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쉬프트 다운시 더블 클러치나 원 클러치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RPM 보정시 제 차의 엑셀반응이 너무 느려 빠른 변속을 하기가 참 힘들군요.
그래서, 감속 후 재가속할 때 항상 한 박자 느린 느낌입니다.
어떤 특정한 방법으로 엑셀반응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추가적인 장비를 장착한다던가 튜닝을 통해서, 혹은 빠른 엑셀반응을 위한 운전습관 등등...
되도록이면 운전습관을 통한 ECU의 학습효과로 엑셀반응을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면 하는데요, 그런 방법이 있을까요?
RPM 보정시 제 차의 엑셀반응이 너무 느려 빠른 변속을 하기가 참 힘들군요.
그래서, 감속 후 재가속할 때 항상 한 박자 느린 느낌입니다.
어떤 특정한 방법으로 엑셀반응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추가적인 장비를 장착한다던가 튜닝을 통해서, 혹은 빠른 엑셀반응을 위한 운전습관 등등...
되도록이면 운전습관을 통한 ECU의 학습효과로 엑셀반응을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면 하는데요, 그런 방법이 있을까요?
2008.06.06 10:58:56 (*.133.99.200)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엑셀반응을 올리기란 쉽지도 않고 일장일단이 있다고 봅니다. 엑셀 반응이 각기 다른 수동차 3대를 타는 저로서는 더블클러치시 rpm 보정을 할 때 수동적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씁니다.
반응이 느린 차의 경우 더블클러치를 위해 처음 클러치를 밟음과 동시에 엑셀을 밟습니다. 또한 엑셀을 밟으면서 한 번 밟아서는 아무리 깊숙히 밟아도 원하는 rpm에 도달하기 까지는 반응도 느리고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두번 나눠서 밟으면 조금이라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이 느린 차의 경우 더블클러치를 위해 처음 클러치를 밟음과 동시에 엑셀을 밟습니다. 또한 엑셀을 밟으면서 한 번 밟아서는 아무리 깊숙히 밟아도 원하는 rpm에 도달하기 까지는 반응도 느리고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두번 나눠서 밟으면 조금이라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2008.06.06 22:53:10 (*.137.53.137)

차종은 XD 5door구요, RPM이 반응한 후 원하는 영역까지 도달하는게 느리기 보다는 악셀링 후 RPM이 반응하는 시간이 느리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ECU 얘기는 전자식 스로틀의 경우 지속적인 학습효과로 악셀링 반응 시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 한 얘깁니다.
흡배기 튜닝을 통해서 엔진반응을 더 민감하게 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전자식 스로틀이 인식하는 시기를 당기기에는 무리는 아닌가 생각됩니다.
ECU 얘기는 전자식 스로틀의 경우 지속적인 학습효과로 악셀링 반응 시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 한 얘깁니다.
흡배기 튜닝을 통해서 엔진반응을 더 민감하게 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전자식 스로틀이 인식하는 시기를 당기기에는 무리는 아닌가 생각됩니다.