 잘 매칭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점도 있기는 합니다만, 특별한 문제점 없이 잘 타고 있습니다.
당연히 올순정 상태보다 코너링이나 주행성능은 훨씬 좋아지죠. 다만 이것도 딴에 튜닝용 제품이라고 승차감은 은근히 단단합니다. ^^
뉴프라이드 순정댐퍼가 일반적인 국산차들보다 아주 조금 더 하드한 면도 있고, 다나베 스프링 자체가 왠만한 댐퍼들에는 아주 훌륭하게 잘 매칭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점도 있기는 합니다만, 특별한 문제점 없이 잘 타고 있습니다.
당연히 올순정 상태보다 코너링이나 주행성능은 훨씬 좋아지죠. 다만 이것도 딴에 튜닝용 제품이라고 승차감은 은근히 단단합니다. ^^
2008.05.29 15:47:46 (*.30.11.107)

고정된 damping의 순정 쇽업서버에 로우다운 스프링을 사용하시면 짧아진 스프링의 길이와 늘어난 스프링 상수로 인해 오히려 롤링이 증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왕복운동의 속도에 의존하는 damping 값이지만, 순정의 쇽업서버는 한계치가 그 만큼 작을 것으로 추정되기에 스프링의 진동을 잘 흡수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또 하나의 문제점은 짧아진 스프링으로 인해 쇽업서버의 운동구간의 shifting, 그리고 shifting으로 인한 bump steer현상이 증가할 수도 있을 겁니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짧아진 스프링으로 인해 쇽업서버의 운동구간의 shifting, 그리고 shifting으로 인한 bump steer현상이 증가할 수도 있을 겁니다.--;;
2008.05.29 19:19:11 (*.46.122.32)

승차감은 놔두면서 롤링을 억제하시려면 스테빌라이져바 업그레이드밖엔 없습니다.. 쌍용사의 순정댐퍼는 damping coefficient는 작아도 스트로크가 충분히 길기 때문에 다운스프링 교체로 인한 문제는 크게 염려되지 않습니다.. 특히, 네오테크사의 스프링은 순정과 대비하여 스프링계수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로인한 승차감 악화는 어쩔 수 없는 결과입니다.. 렉스턴 차종의 튜닝용 스테빌라이져바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있다면 최선의 선택일듯 합니다..
2008.05.29 20:40:16 (*.49.189.14)
흠...뉴코란도의 경우 스테이빌라이저가 수출용은 더 강한것으로 되어있어, 교체를 하고 꽤 효과를 봣습니다만, 렉스턴은 모르겠군요...어떻게 우레탄 부싱으로나마 승차감을 해치지 않는선에서 롤억제를 시도해보심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